小中華5-朝鮮王朝實錄-中宗實錄-七年(1512)
史/編年/朝鮮王朝實錄/中宗實錄/七年(1512) 卷十五至十七/卷十七 十月至十二月/十二月/26日
○丙寅/大司憲南袞、大司諫趙元紀等上疏曰:
臣等近以昭陵事,歷求前史,求其倫比,則後漢章帝竇皇后與兄憲等,密謀不軌,事覺,憲旣伏誅,
而大臣張酺等,請追貶尊號,勿令合葬,和帝手詔曰:“《禮》無臣子貶尊上之文,恩不忍離,義不忍虧。”
遂合葬章帝陵。晋武帝楊皇后,自武帝時,矯詔亂政,其後又與於楊駿之謀,貶爲庶人,永嘉之初,追復尊號,祀於弘訓宮,
至成帝咸康七年,以別立廟非禮,從虞潭議,追配武帝。其次則又有漢昭帝上官皇后父安,謀叛伏誅,而后以年少不與知,得不坐廢。
夫以親與逆謀,而免於廢黜,或旣廢而追復,有如竇氏、楊氏之事矣。以逆竪親女,而不預知,故不坐,又有如上官氏之事。至於無罪被枉如昭陵,則求之歷代之史,斷無其比。
以此推之,自漢以來,數千年間,十六代帝王,未有無配而獨享廟食可知。
我國家邈處日域,自中國視之,與安南、交趾無異,而中國之人,不鄙夷之,至稱小中華。
豈非以世修禮義,君君臣臣父父子子,民彝物則,猶足可觀故耶?今數千年間十六代帝王所無之事,而獨於我朝鮮見之,則非唯負愧於前古,亦且負愧於中國。此非獨一世君臣之所大恥也,抑吾東方億萬年無窮之大恥也。
臣等又聞,神道與人道,無小差爽,光廟禮陟之後,與祖宗列聖,昭列于天,於世宗,則奉膝下怡愉之歡,於文廟,則展平日鬱陶之想。
其燕處而相語也,世宗曰:“奈何無故而黜我之家婦乎?”
文宗曰:“奈何無故而割吾之伉儷乎?”則未知光廟,其何辭而對。
其必曰:“非我志也,迫於大臣之請耳。”
然則當初建白大臣,得罪於光廟,爲何如也?今者正大臣之謬誤,彰聖祖之友于,
追復正號,還于陵寢,殿下不失爲孝順之孫,我國不失爲禮義之邦,復何憚而不亟爲之耶?
嗚呼!生有嬪御之衆,沒無配坐之耦,廟室沈陰,孑孑孤居,上天昭明,其忍視之耶!其忍視之耶!
臣等守闕不敢退者,正欲不負天,不負祖宗,不負我光廟,不負我殿下。
以全夫天降民彝,以脫我聖朝於後世之譏議耳。情迫于中,不知裁制,謹瀝血衷,塵瀆上聽,伏願殿下留神焉。
南袞所製。
又啓方輪等事。上以手書答曰:
審悉疏意,援引前代之故事,亦言光廟之所答。大抵事有古今之異,亦有難易之勢。
前日當收議之際,謀國之臣,豈不計古今之事乎?必有難復之勢,故如是議之。
光廟初追廢之時,迫於大臣之請。況今先祖已定之事,採大臣之議,何異於前後乎?
若易復之事,則何延旬日而後聽納乎?餘竝不允。
【太白山史庫本】 9책 17권 36장 A면
【影印本】 14책 633면
【分類】 *왕실-종사(宗社) / *왕실-비빈(妃嬪) / *정론-간쟁(諫諍) / *사법-탄핵(彈劾) / *역사-고사(故事)
我國家邈處日域,自中國視之,與安南、交趾無異,而中國之人,不鄙夷之,至稱小中華
http://sillok.history.go.kr/id/wka_10712026_001
庶民則男女勤耕桑之務,士夫則文武供內外之事,家家有封君之樂,世世存事大之體,作別乾坤,稱小中華-3
http://sillok.history.go.kr/id/kia_11210017_001
庶民則男女勤耕桑之務,士夫則文武供內外之事,家家有封君之樂,世世存事大之體,作別乾坤,稱小中華
http://sillok.history.go.kr/popup/viewer.do?id=kia_11210017_001&type=view&reSearchWords=&reSearchWords_ime=#
朝鮮王朝實錄
http://hanchi.ihp.sinica.edu.tw/mqlc/hanjishilu?@5^2039397373^802^^^8021100200160014000100020017@@886655005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7823
聖學輯要 성학집요 @ 栗谷全書 by李珥
http://www.krpia.co.kr/knowledge/itkc/detail?artClass=MM&artId=kc_mm_a201#none
聖學輯要 성학집요 @ 栗谷全書 by李珥
http://db.itkc.or.kr/itkcdb/text/nodeViewIframe.jsp?seojiId=kc_mm_a201&bizName=MM&gunchaId=av019&muncheId=01&finId=001
聖學輯要 성학집요 @ 栗谷全書 by李珥
http://www.krpia.co.kr/viewer/open?plctId=PLCT00005160&nodeId=NODE05356293
聖學輯要 성학집요 @ 栗谷全書 by李珥
http://db.itkc.or.kr/itkcdb/text/nodeViewIframe.jsp?seojiId=kc_mm_a201&bizName=MM&gunchaId=av020&muncheId=01&finId=001
聖學輯要 성학집요 @ 栗谷全書 by李珥
http://www.wul.waseda.ac.jp/kotenseki/html/he16/he16_02426/index.html
聖學輯要 성학집요 @ 栗谷全書 by李珥
http://archive.wul.waseda.ac.jp/kosho/he16/he16_02426/
Montag, 27. November 2017
佛教@器官捐贈
佛教@器官捐贈
林其賢、郭惠芯 : 佛教如何看待器官捐贈
. . .
三、佛教如何看待器官捐贈
器官捐贈有自活體摘取器官捐贈,以及從屍體摘取器官捐贈之別。自活體摘取器官捐贈是在生時捐贈器官,如捐贈腎臟、捐贈皮膚。
佛陀往昔有捨身餵虎、割肉餵鷹之舉,[26]即是活體捐贈的模範。
目前我國自活體摘取器官捐贈限制移植於三親等以內之血親或配偶。從屍體摘取器官捐贈則是在判定腦死後,摘取器官移植。
照說,活體器官捐贈與屍體器官捐贈兩者應是以活體器官捐贈的難度較高爭議較大,卻不料,佛教界對活體器官捐贈反而爭議較少,對死後捐贈器官的爭議較多。
p. 289
爭議的焦點在於死後處理遺體時,有不同時間點的考量,以及器官捐贈在布施修行上的次第安排,因此在自利、利他之間,以及己立而後立人的的選擇會有不同的掌握。
當代佛教徒從人的臨終至死亡的安置,大致有命終八小時之後方可哭泣及接觸亡者遺體的說法,這主要是依據弘一大師〈人生之最後〉一文而來:
既已命終,最切要者,不可急忙移動。雖身染便穢,亦勿即為洗滌。必須經過八小時後,乃能浴身更衣,常人皆不注意此事,而最要緊。惟望廣勸同人,依此謹慎行之。
命終前後,家人萬不可哭。哭有何益,能盡力幫助念佛乃於亡者有實益耳。若必欲哭者,須俟命終八小時後。
命終之後,念佛已畢,即鎖房門。深防他人入內,誤觸亡者。必須經過八小時後,乃能浴身更衣。(前文已言,今再諄囑,切記切記。)因八小時內若移動者,亡人雖不能言,亦覺痛苦。[27]
印光大師則根據 「壽、煖、識,三者常不相離」的經教,[28] 說明「如人生有煖,則有識在,識在則壽尚未終。」印光大師云:
人死氣斷之後,彼不即去,必待至通身冷透,無一點煖氣,彼識方去,識去,則此身毫無知覺矣。若有一處稍煖,彼識尚未曾去,動著觸著,仍知痛苦,此時切忌穿衣、盤腿、搬動等事。若稍觸著,則其痛苦最為難忍,不過口不能言,身不能動而已。[29]
- -
p. 290
由於關係到亡者下一生的去處,因此,佛教徒奉行者多,多年來亦少異議。異議之起,始於器官捐贈之討論,因為死後器官捐贈是在判定腦死後即行摘取器官。此時,時間尚未滿八小時,體溫猶存,不摘取則無法成全器官捐贈;摘取,則有妨礙亡者去處之虞。
為成全死後器官捐贈而從教理提出支持論點的是當代大德印順導師。繼程法師曾於1980年訪問時提出問題道:捐獻眼角膜者,必須在六小時內取出。
這與傳統佛教人死後八小時內不可摸觸的說法是相違的。面對如此兩難,應如何處理?印順導師從唯識學理論分析,認為死後即摘取器官,並不會妨礙亡者。他說:
人死了以後,前六識(眼、耳、鼻、舌、身、意)都已停止作用,即使第八阿賴耶識未離身,也不會有痛苦的感覺,因為身體有痛苦是身識與意識的作用。阿賴耶是「無記」性的,不會有痛的感覺。[30]
爾後,印順導師更明確地表示:死後立即摘取器官,不會妨礙亡者。印順導師和印光大師一樣,也是從識、暖、壽三者的關係來談:
如沒有了識與暖,壽命也就完了。這三者,是同時不起而確定為死亡的。這樣,如還有體溫,也就是還有意界(識)與壽命,而醫生宣告死亡,就移動身體;或捐贈器官的,就進行開割手術,那不是傷害到活人嗎?
不會的!如病到六識不起(等於一般所說的「腦死」),身體部分變冷,那時雖有微細意界──唯識學稱為末那識與阿賴耶識,但都是捨受,不會有苦痛的感受。
移動身體,或分割器官,都不會引起苦痛或厭惡的反應。所以,如醫生確定為腦死,接近死亡,那末移動身體與分割器官,對病(近)死者是沒有不良後果的。[31]
印順導師從唯識學的教理去判斷,在「腦死」的情況下,身體部分變冷,此時雖有微細的末那識與阿賴耶識,但都是「捨」受,不會有苦痛的感受。印光大師則認為:
- -
p. 291
只要身上還有一處稍煖,則神識未去,「若稍觸著,則其痛苦最為難忍。」印光大師與印順導師兩位大德見地如此相異,癥結應在於:
一、「臨終」人有否知覺感受?
二、「臨終」的時間界定。印順導師從唯識學來說︰「即使第八阿賴耶識未離身,也不會有痛苦的感覺,因為身體有痛苦是身識與意識的作用。阿賴耶是『無記』性的,不會有痛的感覺。」[32]
如果只有微細的末那識與阿賴耶識,因為都是「捨」受,自然不易引生苦痛的感受。但是如何確知亡者是在「前六識不起」,僅有七、八兩識作用?
時間的起始與結束如何掌握?如果太早,則僅是前五識不起,雖然沒有身體的痛覺,但是「心痛」的感覺還是有的。如果太晚,則神識已離身而成中陰,中陰身是有知覺的。[33]
雖然處在中陰的狀態,不會有生理上的痛覺,但對「我」的身體、「我」的所有……殘留的指揮控制的習性,面對身體受播弄,「心痛」的感覺還是有的。
提出我人在臨終階段可能產生的「心痛的感覺」,並不在否定死後器官捐贈的布施行,菩薩行原就是難行能行,實踐過程自會有利己利人乃至於損己利人的層次差別。藉著顯示人對自己身心乃至身外之物的深刻執著,希望行者能真切了解可能面對的困境與難度,因而知所應對知所準備,這種「知己知彼」的過程與準備態度應是必須的。
論者曾指出,在推動佛教徒器官捐贈時,我們並不能保證死後必然沒有知覺。所以勇敢來捐贈器官,是一個菩薩道立場的抉擇與實踐。
如何落實佛教的深層生命關懷,使每一個佛教徒的捐贈器官,超越死後八時不動與神識中陰的問題,而成為學習諸佛菩薩行為的菩薩道。[34]六波羅密的布施度,原即鼓勵應修捨心、練習放下。心痛而願施且能施,自是行者本色。
p. 292
但需是認清事實後的莊嚴承擔,而不是一時高興的情緒作用、更不是不明究裡的糊塗允諾。
如何確知是莊嚴承擔,還是一時衝動的情緒?我們以為,可以從平時是否已經注意培養相應承擔的能力作判斷。平常沒有培養出放下捨得的習性,而期待臨終便有放下的本領,對大多數人而言,實在是奢求。
在器官捐贈與臨終神識的討論上,印光大師與印順導師兩大師的說法有異;我們姑且不論其是否各從理事之一端來教導,但卻可以肯定:不論臨終人是否有意識,都應該在臨前做好布施的各項準備。
即便在臨終全無瞋起,佛法重視的是發心以後的實踐,在簽下臨終器官捐贈卡的當下,只是發心立志的表示,而是否能圓滿當時的志願,還要視發心之後的實踐與練習而定。
從發心到完成,其中有許多中間過程,並非當下即可一蹴而至。古德曾說明實踐歷程的次第辛苦云:[35]
靜中有十分功夫,動中才有三分把握;動中有十分功夫,夢中才有三分把握;夢中有十分功夫,病痛中才有三分把握;病痛中有十分功夫,臨終才有三分把握。
身體屬內財,施捨身體是比施捨身外之物的外財要困難許多,有志於臨終施捨身體,不妨在平時從施捨身外之物做起,然後次第而進,庶亦可免舍利弗往昔捐眼不成而退心之失。
--
【參考書目】
大衛•韓汀著、孟汶靜譯,《透視死亡》。臺北:東大,1997。
波伊曼著、江麗美譯,《生與死:現代道德困境的挑戰》。臺北:桂冠,1997。
波伊曼著、陳瑞麟等譯,《今生今世》。臺北:桂冠,1997。
索甲仁波切著、鄭振煌譯,《西藏生死書》。臺北:張老師,1996。
達賴喇嘛著、江支地譯,《生命之不可思議》。臺北:立緒文化,1995年4月初版。
葛培理著、余國亮譯,《如何面對死亡》。香港:浸信會出版社,1990中文初版。
林綺雲編,《生死學》。臺北:洪葉文化公司,2000年7月一版。
林其賢,〈李卓吾自殺原因試探〉,《李卓吾的佛學與世學》。臺北:文津出版社,1992。
楊鴻台,《死亡社會學》。上海:社科院,2000。
姚衛群,〈佛教的倫理思想與現代社會〉,《北京大學學報》第3期。1999年。
陳榮基,〈緩和醫療與自然死不是安樂死〉,《蓮花會刊》。臺北,2000年5月。
蕭宏恩,〈由儒家的觀點來看寬容與臨終關懷〉,《哲學與文化》卷27第1期。臺北,2000年1月。
傅偉勳,《死亡的尊嚴與生命的尊嚴》。臺北:正中書局,1993。
釋印順,《佛法概論》。臺北:正聞出版社,1984年2月。
釋見岸,〈試論安樂死的倫理問題〉,《弘誓》第38期。1999年4月。
釋昭慧,《佛教倫理學》。臺北:法界,1996。
釋恆清,〈佛教的自殺觀〉,《哲學論評》第9期。1986年1月。
釋惠敏,〈安寧療護的佛教倫理觀〉,《安寧療護》第8期。臺北,1996。
〈靈性照顧與覺性照顧之異同〉,《安寧療護》第5期。臺北,1997。
釋聖嚴,《戒律學綱要》。臺北:東初,1991。
沙加 (Saint Seiya - Virgo Shaka) 之死,悟出第八感,[阿賴耶識] 1
https://www.youtube.com/watch?v=3syLY8mo5BQ
沙加 (Saint Seiya - Virgo Shaka) 之死,悟出第八感,[阿賴耶識] 2
https://www.youtube.com/watch?v=ckyhzitRKQU
source :
佛教臨終關懷的當代難題 ── 安樂死 與器官捐贈
林其賢、郭惠芯
國立屏東商業技術學院副教授、屏東社區大學生死學課程講師
http://www.chibs.edu.tw/ch_html/chbs/08/chbs0809.htm#div3
林其賢、郭惠芯 : 佛教如何看待器官捐贈
http://enlight.lib.ntu.edu.tw/FULLTEXT/JR-BJ012/bj012117619.htm
林其賢、郭惠芯 : 佛教如何看待器官捐贈
. . .
三、佛教如何看待器官捐贈
器官捐贈有自活體摘取器官捐贈,以及從屍體摘取器官捐贈之別。自活體摘取器官捐贈是在生時捐贈器官,如捐贈腎臟、捐贈皮膚。
佛陀往昔有捨身餵虎、割肉餵鷹之舉,[26]即是活體捐贈的模範。
目前我國自活體摘取器官捐贈限制移植於三親等以內之血親或配偶。從屍體摘取器官捐贈則是在判定腦死後,摘取器官移植。
照說,活體器官捐贈與屍體器官捐贈兩者應是以活體器官捐贈的難度較高爭議較大,卻不料,佛教界對活體器官捐贈反而爭議較少,對死後捐贈器官的爭議較多。
p. 289
爭議的焦點在於死後處理遺體時,有不同時間點的考量,以及器官捐贈在布施修行上的次第安排,因此在自利、利他之間,以及己立而後立人的的選擇會有不同的掌握。
當代佛教徒從人的臨終至死亡的安置,大致有命終八小時之後方可哭泣及接觸亡者遺體的說法,這主要是依據弘一大師〈人生之最後〉一文而來:
既已命終,最切要者,不可急忙移動。雖身染便穢,亦勿即為洗滌。必須經過八小時後,乃能浴身更衣,常人皆不注意此事,而最要緊。惟望廣勸同人,依此謹慎行之。
命終前後,家人萬不可哭。哭有何益,能盡力幫助念佛乃於亡者有實益耳。若必欲哭者,須俟命終八小時後。
命終之後,念佛已畢,即鎖房門。深防他人入內,誤觸亡者。必須經過八小時後,乃能浴身更衣。(前文已言,今再諄囑,切記切記。)因八小時內若移動者,亡人雖不能言,亦覺痛苦。[27]
印光大師則根據 「壽、煖、識,三者常不相離」的經教,[28] 說明「如人生有煖,則有識在,識在則壽尚未終。」印光大師云:
人死氣斷之後,彼不即去,必待至通身冷透,無一點煖氣,彼識方去,識去,則此身毫無知覺矣。若有一處稍煖,彼識尚未曾去,動著觸著,仍知痛苦,此時切忌穿衣、盤腿、搬動等事。若稍觸著,則其痛苦最為難忍,不過口不能言,身不能動而已。[29]
- -
p. 290
由於關係到亡者下一生的去處,因此,佛教徒奉行者多,多年來亦少異議。異議之起,始於器官捐贈之討論,因為死後器官捐贈是在判定腦死後即行摘取器官。此時,時間尚未滿八小時,體溫猶存,不摘取則無法成全器官捐贈;摘取,則有妨礙亡者去處之虞。
為成全死後器官捐贈而從教理提出支持論點的是當代大德印順導師。繼程法師曾於1980年訪問時提出問題道:捐獻眼角膜者,必須在六小時內取出。
這與傳統佛教人死後八小時內不可摸觸的說法是相違的。面對如此兩難,應如何處理?印順導師從唯識學理論分析,認為死後即摘取器官,並不會妨礙亡者。他說:
人死了以後,前六識(眼、耳、鼻、舌、身、意)都已停止作用,即使第八阿賴耶識未離身,也不會有痛苦的感覺,因為身體有痛苦是身識與意識的作用。阿賴耶是「無記」性的,不會有痛的感覺。[30]
爾後,印順導師更明確地表示:死後立即摘取器官,不會妨礙亡者。印順導師和印光大師一樣,也是從識、暖、壽三者的關係來談:
如沒有了識與暖,壽命也就完了。這三者,是同時不起而確定為死亡的。這樣,如還有體溫,也就是還有意界(識)與壽命,而醫生宣告死亡,就移動身體;或捐贈器官的,就進行開割手術,那不是傷害到活人嗎?
不會的!如病到六識不起(等於一般所說的「腦死」),身體部分變冷,那時雖有微細意界──唯識學稱為末那識與阿賴耶識,但都是捨受,不會有苦痛的感受。
移動身體,或分割器官,都不會引起苦痛或厭惡的反應。所以,如醫生確定為腦死,接近死亡,那末移動身體與分割器官,對病(近)死者是沒有不良後果的。[31]
印順導師從唯識學的教理去判斷,在「腦死」的情況下,身體部分變冷,此時雖有微細的末那識與阿賴耶識,但都是「捨」受,不會有苦痛的感受。印光大師則認為:
- -
p. 291
只要身上還有一處稍煖,則神識未去,「若稍觸著,則其痛苦最為難忍。」印光大師與印順導師兩位大德見地如此相異,癥結應在於:
一、「臨終」人有否知覺感受?
二、「臨終」的時間界定。印順導師從唯識學來說︰「即使第八阿賴耶識未離身,也不會有痛苦的感覺,因為身體有痛苦是身識與意識的作用。阿賴耶是『無記』性的,不會有痛的感覺。」[32]
如果只有微細的末那識與阿賴耶識,因為都是「捨」受,自然不易引生苦痛的感受。但是如何確知亡者是在「前六識不起」,僅有七、八兩識作用?
時間的起始與結束如何掌握?如果太早,則僅是前五識不起,雖然沒有身體的痛覺,但是「心痛」的感覺還是有的。如果太晚,則神識已離身而成中陰,中陰身是有知覺的。[33]
雖然處在中陰的狀態,不會有生理上的痛覺,但對「我」的身體、「我」的所有……殘留的指揮控制的習性,面對身體受播弄,「心痛」的感覺還是有的。
提出我人在臨終階段可能產生的「心痛的感覺」,並不在否定死後器官捐贈的布施行,菩薩行原就是難行能行,實踐過程自會有利己利人乃至於損己利人的層次差別。藉著顯示人對自己身心乃至身外之物的深刻執著,希望行者能真切了解可能面對的困境與難度,因而知所應對知所準備,這種「知己知彼」的過程與準備態度應是必須的。
論者曾指出,在推動佛教徒器官捐贈時,我們並不能保證死後必然沒有知覺。所以勇敢來捐贈器官,是一個菩薩道立場的抉擇與實踐。
如何落實佛教的深層生命關懷,使每一個佛教徒的捐贈器官,超越死後八時不動與神識中陰的問題,而成為學習諸佛菩薩行為的菩薩道。[34]六波羅密的布施度,原即鼓勵應修捨心、練習放下。心痛而願施且能施,自是行者本色。
p. 292
但需是認清事實後的莊嚴承擔,而不是一時高興的情緒作用、更不是不明究裡的糊塗允諾。
如何確知是莊嚴承擔,還是一時衝動的情緒?我們以為,可以從平時是否已經注意培養相應承擔的能力作判斷。平常沒有培養出放下捨得的習性,而期待臨終便有放下的本領,對大多數人而言,實在是奢求。
在器官捐贈與臨終神識的討論上,印光大師與印順導師兩大師的說法有異;我們姑且不論其是否各從理事之一端來教導,但卻可以肯定:不論臨終人是否有意識,都應該在臨前做好布施的各項準備。
即便在臨終全無瞋起,佛法重視的是發心以後的實踐,在簽下臨終器官捐贈卡的當下,只是發心立志的表示,而是否能圓滿當時的志願,還要視發心之後的實踐與練習而定。
從發心到完成,其中有許多中間過程,並非當下即可一蹴而至。古德曾說明實踐歷程的次第辛苦云:[35]
靜中有十分功夫,動中才有三分把握;動中有十分功夫,夢中才有三分把握;夢中有十分功夫,病痛中才有三分把握;病痛中有十分功夫,臨終才有三分把握。
身體屬內財,施捨身體是比施捨身外之物的外財要困難許多,有志於臨終施捨身體,不妨在平時從施捨身外之物做起,然後次第而進,庶亦可免舍利弗往昔捐眼不成而退心之失。
--
【參考書目】
大衛•韓汀著、孟汶靜譯,《透視死亡》。臺北:東大,1997。
波伊曼著、江麗美譯,《生與死:現代道德困境的挑戰》。臺北:桂冠,1997。
波伊曼著、陳瑞麟等譯,《今生今世》。臺北:桂冠,1997。
索甲仁波切著、鄭振煌譯,《西藏生死書》。臺北:張老師,1996。
達賴喇嘛著、江支地譯,《生命之不可思議》。臺北:立緒文化,1995年4月初版。
葛培理著、余國亮譯,《如何面對死亡》。香港:浸信會出版社,1990中文初版。
林綺雲編,《生死學》。臺北:洪葉文化公司,2000年7月一版。
林其賢,〈李卓吾自殺原因試探〉,《李卓吾的佛學與世學》。臺北:文津出版社,1992。
楊鴻台,《死亡社會學》。上海:社科院,2000。
姚衛群,〈佛教的倫理思想與現代社會〉,《北京大學學報》第3期。1999年。
陳榮基,〈緩和醫療與自然死不是安樂死〉,《蓮花會刊》。臺北,2000年5月。
蕭宏恩,〈由儒家的觀點來看寬容與臨終關懷〉,《哲學與文化》卷27第1期。臺北,2000年1月。
傅偉勳,《死亡的尊嚴與生命的尊嚴》。臺北:正中書局,1993。
釋印順,《佛法概論》。臺北:正聞出版社,1984年2月。
釋見岸,〈試論安樂死的倫理問題〉,《弘誓》第38期。1999年4月。
釋昭慧,《佛教倫理學》。臺北:法界,1996。
釋恆清,〈佛教的自殺觀〉,《哲學論評》第9期。1986年1月。
釋惠敏,〈安寧療護的佛教倫理觀〉,《安寧療護》第8期。臺北,1996。
〈靈性照顧與覺性照顧之異同〉,《安寧療護》第5期。臺北,1997。
釋聖嚴,《戒律學綱要》。臺北:東初,1991。
沙加 (Saint Seiya - Virgo Shaka) 之死,悟出第八感,[阿賴耶識] 1
https://www.youtube.com/watch?v=3syLY8mo5BQ
沙加 (Saint Seiya - Virgo Shaka) 之死,悟出第八感,[阿賴耶識] 2
https://www.youtube.com/watch?v=ckyhzitRKQU
source :
佛教臨終關懷的當代難題 ── 安樂死 與器官捐贈
林其賢、郭惠芯
國立屏東商業技術學院副教授、屏東社區大學生死學課程講師
http://www.chibs.edu.tw/ch_html/chbs/08/chbs0809.htm#div3
林其賢、郭惠芯 : 佛教如何看待器官捐贈
http://enlight.lib.ntu.edu.tw/FULLTEXT/JR-BJ012/bj012117619.htm
Labels:
EE5410,
Richard Kroner : 論康德與黑格爾,
Tillich : 田立克--存在主義神學,
Ελληνική γλώσσα,
心經,
明治漢學,
機戰music
御製千字文序 - 肅宗(朝鮮王, 1620-1720) 撰
御製千字文序 - 肅宗(朝鮮王, 1620-1720) 撰
source :
註解千字文●주해천자문
http://db.cyberseodang.or.kr/front/main/main.do
註解千字文●주해천자문
http://www.kostma.net/
(도상주해)천자문 v1[(圖像註解)千字文 v1
http://yoksa.aks.ac.kr/jsp/aa/Directory.jsp?fcs=f&cf=a&gb=1
http://www.yasue.cc/thousand.html
KR3a0058 大學衍義-宋-眞德秀
https://www.kanripo.org/text/KR3a0058/
KR3a0080 大學衍義補-明-丘濬
御製千字文序 / 肅宗(朝鮮王, 1620-1720) 撰
http://jsg.aks.ac.kr/data/dir/book.do?category=JAKAIC
http://jsg.aks.ac.kr/data/dir/bookView.do?category=JAKAIC&page=1&callNum=K1-203
--
我國家邈處日域,自中國視之,與安南、交趾無異,而中國之人,不鄙夷之,至稱小中華
http://sillok.history.go.kr/id/wka_10712026_001
庶民則男女勤耕桑之務,士夫則文武供內外之事,家家有封君之樂,世世存事大之體,作別乾坤,稱小中華-3
http://sillok.history.go.kr/id/kia_11210017_001
庶民則男女勤耕桑之務,士夫則文武供內外之事,家家有封君之樂,世世存事大之體,作別乾坤,稱小中華
http://sillok.history.go.kr/popup/viewer.do?id=kia_11210017_001&type=view&reSearchWords=&reSearchWords_ime=#
朝鮮王朝實錄
http://hanchi.ihp.sinica.edu.tw/mqlc/hanjishilu?@5^2039397373^802^^^8021100200160014000100020017@@886655005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7823
聖學輯要 성학집요 @ 栗谷全書 by李珥
http://www.krpia.co.kr/knowledge/itkc/detail?artClass=MM&artId=kc_mm_a201#none
聖學輯要 성학집요 @ 栗谷全書 by李珥
http://db.itkc.or.kr/itkcdb/text/nodeViewIframe.jsp?seojiId=kc_mm_a201&bizName=MM&gunchaId=av019&muncheId=01&finId=001
聖學輯要 성학집요 @ 栗谷全書 by李珥
http://www.krpia.co.kr/viewer/open?plctId=PLCT00005160&nodeId=NODE05356293
聖學輯要 성학집요 @ 栗谷全書 by李珥
http://db.itkc.or.kr/itkcdb/text/nodeViewIframe.jsp?seojiId=kc_mm_a201&bizName=MM&gunchaId=av020&muncheId=01&finId=001
聖學輯要 성학집요 @ 栗谷全書 by李珥
http://www.wul.waseda.ac.jp/kotenseki/html/he16/he16_02426/index.html
聖學輯要 성학집요 @ 栗谷全書 by李珥
http://archive.wul.waseda.ac.jp/kosho/he16/he16_02426/
source :
註解千字文●주해천자문
http://db.cyberseodang.or.kr/front/main/main.do
註解千字文●주해천자문
http://www.kostma.net/
(도상주해)천자문 v1[(圖像註解)千字文 v1
http://yoksa.aks.ac.kr/jsp/aa/Directory.jsp?fcs=f&cf=a&gb=1
http://www.yasue.cc/thousand.html
KR3a0058 大學衍義-宋-眞德秀
https://www.kanripo.org/text/KR3a0058/
KR3a0080 大學衍義補-明-丘濬
御製千字文序 / 肅宗(朝鮮王, 1620-1720) 撰
http://jsg.aks.ac.kr/data/dir/book.do?category=JAKAIC
http://jsg.aks.ac.kr/data/dir/bookView.do?category=JAKAIC&page=1&callNum=K1-203
--
我國家邈處日域,自中國視之,與安南、交趾無異,而中國之人,不鄙夷之,至稱小中華
http://sillok.history.go.kr/id/wka_10712026_001
庶民則男女勤耕桑之務,士夫則文武供內外之事,家家有封君之樂,世世存事大之體,作別乾坤,稱小中華-3
http://sillok.history.go.kr/id/kia_11210017_001
庶民則男女勤耕桑之務,士夫則文武供內外之事,家家有封君之樂,世世存事大之體,作別乾坤,稱小中華
http://sillok.history.go.kr/popup/viewer.do?id=kia_11210017_001&type=view&reSearchWords=&reSearchWords_ime=#
朝鮮王朝實錄
http://hanchi.ihp.sinica.edu.tw/mqlc/hanjishilu?@5^2039397373^802^^^8021100200160014000100020017@@886655005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7823
聖學輯要 성학집요 @ 栗谷全書 by李珥
http://www.krpia.co.kr/knowledge/itkc/detail?artClass=MM&artId=kc_mm_a201#none
聖學輯要 성학집요 @ 栗谷全書 by李珥
http://db.itkc.or.kr/itkcdb/text/nodeViewIframe.jsp?seojiId=kc_mm_a201&bizName=MM&gunchaId=av019&muncheId=01&finId=001
聖學輯要 성학집요 @ 栗谷全書 by李珥
http://www.krpia.co.kr/viewer/open?plctId=PLCT00005160&nodeId=NODE05356293
聖學輯要 성학집요 @ 栗谷全書 by李珥
http://db.itkc.or.kr/itkcdb/text/nodeViewIframe.jsp?seojiId=kc_mm_a201&bizName=MM&gunchaId=av020&muncheId=01&finId=001
聖學輯要 성학집요 @ 栗谷全書 by李珥
http://www.wul.waseda.ac.jp/kotenseki/html/he16/he16_02426/index.html
聖學輯要 성학집요 @ 栗谷全書 by李珥
http://archive.wul.waseda.ac.jp/kosho/he16/he16_02426/
Freitag, 24. November 2017
陳雲: 文化禮儀之爭,習總寸步不讓
陳雲: 文化禮儀之爭,習總寸步不讓
陳雲: 文化禮儀之爭,習總寸步不讓
中美的文化比拼開始了。
二O一七年十一月八日,習近平破例在皇宮接見特朗普[1],以華夏王朝文化自居,特朗普則以埃及文化回應。
美國的深層精神傳統是埃及的神秘主義,如美鈔上面的金字塔、全知眼(天眼)。
然則,埃及可以考據的王朝文化並無八千年,大概也是五千年,與華夏相若。
習近平的歷史年份還是對的。他說華人是龍的傳人,則是民國的神話構造,將國民神聖化來組成民國。
王朝時代,只有天子是龍的傳人,老百姓不是,只是炎黃子孫(諸夏、南北民族)與東夷西戎、南蠻北狄而已。
至於特朗普、奧巴馬與習近平,他們是怎樣見日本皇帝的呢?平民元首見外邦君王,要鞠躬嗎?
二O 一七年十一月五日及六日,美國特朗普總統訪問日本,見日皇沒有鞠躬,只是點頭示意和握手示好,但他也趨前與等候國賓的日皇握手,
並且開口向日皇問好,顯示主客之禮,日本是主,美國是客,特朗普做到恰當。為什麼特朗普不必鞠躬呢?
首先,鞠躬禮並不是美國的現代禮儀,美國元首只能與日皇握手。此外,日皇礙於皇室身份,不會向平民鞠躬回禮的。你向日皇鞠躬,日皇是無法回禮的。
是故,美國元首只能與日皇行握手之禮。二〇〇九年,奧巴馬總統訪問日本,向日皇深鞠躬而日皇無法鞠躬回禮,
任由日皇在居於上位來俯視他,是不合體統的。日皇夫婦只能略為欠身回禮,令美國丟失體統了。
至於習近平總統,訪問日本期間,並無向日皇鞠躬,只是略點頭微笑和握手示好。
而且習近平總統並無趨前與與迎接國賓的日皇握手,反而立正身軀,閉口不言,向下俯視日皇,由得日皇趨前與習近平握手。
華人元首可以向日皇鞠躬,但日皇也必須鞠躬回禮。否則華人元首就是以平民元首的地位向貴族元首鞠躬朝拜。
習先生反客為主,保留了唐宋時代的華夏王朝視日本為朝貢國的風範。
習近平先生在禮儀之爭,寸步不讓日本。在這個關鍵時刻,他老人家做對了。但他顯示的心中傲氣,外邦(特別是香港城邦)也要小心。
-完-
[1] 習二O一七年十一月八日下午,美國總統特朗普抵達北京,中共總主記習近平邀請特朗普夫婦參觀故宮太和殿,
在寶蘊樓簡短茶敘,隨後一同在暢音閣觀欣賞京劇《梨園春苗》、《美猴王》和《貴妃醉酒》,並在乾隆皇帝曾居住的建福宮設宴款待特朗普夫婦。
陳雲: 文化禮儀之爭,習總寸步不讓
https://hk.news.yahoo.com/%E6%96%87%E5%8C%96%E7%A6%AE%E5%84%80%E4%B9%8B%E7%88%AD%EF%BC%8C%E7%BF%92%E7%B8%BD%E5%AF%B8%E6%AD%A5%E4%B8%8D%E8%AE%93-105826270.html
中朝以文士之多爲美,先是天使倪謙出來,見成三問、朴彭年之才,稱爲小中華-4
http://sillok.history.go.kr/id/kka_10310022_001
庶民則男女勤耕桑之務,士夫則文武供內外之事,家家有封君之樂,世世存事大之體,作別乾坤,稱小中華-3
http://sillok.history.go.kr/id/kia_11210017_001
庶民則男女勤耕桑之務,士夫則文武供內外之事,家家有封君之樂,世世存事大之體,作別乾坤,稱小中華
http://sillok.history.go.kr/popup/viewer.do?id=kia_11210017_001&type=view&reSearchWords=&reSearchWords_ime=#
朝鮮王朝實錄
http://hanchi.ihp.sinica.edu.tw/mqlc/hanjishilu?@5^2039397373^802^^^8021100200160014000100020017@@886655005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7823
1. 성종실록 20권, 성종 3년 7월 10일 乙巳 4번째기사 / 예조에서 음란한 짓을 금제하는 조목을 기록하여 아뢰다
箕子以來, 敎化大行, 男有烈士之風, 女有貞正之俗, 史稱小中華。 比聞淫奔之女, 前則只在於陽城縣 加川, 而今也四方院、館、營、鎭之間, 亦多有之。 春夏則奔魚梁收稅之場, 秋冬則遊山間僧舍, 恣行淫亂, 汚染敎化。」 令守令、萬戶、驛丞檢察, 重論爲便。’ 臣等參詳, 淫穢之俗, 法所痛治。 今也, 號稱遊女, 或稱花娘, 淫縱自恣, 其禁制之目, 具錄于後。 一。 花娘、遊...
2. 성종실록 134권, 성종 12년 10월 17일 戊午 1번째기사 / 남원군 양성지가 중국이 개주에 위를 설치한다는 것에 대해 상언하다
外之事, 家家有封君之樂, 世世存事大之體, 作別乾坤, 稱小中華, 凡三千九百年于玆矣。 黃溍以爲仕國, 黃儼亦曰天堂, 元 世祖使我以儀從舊俗, 高皇帝許我以自爲聲敎 。 然使我自爲聲敎者, 非徒言語不通, 習俗亦異。 以元末紅軍二十萬人, 闌入我疆, 我以大兵擊斬殆盡, 軍聲大振, 聞于天下, 且皇明定都金陵, 而本國與北元連境, 勢不得不如是也。 或以爲, ‘中國之於東方, ...
3. 성종실록 208권, 성종 18년 10월 12일 戊寅 1번째기사 / 중국 사신의 접대에 시위 군사의 예모를 전교하다
其還也, 言曰: ‘朝鮮實是知禮之國, 其稱小中華, 非虛語也。’ 稱嘆不已。 副使張瑾曰: ‘只有一事不如中朝, 中朝殿上衛士, 雖盛暑汗流, 身不敢動。 今見侍殿上者, 左右顧視, 稍失禮貌云。’ 臣請於天使接待時, 衛士勿令旋視, 以嚴禮貌。 且令堂上官以上, 竝服胸背圓領, 以別朝官等級何如?" 傳曰: "卿言甚當。 侍衛 之士數數代替, 勿令顧視。 胸背亦從品穿着。"
4. 중종실록 7권, 중종 3년 10월 22일 丙戌 1번째기사 / 조강에서 인재 양성을 위해 불시의 고강·적절한 교수·독서당 예우 등을 아뢰다
上曰: "人才之不作如是, 故已令推考該曹及館學官員耳。" 說經成世昌曰: "讀書堂支應等事, 不足數也。 如書冊、紙、筆不足, 國家所藏書冊亦多, 請移置, 以便觀覽。" 參贊官李世仁曰: "今日所啓, 皆養育人才事, 請留意焉。 我國雖在海外, 中朝以文士之多爲美, 先是天使倪謙出來, 見成三問、朴彭年之才, 稱爲小中華。 今弘文館官員有將來者, 使久居其任, 以成華國之才。"
5. 중종실록 17권, 중종 7년 12월 26일 丙寅 1번째기사 / 대사헌 남곤 등이 소릉의 일을 상소하다
國視之, 與安南、交趾無異, 而中國之人, 不鄙夷之, 至稱小中華。 豈非以世修禮義, 君君臣臣父父子子, 民彝物則, 猶足可觀故耶? 今數千年間十六代帝王所無之事, 而獨於我朝鮮見之, 則非唯負愧於前古, 亦且負愧於中國。 此非獨一世君臣之所大恥也, 抑吾東方億萬年無窮之大恥也。 臣等又聞, 神道與人道, 無小差爽, 光廟禮陟之後, 與祖宗列聖, 昭列于天, 於世宗, 則...
6. 인조실록 32권, 인조 14년 2월 21일 丙申 1번째기사 / 홍익한이 금한을 배척하고 명분을 세울 것을 상소하다
, 臣妾我君臣者, 實由是耳。 我國素以禮義聞天下, 稱之以小中華, 而列聖相承, 事大一心, 恪且勤矣。 今乃服事胡虜, 偸安僅存, 縱延晷刻, 其於祖宗何, 其於天下何, 其於後世何? 且胡差所帶來, 半是新附西㺚云。 西㺚之於我, 旣無交聘之禮, 奚有儐接之道? 拒而不納可也, 而入境有日, 迄無廟堂一言, 臣未知處廟堂者何人, 而高枕熟睡, 尙不覺悟也? 噫! 身居...
7. 숙종실록 44권, 숙종 32년 12월 26일 庚戌 2번째기사 / 보덕 최계옹이 관원들의 풍기 문란을 염려하는 상소하다
位 高士夫, 亦且爲之。 念此箕方, 古稱小中華, 衣冠文物, 不改舊制, 而俗習胡舞, 恬不知恥, 則哀我東人, 亦已化爲胡矣。 甚至於向者進宴時, 內宴外習儀之日, 所謂都監二提調, 私諭舞處容者, 乃行淫褻之戲, 觀者駭目。 若非其時一提調呵禁, 則威儀肅敬之地, 終不免爲褻慢之場, 此豈聖世所宜有也? 答曰: "上款所陳, 予當留意, 而疏末指斥吏判之說, 太不近理, 決知其孟浪也。"
8. 숙종실록 65권, 부록 / 숙종 대왕 행장(行狀)
文物, 燦然可述。 使我東國, 至今冠帶, 克明五常, 以得小中華之稱者, 箕子之力也。 其令主文之臣, 別構祭文, 遣都承旨, 致祭于箕子廟。" 仍命承旨曰: "別遣承旨, 重其事也, 卿須致敬行祀, 廟宇墳(瑩) 〔塋〕 , 如有頹圯, 一一書啓, 以爲修葺之地, 子孫中可合錄用者, 亦爲訪問。" 承旨白: " 檀君、東明王廟, 亦在其處, 自世宗朝, 春秋降香祝, 似當一體行祭。" 王曰: "先祭箕子廟...
9. 숙종실록보궐정오 19권, 숙종 [보궐정오실록] 14년 6월 14일 乙卯 1번째기사 / 이조 판서 박세채가 올린 시무 12조
本朝繼高麗之末運, 用文爲治, 典章名物, 粲然具備, 足稱小中華 之號, 而經歷變故, 世降俗弊, 行於家者, 旣未淳厚, 措諸國者, 亦多苟簡, 類爲掩遮欺謾之科, 雖喪其所賦天理之眞, 而不自覺察, 風敎不競, 奸僞百出。 今當大矯其弊, 凡於制度云爲之間, 必思有以渾然誠確之心, 白直行事, 內不欺己, 外不欺人, 一以忠信篤厚, 久而不變, 使下之人, 觀感從化, 則終當有所正矣。 二曰,...
10. 정조실록 19권, 정조 9년 2월 14일 甲午 6번째기사 / 사은 정사 박명원과 부사 윤승렬의 장계의 별단
接待, 逾於常格, 文華彬彬, 禮栗껌濟, 令人起敬。 素稱小中華, 儘非虛語。" 又有江西人戴均, 元現官翰林, 稱阿肅爲老師, 自稱門人。 話語間以爲: "老師回京後往見, 則盛道東方禮義之彬蔚, 接待之隆厚。" 云。 大略與狄翔言, 別無差殊。 一, 皇帝御小殿, 招立通官於第一門密邇之地, 使黃門, 傳授書冊、筆墨等物種, 而傳授之際, 黃門還入復出者, 爲二三次。 蓋擇...
11. 정조실록 19권, 정조 9년 4월 14일 癸巳 1번째기사 / 역적을 토벌한 것에 대해 하례하다
特軫大義之昭揭; 刑政再恢於湖海, 庶幾民志之交孚。 不意小中華尙禮義之邦, 乃有極悖亂、至凶慘之變。 嘻! 其痛矣, 尙忍言哉? 逆賊夏材, 此殆天地開闢以後所無, 亦豈日月薄蝕之變可比? 生於乙丑血黨, 以三賊竝稱, 歲則甲辰, 甘心與一鏡同死。 一種莾、操之逆節, 古或有聞; 百倍雲、海之凶言, 今始創見。 千奇萬怪之層出, 縱云事變無窮; 九法、三綱之尙存, 胡乃斁絶...
12. 정조실록 46권, 정조 21년 5월 22일 辛酉 2번째기사 / 인현서원의 명칭 개칭 등에 관한 채제공·이병모·이서구 등의 논의
刑曹參判徐龍輔、原任奎章閣直閣金祖淳、承政院右承旨洪仁浩, 是秉模議。 備邊司堂上李書九則曰: "中國亦有箕子墓, 則在平壤者, 豈出傳疑? 享祀之不擧, 非有歉於崇報。 創行新典, 恐難遽議。" 敎曰 : "東國稱小中華, 而三韓以前, 大樸之尙爾, 儀文多草創, 至今未遑於應行之典禮而然乎? 與院名一款, 更令禮判, 博考指一草記。"
13. 정조실록 49권, 정조 22년 9월 1일 辛酉 1번째기사 / 사학 유생 유춘주가 신약추에게 형률을 적용하길 상소하다
臨御二十有餘年, 明理講義, 以繼述我列聖朝志事, 以賁飾我小中華文物。 其所以褒尙節義, 扶植倫綱者, 靡不用極, 又此新刊《春秋》, 重揭日星, 固宜人心底定, 世道歸正。 而一種 怪鬼, 換面迭出, 至有至凶絶悖之說, 登諸章奏, 世間變怪, 可謂無不有也。 蓋其全篇褻慢, 遣辭奰戾, 亂言之不足, 至於悖經, 悖經之不足, 至於辱國, 此豈洪水猛獸之災而已哉? 至若封山之說, 尤極...
14. 정조실록 52권, 정조 23년 12월 21일 甲辰 2번째기사 / 지중추부사 홍양호가 상차하여 《흥왕조승》 4편을 올리다
風氣相近, 聲敎攸漸, 衣冠悉遵華制, 文字不用番梵, 或稱小中華, 或稱君子之國, 與夫侏𠌯左袵之俗, 逈然 不同。 而第自王氏之世, 壤接靺鞨, 媾連蒙元, 故禮敎不興, 倫紀不明。 擊剌以爲能事, 叛亂殆無虛歲, 檀、箕之遺風, 漠然不可見矣。 何幸天開鴻荒, 運屆熙明, 我朝之興。 適會於皇明, 肇造區夏之時, 錫號賜冕, 視同內服。 乾坤與之合德, 神人爲之夾助, 於是乎我太祖大王...
15. 순조실록 3권, 순조 1년 12월 22일 甲子 1번째기사 / 사학을 토죄하고 인정전에서 진하를 행하다. 반교문
, 四海歸仁, 有過化存神之妙。 詎意極西方陰沴之氣, 闖入小中華禮義之邦? 敢欲滓穢太淸, 所事者蛇神、牛鬼, 幾至誑惑半世, 其說則地獄、天堂, 神父、敎主之稱, 崇奉過於尸祝, 十誠、七克之目, 誕妄類於讖符。 喜生惡死人情 也, 而視刀鋸如袵席, 追遠執本天理也, 而以烝嘗爲弁髦, 若敖之鬼不其餒, 而中冓之言亦可醜也。 紏結錮族、廢孽、怨國、失志之輩, ...
16. 순조실록 26권, 순조 23년 8월 2일 戊戌 1번째기사 / 성균관에서 거재 유생들이 서얼들이 상소한 것에 대해 권당한 소회를 아뢰다
貴賤之所係, 天道行而人紀立焉。 猗歟! 本朝, 海外尙文之小中華也。 三韓之際, 羅、麗之間, 猶未免夷俗之陋, 逮夫我太祖, 太宗, 明倫於勝國崇佛之後, 陳常於勝國蔑儒之餘。 凡係名分二字處, 其嚴有截, 其等有隔, 一洗舊染, 如日中天。 際於其時, 大明 高皇帝, 頒我以禮法之書, 賜我以冠裳之制, 儀節之隆殺, 名位之等級, 井井有區域, 分不得踰寸, ...
17. 순조실록 29권, 순조 27년 4월 1일 丙午 10번째기사 / 승정원에서 목태석의 국문을 청하다
求過於無過之地。 敢言其所不敢言, 遣辭狂悖, 用意陰慘, 此不但我朝之賊臣, 實是皇朝之罪人。 此而不嚴加重辟, 則義理日益晦蒙, 人心日益陷溺, 而小中華一域, 無復讀《春秋》者。 且其龍淵 山虎等句語, 絶悖無嚴, 此豈人臣所敢道哉? 終篇旨意, 極其閃忽, 要不出挾雜之計, 已施之律, 不足以懲其罪。 請島配罪人睦台錫, 亟令王府拿鞫嚴問, 決正典刑。" 答曰: "勿煩。"
18. 헌종실록 14권, 헌종 13년 8월 9일 乙卯 3번째기사 / 성근묵이 상소하여 이양선에 대해 보다 더 단호한 대처를 하도록 하다
, 見陵於邪賊, 惟以保養妖邪, 爲緩禍之長策, 則將見我小中華一域, 淪胥爲妖獸怪鳥而莫之救也。 從古戎狄之禍, 豈有善惡之可辨, 而至於此賊, 則肆然稱義理, 俑厥無前之異端, 以威脅聖人之道, 此華夷、人獸之大關棙也。 楊、墨之道, 非身親爲亂臣賊子之事也, 孟子曰, ‘仁義充塞, 率獸而食人’, 又曰, ‘能言拒楊、墨者, 聖人之徒也。’ 彼之使船, 如馬橫行大海,...
19. 고종실록 34권, 고종 33년 1월 7일 陽曆 3번째기사 / 김병시가 단발령에 반대하는 상소를 올리다
肇自箕聖東 渡, 敎民八條, 典章文物, 燦然大備, 稱之以小中華。 曁我朝聖神相繼, 重熙累洽, 式克至于今日休, 夫何拚棄前聖懿規、先王遺制, 遂至於此? 是豈可忍? 設有當行規則, 係非尋常變更, 則宜其廣詢於在廷諸臣而處之。 勅令遽降於俄忽之間, 人莫敢窺其裏許, 此又何事也? 身體髮膚, 受之父母, 不敢毁傷, 此孔夫子之言也。 萬世夫子之言, 亦不足...
陳雲: 文化禮儀之爭,習總寸步不讓
中美的文化比拼開始了。
二O一七年十一月八日,習近平破例在皇宮接見特朗普[1],以華夏王朝文化自居,特朗普則以埃及文化回應。
美國的深層精神傳統是埃及的神秘主義,如美鈔上面的金字塔、全知眼(天眼)。
然則,埃及可以考據的王朝文化並無八千年,大概也是五千年,與華夏相若。
習近平的歷史年份還是對的。他說華人是龍的傳人,則是民國的神話構造,將國民神聖化來組成民國。
王朝時代,只有天子是龍的傳人,老百姓不是,只是炎黃子孫(諸夏、南北民族)與東夷西戎、南蠻北狄而已。
至於特朗普、奧巴馬與習近平,他們是怎樣見日本皇帝的呢?平民元首見外邦君王,要鞠躬嗎?
二O 一七年十一月五日及六日,美國特朗普總統訪問日本,見日皇沒有鞠躬,只是點頭示意和握手示好,但他也趨前與等候國賓的日皇握手,
並且開口向日皇問好,顯示主客之禮,日本是主,美國是客,特朗普做到恰當。為什麼特朗普不必鞠躬呢?
首先,鞠躬禮並不是美國的現代禮儀,美國元首只能與日皇握手。此外,日皇礙於皇室身份,不會向平民鞠躬回禮的。你向日皇鞠躬,日皇是無法回禮的。
是故,美國元首只能與日皇行握手之禮。二〇〇九年,奧巴馬總統訪問日本,向日皇深鞠躬而日皇無法鞠躬回禮,
任由日皇在居於上位來俯視他,是不合體統的。日皇夫婦只能略為欠身回禮,令美國丟失體統了。
至於習近平總統,訪問日本期間,並無向日皇鞠躬,只是略點頭微笑和握手示好。
而且習近平總統並無趨前與與迎接國賓的日皇握手,反而立正身軀,閉口不言,向下俯視日皇,由得日皇趨前與習近平握手。
華人元首可以向日皇鞠躬,但日皇也必須鞠躬回禮。否則華人元首就是以平民元首的地位向貴族元首鞠躬朝拜。
習先生反客為主,保留了唐宋時代的華夏王朝視日本為朝貢國的風範。
習近平先生在禮儀之爭,寸步不讓日本。在這個關鍵時刻,他老人家做對了。但他顯示的心中傲氣,外邦(特別是香港城邦)也要小心。
-完-
[1] 習二O一七年十一月八日下午,美國總統特朗普抵達北京,中共總主記習近平邀請特朗普夫婦參觀故宮太和殿,
在寶蘊樓簡短茶敘,隨後一同在暢音閣觀欣賞京劇《梨園春苗》、《美猴王》和《貴妃醉酒》,並在乾隆皇帝曾居住的建福宮設宴款待特朗普夫婦。
陳雲: 文化禮儀之爭,習總寸步不讓
https://hk.news.yahoo.com/%E6%96%87%E5%8C%96%E7%A6%AE%E5%84%80%E4%B9%8B%E7%88%AD%EF%BC%8C%E7%BF%92%E7%B8%BD%E5%AF%B8%E6%AD%A5%E4%B8%8D%E8%AE%93-105826270.html
中朝以文士之多爲美,先是天使倪謙出來,見成三問、朴彭年之才,稱爲小中華-4
http://sillok.history.go.kr/id/kka_10310022_001
庶民則男女勤耕桑之務,士夫則文武供內外之事,家家有封君之樂,世世存事大之體,作別乾坤,稱小中華-3
http://sillok.history.go.kr/id/kia_11210017_001
庶民則男女勤耕桑之務,士夫則文武供內外之事,家家有封君之樂,世世存事大之體,作別乾坤,稱小中華
http://sillok.history.go.kr/popup/viewer.do?id=kia_11210017_001&type=view&reSearchWords=&reSearchWords_ime=#
朝鮮王朝實錄
http://hanchi.ihp.sinica.edu.tw/mqlc/hanjishilu?@5^2039397373^802^^^8021100200160014000100020017@@886655005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7823
1. 성종실록 20권, 성종 3년 7월 10일 乙巳 4번째기사 / 예조에서 음란한 짓을 금제하는 조목을 기록하여 아뢰다
箕子以來, 敎化大行, 男有烈士之風, 女有貞正之俗, 史稱小中華。 比聞淫奔之女, 前則只在於陽城縣 加川, 而今也四方院、館、營、鎭之間, 亦多有之。 春夏則奔魚梁收稅之場, 秋冬則遊山間僧舍, 恣行淫亂, 汚染敎化。」 令守令、萬戶、驛丞檢察, 重論爲便。’ 臣等參詳, 淫穢之俗, 法所痛治。 今也, 號稱遊女, 或稱花娘, 淫縱自恣, 其禁制之目, 具錄于後。 一。 花娘、遊...
2. 성종실록 134권, 성종 12년 10월 17일 戊午 1번째기사 / 남원군 양성지가 중국이 개주에 위를 설치한다는 것에 대해 상언하다
外之事, 家家有封君之樂, 世世存事大之體, 作別乾坤, 稱小中華, 凡三千九百年于玆矣。 黃溍以爲仕國, 黃儼亦曰天堂, 元 世祖使我以儀從舊俗, 高皇帝許我以自爲聲敎 。 然使我自爲聲敎者, 非徒言語不通, 習俗亦異。 以元末紅軍二十萬人, 闌入我疆, 我以大兵擊斬殆盡, 軍聲大振, 聞于天下, 且皇明定都金陵, 而本國與北元連境, 勢不得不如是也。 或以爲, ‘中國之於東方, ...
3. 성종실록 208권, 성종 18년 10월 12일 戊寅 1번째기사 / 중국 사신의 접대에 시위 군사의 예모를 전교하다
其還也, 言曰: ‘朝鮮實是知禮之國, 其稱小中華, 非虛語也。’ 稱嘆不已。 副使張瑾曰: ‘只有一事不如中朝, 中朝殿上衛士, 雖盛暑汗流, 身不敢動。 今見侍殿上者, 左右顧視, 稍失禮貌云。’ 臣請於天使接待時, 衛士勿令旋視, 以嚴禮貌。 且令堂上官以上, 竝服胸背圓領, 以別朝官等級何如?" 傳曰: "卿言甚當。 侍衛 之士數數代替, 勿令顧視。 胸背亦從品穿着。"
4. 중종실록 7권, 중종 3년 10월 22일 丙戌 1번째기사 / 조강에서 인재 양성을 위해 불시의 고강·적절한 교수·독서당 예우 등을 아뢰다
上曰: "人才之不作如是, 故已令推考該曹及館學官員耳。" 說經成世昌曰: "讀書堂支應等事, 不足數也。 如書冊、紙、筆不足, 國家所藏書冊亦多, 請移置, 以便觀覽。" 參贊官李世仁曰: "今日所啓, 皆養育人才事, 請留意焉。 我國雖在海外, 中朝以文士之多爲美, 先是天使倪謙出來, 見成三問、朴彭年之才, 稱爲小中華。 今弘文館官員有將來者, 使久居其任, 以成華國之才。"
5. 중종실록 17권, 중종 7년 12월 26일 丙寅 1번째기사 / 대사헌 남곤 등이 소릉의 일을 상소하다
國視之, 與安南、交趾無異, 而中國之人, 不鄙夷之, 至稱小中華。 豈非以世修禮義, 君君臣臣父父子子, 民彝物則, 猶足可觀故耶? 今數千年間十六代帝王所無之事, 而獨於我朝鮮見之, 則非唯負愧於前古, 亦且負愧於中國。 此非獨一世君臣之所大恥也, 抑吾東方億萬年無窮之大恥也。 臣等又聞, 神道與人道, 無小差爽, 光廟禮陟之後, 與祖宗列聖, 昭列于天, 於世宗, 則...
6. 인조실록 32권, 인조 14년 2월 21일 丙申 1번째기사 / 홍익한이 금한을 배척하고 명분을 세울 것을 상소하다
, 臣妾我君臣者, 實由是耳。 我國素以禮義聞天下, 稱之以小中華, 而列聖相承, 事大一心, 恪且勤矣。 今乃服事胡虜, 偸安僅存, 縱延晷刻, 其於祖宗何, 其於天下何, 其於後世何? 且胡差所帶來, 半是新附西㺚云。 西㺚之於我, 旣無交聘之禮, 奚有儐接之道? 拒而不納可也, 而入境有日, 迄無廟堂一言, 臣未知處廟堂者何人, 而高枕熟睡, 尙不覺悟也? 噫! 身居...
7. 숙종실록 44권, 숙종 32년 12월 26일 庚戌 2번째기사 / 보덕 최계옹이 관원들의 풍기 문란을 염려하는 상소하다
位 高士夫, 亦且爲之。 念此箕方, 古稱小中華, 衣冠文物, 不改舊制, 而俗習胡舞, 恬不知恥, 則哀我東人, 亦已化爲胡矣。 甚至於向者進宴時, 內宴外習儀之日, 所謂都監二提調, 私諭舞處容者, 乃行淫褻之戲, 觀者駭目。 若非其時一提調呵禁, 則威儀肅敬之地, 終不免爲褻慢之場, 此豈聖世所宜有也? 答曰: "上款所陳, 予當留意, 而疏末指斥吏判之說, 太不近理, 決知其孟浪也。"
8. 숙종실록 65권, 부록 / 숙종 대왕 행장(行狀)
文物, 燦然可述。 使我東國, 至今冠帶, 克明五常, 以得小中華之稱者, 箕子之力也。 其令主文之臣, 別構祭文, 遣都承旨, 致祭于箕子廟。" 仍命承旨曰: "別遣承旨, 重其事也, 卿須致敬行祀, 廟宇墳(瑩) 〔塋〕 , 如有頹圯, 一一書啓, 以爲修葺之地, 子孫中可合錄用者, 亦爲訪問。" 承旨白: " 檀君、東明王廟, 亦在其處, 自世宗朝, 春秋降香祝, 似當一體行祭。" 王曰: "先祭箕子廟...
9. 숙종실록보궐정오 19권, 숙종 [보궐정오실록] 14년 6월 14일 乙卯 1번째기사 / 이조 판서 박세채가 올린 시무 12조
本朝繼高麗之末運, 用文爲治, 典章名物, 粲然具備, 足稱小中華 之號, 而經歷變故, 世降俗弊, 行於家者, 旣未淳厚, 措諸國者, 亦多苟簡, 類爲掩遮欺謾之科, 雖喪其所賦天理之眞, 而不自覺察, 風敎不競, 奸僞百出。 今當大矯其弊, 凡於制度云爲之間, 必思有以渾然誠確之心, 白直行事, 內不欺己, 外不欺人, 一以忠信篤厚, 久而不變, 使下之人, 觀感從化, 則終當有所正矣。 二曰,...
10. 정조실록 19권, 정조 9년 2월 14일 甲午 6번째기사 / 사은 정사 박명원과 부사 윤승렬의 장계의 별단
接待, 逾於常格, 文華彬彬, 禮栗껌濟, 令人起敬。 素稱小中華, 儘非虛語。" 又有江西人戴均, 元現官翰林, 稱阿肅爲老師, 自稱門人。 話語間以爲: "老師回京後往見, 則盛道東方禮義之彬蔚, 接待之隆厚。" 云。 大略與狄翔言, 別無差殊。 一, 皇帝御小殿, 招立通官於第一門密邇之地, 使黃門, 傳授書冊、筆墨等物種, 而傳授之際, 黃門還入復出者, 爲二三次。 蓋擇...
11. 정조실록 19권, 정조 9년 4월 14일 癸巳 1번째기사 / 역적을 토벌한 것에 대해 하례하다
特軫大義之昭揭; 刑政再恢於湖海, 庶幾民志之交孚。 不意小中華尙禮義之邦, 乃有極悖亂、至凶慘之變。 嘻! 其痛矣, 尙忍言哉? 逆賊夏材, 此殆天地開闢以後所無, 亦豈日月薄蝕之變可比? 生於乙丑血黨, 以三賊竝稱, 歲則甲辰, 甘心與一鏡同死。 一種莾、操之逆節, 古或有聞; 百倍雲、海之凶言, 今始創見。 千奇萬怪之層出, 縱云事變無窮; 九法、三綱之尙存, 胡乃斁絶...
12. 정조실록 46권, 정조 21년 5월 22일 辛酉 2번째기사 / 인현서원의 명칭 개칭 등에 관한 채제공·이병모·이서구 등의 논의
刑曹參判徐龍輔、原任奎章閣直閣金祖淳、承政院右承旨洪仁浩, 是秉模議。 備邊司堂上李書九則曰: "中國亦有箕子墓, 則在平壤者, 豈出傳疑? 享祀之不擧, 非有歉於崇報。 創行新典, 恐難遽議。" 敎曰 : "東國稱小中華, 而三韓以前, 大樸之尙爾, 儀文多草創, 至今未遑於應行之典禮而然乎? 與院名一款, 更令禮判, 博考指一草記。"
13. 정조실록 49권, 정조 22년 9월 1일 辛酉 1번째기사 / 사학 유생 유춘주가 신약추에게 형률을 적용하길 상소하다
臨御二十有餘年, 明理講義, 以繼述我列聖朝志事, 以賁飾我小中華文物。 其所以褒尙節義, 扶植倫綱者, 靡不用極, 又此新刊《春秋》, 重揭日星, 固宜人心底定, 世道歸正。 而一種 怪鬼, 換面迭出, 至有至凶絶悖之說, 登諸章奏, 世間變怪, 可謂無不有也。 蓋其全篇褻慢, 遣辭奰戾, 亂言之不足, 至於悖經, 悖經之不足, 至於辱國, 此豈洪水猛獸之災而已哉? 至若封山之說, 尤極...
14. 정조실록 52권, 정조 23년 12월 21일 甲辰 2번째기사 / 지중추부사 홍양호가 상차하여 《흥왕조승》 4편을 올리다
風氣相近, 聲敎攸漸, 衣冠悉遵華制, 文字不用番梵, 或稱小中華, 或稱君子之國, 與夫侏𠌯左袵之俗, 逈然 不同。 而第自王氏之世, 壤接靺鞨, 媾連蒙元, 故禮敎不興, 倫紀不明。 擊剌以爲能事, 叛亂殆無虛歲, 檀、箕之遺風, 漠然不可見矣。 何幸天開鴻荒, 運屆熙明, 我朝之興。 適會於皇明, 肇造區夏之時, 錫號賜冕, 視同內服。 乾坤與之合德, 神人爲之夾助, 於是乎我太祖大王...
15. 순조실록 3권, 순조 1년 12월 22일 甲子 1번째기사 / 사학을 토죄하고 인정전에서 진하를 행하다. 반교문
, 四海歸仁, 有過化存神之妙。 詎意極西方陰沴之氣, 闖入小中華禮義之邦? 敢欲滓穢太淸, 所事者蛇神、牛鬼, 幾至誑惑半世, 其說則地獄、天堂, 神父、敎主之稱, 崇奉過於尸祝, 十誠、七克之目, 誕妄類於讖符。 喜生惡死人情 也, 而視刀鋸如袵席, 追遠執本天理也, 而以烝嘗爲弁髦, 若敖之鬼不其餒, 而中冓之言亦可醜也。 紏結錮族、廢孽、怨國、失志之輩, ...
16. 순조실록 26권, 순조 23년 8월 2일 戊戌 1번째기사 / 성균관에서 거재 유생들이 서얼들이 상소한 것에 대해 권당한 소회를 아뢰다
貴賤之所係, 天道行而人紀立焉。 猗歟! 本朝, 海外尙文之小中華也。 三韓之際, 羅、麗之間, 猶未免夷俗之陋, 逮夫我太祖, 太宗, 明倫於勝國崇佛之後, 陳常於勝國蔑儒之餘。 凡係名分二字處, 其嚴有截, 其等有隔, 一洗舊染, 如日中天。 際於其時, 大明 高皇帝, 頒我以禮法之書, 賜我以冠裳之制, 儀節之隆殺, 名位之等級, 井井有區域, 分不得踰寸, ...
17. 순조실록 29권, 순조 27년 4월 1일 丙午 10번째기사 / 승정원에서 목태석의 국문을 청하다
求過於無過之地。 敢言其所不敢言, 遣辭狂悖, 用意陰慘, 此不但我朝之賊臣, 實是皇朝之罪人。 此而不嚴加重辟, 則義理日益晦蒙, 人心日益陷溺, 而小中華一域, 無復讀《春秋》者。 且其龍淵 山虎等句語, 絶悖無嚴, 此豈人臣所敢道哉? 終篇旨意, 極其閃忽, 要不出挾雜之計, 已施之律, 不足以懲其罪。 請島配罪人睦台錫, 亟令王府拿鞫嚴問, 決正典刑。" 答曰: "勿煩。"
18. 헌종실록 14권, 헌종 13년 8월 9일 乙卯 3번째기사 / 성근묵이 상소하여 이양선에 대해 보다 더 단호한 대처를 하도록 하다
, 見陵於邪賊, 惟以保養妖邪, 爲緩禍之長策, 則將見我小中華一域, 淪胥爲妖獸怪鳥而莫之救也。 從古戎狄之禍, 豈有善惡之可辨, 而至於此賊, 則肆然稱義理, 俑厥無前之異端, 以威脅聖人之道, 此華夷、人獸之大關棙也。 楊、墨之道, 非身親爲亂臣賊子之事也, 孟子曰, ‘仁義充塞, 率獸而食人’, 又曰, ‘能言拒楊、墨者, 聖人之徒也。’ 彼之使船, 如馬橫行大海,...
19. 고종실록 34권, 고종 33년 1월 7일 陽曆 3번째기사 / 김병시가 단발령에 반대하는 상소를 올리다
肇自箕聖東 渡, 敎民八條, 典章文物, 燦然大備, 稱之以小中華。 曁我朝聖神相繼, 重熙累洽, 式克至于今日休, 夫何拚棄前聖懿規、先王遺制, 遂至於此? 是豈可忍? 設有當行規則, 係非尋常變更, 則宜其廣詢於在廷諸臣而處之。 勅令遽降於俄忽之間, 人莫敢窺其裏許, 此又何事也? 身體髮膚, 受之父母, 不敢毁傷, 此孔夫子之言也。 萬世夫子之言, 亦不足...
Labels:
EE3206/EE5805,
EE4209/EE5809,
Tillich : 田立克--存在主義神學,
明治漢學,
曾胡治兵語錄,
機戰music,
陳雲 : 香港城邦自治
小中華4@朝鮮王朝實錄-中宗實錄-三年(1508)
小中華4@朝鮮王朝實錄-中宗實錄-三年(1508)
小中華4@朝鮮王朝實錄-中宗實錄-三年(1508)
史/編年/朝鮮王朝實錄/中宗實錄/三年(1508) 卷五至七/卷七 十月至十二月/十月/22日
○丙戌/御朝講。持平申鏛、正言洪彦弼論前事。
申鏛又曰:“人才之不作,莫此時若也。在成宗朝,養育人材,多士輩出,不幸廢主,誅竄殆盡。
自此以後,士氣蕭索,不志文學,先有媒進之心,此勸勵之不得其道也。近者令武士試射,優等者輒賜賞物,武人以爲榮,爭相鍊習。
如儒生之居館學者,亦不時點名,或製述或講經,其入格者,或賜書冊,以示勸勉,則彼必以君賜爲榮,多有興起之心矣。”
彦弼曰:“成均館同知安琛,以病不仕,尹金孫亦無故不仕,請皆罷去,以參判中有文學德望者兼差,使之敎誨。”
知事申用漑曰:“人才之不作,果如申鏛所啓。曩時雖宰相之子,篤志學業,老而(無)〔垂〕成,乃始求官,今則不然。
纔免襁褓,皆懷媒進之心,不業文學,雖有志學者,率皆居家鍊業,不喜居館。
爲今計者,莫若擇有物望者,以爲表率。如姜景叙、南袞,兼差同知,以之訓誨,則儒生庶可興起,而樂爲赴學矣。
於是而試才,或直赴或賜書冊,則人才何患不作乎?
且四學官員,授職未久,輒遷他官,故不以久居爲計,不勤於敎導。今後四學敎授擇差,而久任者陞遷,何如?
且曩時輪次堂上,一月之內,二三次就成均館,或製述,或講經,今則廢,請申明擧行。非獨館也,四學亦依成均館例,令以堂下官有文學者,輪次仕進,考其儒生之製述。
讀書堂在京中,賜暇人員,數往來其家,朋友亦多尋訪,不得專業。龍山讀書堂修葺間,請於齊安大君豆毛浦亭子處之,使專其業。
且書堂,支應甚薄,使令不足,當優禮遇之。”上曰:“人才之不作如是,故已令推考該曹及館學官員耳。”
說經成世昌曰:“讀書堂支應等事,不足數也。如書冊、紙、筆不足,國家所藏書冊亦多,請移置,以便觀覽。”
參贊官李世仁曰:“今日所啓,皆養育人才事,請留意焉。我國雖在海外,中朝以文士之多爲美,先是天使倪謙出來,見成三問、朴彭年之才,稱爲小中華。
今弘文館官員有將來者,使久居其任,以成華國之才。”
- -
○傳于政院曰:“豆毛浦亭子,已與大君,可於他處,移設讀書堂,安琛有病,則改差。命召尹金孫,敎以勤仕。
輪次堂上四學官員久任及讀書堂優待,弘文館久任等事,竝依經筵所啓。”
又傳曰:“欲令儒生,樂赴館學,其道安在?
其不肯居館學者,罪其父兄,無父兄則停擧,以示懲戒,何如?雖不可如此,其議次罰以啓。”
政院回啓曰:“以儒生不肯就學,罪其父兄,似未穩。上若銳意於興學,則儒生自然興起矣。”
中朝以文士之多爲美,先是天使倪謙出來,見成三問、朴彭年之才,稱爲小中華-4
http://sillok.history.go.kr/id/kka_10310022_001
庶民則男女勤耕桑之務,士夫則文武供內外之事,家家有封君之樂,世世存事大之體,作別乾坤,稱小中華-3
http://sillok.history.go.kr/id/kia_11210017_001
庶民則男女勤耕桑之務,士夫則文武供內外之事,家家有封君之樂,世世存事大之體,作別乾坤,稱小中華
http://sillok.history.go.kr/popup/viewer.do?id=kia_11210017_001&type=view&reSearchWords=&reSearchWords_ime=#
朝鮮王朝實錄
http://hanchi.ihp.sinica.edu.tw/mqlc/hanjishilu?@5^2039397373^802^^^8021100200160014000100020017@@886655005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7823
聖學輯要 성학집요 @ 栗谷全書 by李珥
http://www.krpia.co.kr/knowledge/itkc/detail?artClass=MM&artId=kc_mm_a201#none
聖學輯要 성학집요 @ 栗谷全書 by李珥
http://db.itkc.or.kr/itkcdb/text/nodeViewIframe.jsp?seojiId=kc_mm_a201&bizName=MM&gunchaId=av019&muncheId=01&finId=001
聖學輯要 성학집요 @ 栗谷全書 by李珥
http://www.krpia.co.kr/viewer/open?plctId=PLCT00005160&nodeId=NODE05356293
聖學輯要 성학집요 @ 栗谷全書 by李珥
http://db.itkc.or.kr/itkcdb/text/nodeViewIframe.jsp?seojiId=kc_mm_a201&bizName=MM&gunchaId=av020&muncheId=01&finId=001
聖學輯要 성학집요 @ 栗谷全書 by李珥
http://www.wul.waseda.ac.jp/kotenseki/html/he16/he16_02426/index.html
聖學輯要 성학집요 @ 栗谷全書 by李珥
http://archive.wul.waseda.ac.jp/kosho/he16/he16_02426/
紅楼夢図詠
http://archive.wul.waseda.ac.jp/kosho/chi04/chi04_03001/
--
1. 성종실록 20권, 성종 3년 7월 10일 을사 4번째기사 / 예조에서 음란한 짓을 금제하는 조목을 기록하여 아뢰다
정(貞正)의 풍이 있었으므로 역사(歷史)에도 「소중화(小中華)」라 칭하였습니다. 요즈음 들으니 음란한 여자가 전에는 다만 양성현(陽城縣)의 가천(加川)에 있었는데, 이제는 사방의 원(院)·관(館)과 영(營)·진(鎭) 사이에 또한 많이 있어, 봄과 여름에는 어량(魚梁)의 세금을 거두는 장소에 가고 가을과 겨울에는 산간의 승사(僧舍)에 놀러가 음...
2. 성종실록 134권, 성종 12년 10월 17일 무오 1번째기사 / 남원군 양성지가 중국이 개주에 위를 설치한다는 것에 대해 상언하다
의 체제가 있으며, 따로 하나의 나라를 이루어 소중화(小中華)하고 부르면서 3천 9백 년이나 되었습니다. 황진(黃溍) 은 벼슬살이할 만한 나라라고 하였고, 황엄(黃儼) 또한 천당(天堂)이라 하였으며, 원 세조(世祖)는 우리로 하여금 구속(舊俗)을 그대로 따르게 하였고, 명(明)나라의 고황제(高皇帝) 는 우리 스스로의 성교(聲敎)를 허가하였습니다. 우리로 하여금 스스로...
3. 성종실록 208권, 성종 18년 10월 12일 무인 1번째기사 / 중국 사신의 접대에 시위 군사의 예모를 전교하다
말하기를, ‘조선은 실로 예를 아는 나라이다. 소중화(小中華)라고 일컫는 것이 빈말이 아니다.’ 하며, 칭찬하기를 마지 않았고, 부사(副使) 장근(張瑾)은 말하기를, ‘다만 한 가지 일이 중국 조정만 못한 것이 있다. 중국 조정에서는 전상(殿上)의 위사(衛士)가 비록 심한 더위에 땀이 흘러도 몸을 감히 움직이지 못하는데, 지금 보건대, 전상에 모신 자가 좌우를 돌아보았으...
4. 중종실록 7권, 중종 3년 10월 22일 병술 1번째기사 / 조강에서 인재 양성을 위해 불시의 고강·적절한 교수·독서당 예우 등을 아뢰다
우리 나라는 비록 해외(海外 )에 있다 할지라도, 중조(中朝)에서 문사(文士)가 많다는 것을 아름답게 여기고 있습니다. 이 앞서 천사(天使) 예겸(倪謙)이 나와서 성삼문(成三問)·박팽년(朴彭年)의 재주를 보고 소중화(小中華)라고 칭찬한 일이 있습니다. 지금 홍문관(弘文館)의 관원으로서 장래가 있는 자는 오래도록 그 직에 있으면서 나라를 빛낼 인재가 되도록 하소서." 하였다.
5. 중종실록 17권, 중종 7년 12월 26일 병인 1번째기사 / 대사헌 남곤 등이 소릉의 일을 상소하다
없는데도, 중국 사람들이 비천하게 여기지 않고 소중화(小中華)라고 말하는 것은, 어찌 대대로 예의를 닦아 임금은 임금, 신하는 신하, 아비는 아비, 아들은 아들 노릇함으로써, 생민의 윤리와 사물의 법칙이 그래도 볼 만하기 때문이 아니겠습니까? 지금 수천 년 동안의 16세대 제왕들에게 없는 일이 유독 우리 조선에서만 보게 된다면, 오직 전고(前古)에 비춰 보아도 ...
6. 인조실록 32권, 인조 14년 2월 21일 병신 1번째기사 / 홍익한이 금한을 배척하고 명분을 세울 것을 상소하다
나라는 본디 예의의 나라로 소문이 나서 천하가 소중화(小中華)라 일컫고 있으며 열성(列聖)들이 서로 계승하면서 한마음으로 사대하기를 정성스럽고 부지런히 하였습니다. 그런데 지금 오랑캐를 섬기며 편안함을 취해 겨우 보존하고 있습니다. 비록 세월을 연장해 가고 있으나, 조종들에 대해서는 어쩌겠으며, 천하 사람들에 대해서는 어쩌겠으며 , 후세에 대해서는 어쩌겠...
7. 숙종실록 44권, 숙종 32년 12월 26일 경술 2번째기사 / 보덕 최계옹이 관원들의 풍기 문란을 염려하는 상소하다
니다. 우리 기방(箕方)을 생각한다면 예전부터 소중화(小中華)라 일컬었고 의관 문물(衣冠文物)은 옛 제도를 고치지 않았는데, 풍속이 호무를 숭상하여 태연히 부끄러워할 줄 모르니 가엾게도 우리 동방 사람도 이미 변하여 오랑캐가 된 것입니다. 심지어 얼마전 진연(進宴) 때 내연(內宴)을 밖에서 습의(習儀)하던 날 이른바 도감(都監)의 두 제조(提調)가 처용무(...
8. 숙종실록 65권, 부록 / 숙종 대왕 행장(行狀)
관대(冠帶)를 하고 능히 오상(五常)을 밝혀 소중화(小中華)의 칭호를 얻도록 한 것은 기자의 힘이다. 문장을 주관하는 신하에게 각별히 제문(祭文)을 짓도록 하고 도승지(都承旨)를 보내 기자묘(箕子廟)에 치제(致祭)하게 하라.’ 하였다 . 이윽고 승지에게 명하기를, ‘특별히 승지를 보내는 것은 그 일을 소중하게 여기기 때문이니, 경(卿)은 부디 공경을 다하여 제사...
9. 숙종실록보궐정오 19권, 숙종 [보궐정오실록] 14년 6월 14일 을묘 1번째기사 / 이조 판서 박세채가 올린 시무 12조
문물(文物)이 찬연(粲然)하게 갖추어져서 족히 소중화(小中華)라 칭할 만하였습니다. 그러나 변고(變故)를 겪고 후세로 내려올수록 풍속이 퇴폐해져, 집안에서 행하는 것이 이미 순 후(淳厚)하지 못하고, 나라에서 조치하는 것도 또한 구간(苟簡)함이 많아져 모두가 가려서 속이는 과조(科條)가 되었습니다. 그리하여 비록 그 타고난 천리(天理)의 진실을 잃었으나 스스로 ...
10. 영조실록 22권, 영조 5년 4월 30일 갑진 2번째기사 / 부수찬 권혁에게 삭출시키는 법전을 시행하라고 명하다. 이양신·이수해를 영구하여 비호한 권혁의 소장
않고서 이에 도리어 이와 같은 짓을 함으로써 소중화(小中華)의 기풍을 더럽혔으니, 신은 특히 절통하게 여깁니다. 정묘년 16 27 인조 5년. 양조(兩朝) 효종조와 숙종조. 소중화(小中華) 우리 나라를 가리킴. 하니, 임금이 하교하기를, "권혁이 이양신·이수해를 영구(營救)하여 비호하였고 소장의 끝에 기재한 일은 그저 풍문(風聞)만 들은 것으로 비난이 너무 심하였으니, ...
11. 정조실록 19권, 정조 9년 2월 14일 갑오 6번째기사 / 사은 정사 박명원과 부사 윤승렬의 장계의 별단
금 공경한 마음을 일으키게 하였는데, 평소에 『소중화(小中華)』라고 일컫는 것이 모두 빈말은 아니었다.」고 높이 칭찬하였다.’라고 하였습니다. 또 강서(江西) 사람 대균(戴均)이라는 자가 있었는데, 그는 원래 현관(現官) 한림(翰林)으로서 아숙(阿肅)을 스 승[老師]이라고 일컬으며 자기는 그의 문인(門人)이라고 일컬었습니다. 이야기하는 사이에 말하기를, ‘스승께...
12. 정조실록 19권, 정조 9년 4월 14일 계사 1번째기사 / 역적을 토벌한 것에 대해 하례하다
부합하기를 기대하였던 것이다. 뜻하지도 않게 소중화(小中華)는 예의(禮義)를 숭상하는 나라인데, 이에 지극히 발칙하고 지극히 흉악한 변고가 생겼다. 아! 그 통탄함을 오히려 차마 말할 수가 있겠는가? 역적 김하재(金夏材)는 그것이 천지 개벽(天地開闢) 이후에 없던 일이니, 또한 어찌 일식·월식이 제대로 일어나지 않는 변고와 비교할 수 있겠는가? 을축년에 ...
13. 정조실록 46권, 정조 21년 5월 22일 신유 2번째기사 / 인현서원의 명칭 개칭 등에 관한 채제공·이병모·이서구 등의 논의
듯합니다." 하니, 하교하기를, "우리 나라를 소중화(小中華)라고 일컫는데, 삼한(三韓) 이전에는 순수함이 아직도 남아 있어 의문(儀文)을 처음으로 만든 것이 많아서 지금까지 당연히 행하여야 할 전례(典禮)를 겨를하지 못해서 그런 것인가. 서원(書院) 명칭에 대한 한 건과 더불어 다시 예조 판서로 하여금 널리 상고하여 의견 일치를 보아 초기(草記)를 올리게 하라." 하였다.
14. 정조실록 49권, 정조 22년 9월 1일 신유 1번째기사 / 사학 유생 유춘주가 신약추에게 형률을 적용하길 상소하다
聖朝)께서 뜻 둔 일을 계술(繼述)하시고 우리 소중화(小中華)의 문물을 빛내셨습니다. 그리고 절의를 높이 숭상하게 하고 삼강 오륜을 붙들어 일으킬 수 있도록 있는 힘을 모두 다 쏟으시는 한편 또 이렇게 새로 《춘추》를 간행하시어 해와 별처럼 거듭 드러내 보여주셨으니 이제는 인심이 차분히 안정되고 세도(世道)가 바르게 돌아와야만 참으로 마땅한 것입니...
15. 정조실록 52권, 정조 23년 12월 21일 갑진 2번째기사 / 지중추부사 홍양호가 상차하여 《흥왕조승》 4편을 올리다
자도 오랑캐의 그것을 사용하지 않았으므로 혹은 소중화(小中華)라 칭하기도 하고 혹은 군자(君子)의 나라라고 일컫기도 하였으니, 왜가리 소리 를 내며 왼쪽으로 깃을 다는 저 오랑캐의 풍속과는 완전히 달랐습니다. 그런데 다만 왕씨(王氏) 의 시대로 접어들면서 말갈(靺鞨)과 국경을 접하고 몽고족(蒙古族)인 원(元)나라와 혼인 관계를 맺었기 때문에 예교(禮敎)가 일으켜...
16. 순조실록 3권, 순조 1년 12월 22일 갑자 1번째기사 / 사학을 토죄하고 인정전에서 진하를 행하다. 반교문
서방(西方) 세계의 음침하고 요사스러운 기운이 소중화(小中華)인 예의(禮義)의 나라에 느닷없이 불쑥 들어오리라고 어찌 생각하였겠는가? 감히 크게 청명한 시대를 더럽히고자 하여 섬기는 것이 뱀의 신(神)이고 소의 귀신이며 거의 반 세상을 속이어 미혹시켜 그의 말은 지옥(地獄)과 천당(天堂)에 대한 것이었다. 신부(神父)와 교주(敎主)를 일컬어 높이 받들기를 제 조상...
17. 순조실록 26권, 순조 23년 8월 2일 무술 1번째기사 / 성균관에서 거재 유생들이 서얼들이 상소한 것에 대해 권당한 소회를 아뢰다
우리 조정은 중국의 밖에 있는 문치를 숭상하는 소중화(小中華)입니다. 삼한(三韓) 시대와 신라 ·고려 사이에도 여전히 비루한 이속(夷俗)을 면치 못하다가 우리 조정에 이르러서 태조와 태종께서 고려에서 숭불(崇佛)하던 뒤에 인륜을 밝히고 고려에서 멸유(蔑儒)하던 끝에 강상(綱常)을 펼치셨습니다. 그러므로 ‘명분(名分)’ 두 글자와 관계된 것은 그 엄중함이 분명하...
18. 순조실록 29권, 순조 27년 4월 1일 병오 10번째기사 / 승정원에서 목태석의 국문을 청하다
두워지고 인심이 날로 더욱 함익(陷溺)하여, 소중화(小中華)의 지역에 다시는 《춘추(春秋)》를 읽는 자가 없을 것입니다. 또 ‘용연(龍淵)·산호(山虎)’ 등의 어구는 매우 어긋나고 무엄하였으니, 이 어찌 신하로서 감히 말할 수 있는 것이겠습니까? 마지막 부분에 지적한 뜻은 매우 알쏭달쏭하여 요점이 협잡(挾雜)하는 꾀에서 벗어나지 않았으니, 이미 시행한 법...
19. 헌종실록 14권, 헌종 13년 8월 9일 을묘 3번째기사 / 성근묵이 상소하여 이양선에 대해 보다 더 단호한 대처를 하도록 하다
늦추는 장책(長策)으로 여긴다면, 장차 우리 소중화(小中華)의 온 고장이 함께 멸망하여 요수(妖獸)·괴조(怪鳥)가 되어도 구제할 수 없을 것입니다. 예전부터 융적(戎狄)의 화(禍)에 어찌 선악을 가릴 만한 것이 있었겠습니까마는, 이 적으로 말하면 방자하게 의리를 말하고 전에 없던 이단을 새로 만들어 성인(聖人)의 도(道)를 위협하니, 이것은 화이(華夷)·인수(人獸)가...
20. 고종실록 34권, 고종 33년 1월 7일 양력 3번째기사 / 김병시가 단발령에 반대하는 상소를 올리다
때로부터 문물 제도가 찬연히 크게 갖추어져서 소중화(小中華)라고 불렸습니다. 우리 왕조에 이르러서는 훌륭한 임금들이 서로 이어 거듭 빛내어서 오늘과 같은 경사에까지 이르렀으니, 어떻게 이전 의 훌륭한 조상들의 아름다운 규범과 선대 임금들이 남긴 제도를 버리고 그만 이 지경에 이르게 하겠습니까? 이것을 어떻게 참을 수 있겠습니까? 설사 응당 시행해야 할...
21. 고종실록 36권, 고종 34년 9월 30일 양력 3번째기사 / 이수병 등이 황제로 칭할 것을 주청하다
대를 이어왔는데, 우리나라 가 명을 받고서 ‘소중화(小中華)’라고 불렸습니다. 그러다가 임진년(1592)과 계시년(1593)의 왜란(倭亂)을 당해서는 신종 황제(神宗皇帝)가 우리나라를 다시 만들어 주셨으니, 의리로는 비록 임금과 신하 사이지만 은혜로는 실로 아버지와 아들과 같습니다. 우리나라 삼천리강토에 살아 있는 모든 생물은 모두 황제의 덕에 젖었습니다. 아! 천...
--
1. 성종실록 20권, 성종 3년 7월 10일 乙巳 4번째기사 / 예조에서 음란한 짓을 금제하는 조목을 기록하여 아뢰다
箕子以來, 敎化大行, 男有烈士之風, 女有貞正之俗, 史稱小中華。 比聞淫奔之女, 前則只在於陽城縣 加川, 而今也四方院、館、營、鎭之間, 亦多有之。 春夏則奔魚梁收稅之場, 秋冬則遊山間僧舍, 恣行淫亂, 汚染敎化。」 令守令、萬戶、驛丞檢察, 重論爲便。’ 臣等參詳, 淫穢之俗, 法所痛治。 今也, 號稱遊女, 或稱花娘, 淫縱自恣, 其禁制之目, 具錄于後。 一。 花娘、遊...
2. 성종실록 134권, 성종 12년 10월 17일 戊午 1번째기사 / 남원군 양성지가 중국이 개주에 위를 설치한다는 것에 대해 상언하다
外之事, 家家有封君之樂, 世世存事大之體, 作別乾坤, 稱小中華, 凡三千九百年于玆矣。 黃溍以爲仕國, 黃儼亦曰天堂, 元 世祖使我以儀從舊俗, 高皇帝許我以自爲聲敎 。 然使我自爲聲敎者, 非徒言語不通, 習俗亦異。 以元末紅軍二十萬人, 闌入我疆, 我以大兵擊斬殆盡, 軍聲大振, 聞于天下, 且皇明定都金陵, 而本國與北元連境, 勢不得不如是也。 或以爲, ‘中國之於東方, ...
3. 성종실록 208권, 성종 18년 10월 12일 戊寅 1번째기사 / 중국 사신의 접대에 시위 군사의 예모를 전교하다
其還也, 言曰: ‘朝鮮實是知禮之國, 其稱小中華, 非虛語也。’ 稱嘆不已。 副使張瑾曰: ‘只有一事不如中朝, 中朝殿上衛士, 雖盛暑汗流, 身不敢動。 今見侍殿上者, 左右顧視, 稍失禮貌云。’ 臣請於天使接待時, 衛士勿令旋視, 以嚴禮貌。 且令堂上官以上, 竝服胸背圓領, 以別朝官等級何如?" 傳曰: "卿言甚當。 侍衛 之士數數代替, 勿令顧視。 胸背亦從品穿着。"
4. 중종실록 7권, 중종 3년 10월 22일 丙戌 1번째기사 / 조강에서 인재 양성을 위해 불시의 고강·적절한 교수·독서당 예우 등을 아뢰다
上曰: "人才之不作如是, 故已令推考該曹及館學官員耳。" 說經成世昌曰: "讀書堂支應等事, 不足數也。 如書冊、紙、筆不足, 國家所藏書冊亦多, 請移置, 以便觀覽。" 參贊官李世仁曰: "今日所啓, 皆養育人才事, 請留意焉。 我國雖在海外, 中朝以文士之多爲美, 先是天使倪謙出來, 見成三問、朴彭年之才, 稱爲小中華。 今弘文館官員有將來者, 使久居其任, 以成華國之才。"
5. 중종실록 17권, 중종 7년 12월 26일 丙寅 1번째기사 / 대사헌 남곤 등이 소릉의 일을 상소하다
國視之, 與安南、交趾無異, 而中國之人, 不鄙夷之, 至稱小中華。 豈非以世修禮義, 君君臣臣父父子子, 民彝物則, 猶足可觀故耶? 今數千年間十六代帝王所無之事, 而獨於我朝鮮見之, 則非唯負愧於前古, 亦且負愧於中國。 此非獨一世君臣之所大恥也, 抑吾東方億萬年無窮之大恥也。 臣等又聞, 神道與人道, 無小差爽, 光廟禮陟之後, 與祖宗列聖, 昭列于天, 於世宗, 則...
6. 인조실록 32권, 인조 14년 2월 21일 丙申 1번째기사 / 홍익한이 금한을 배척하고 명분을 세울 것을 상소하다
, 臣妾我君臣者, 實由是耳。 我國素以禮義聞天下, 稱之以小中華, 而列聖相承, 事大一心, 恪且勤矣。 今乃服事胡虜, 偸安僅存, 縱延晷刻, 其於祖宗何, 其於天下何, 其於後世何? 且胡差所帶來, 半是新附西㺚云。 西㺚之於我, 旣無交聘之禮, 奚有儐接之道? 拒而不納可也, 而入境有日, 迄無廟堂一言, 臣未知處廟堂者何人, 而高枕熟睡, 尙不覺悟也? 噫! 身居...
7. 숙종실록 44권, 숙종 32년 12월 26일 庚戌 2번째기사 / 보덕 최계옹이 관원들의 풍기 문란을 염려하는 상소하다
位 高士夫, 亦且爲之。 念此箕方, 古稱小中華, 衣冠文物, 不改舊制, 而俗習胡舞, 恬不知恥, 則哀我東人, 亦已化爲胡矣。 甚至於向者進宴時, 內宴外習儀之日, 所謂都監二提調, 私諭舞處容者, 乃行淫褻之戲, 觀者駭目。 若非其時一提調呵禁, 則威儀肅敬之地, 終不免爲褻慢之場, 此豈聖世所宜有也? 答曰: "上款所陳, 予當留意, 而疏末指斥吏判之說, 太不近理, 決知其孟浪也。"
8. 숙종실록 65권, 부록 / 숙종 대왕 행장(行狀)
文物, 燦然可述。 使我東國, 至今冠帶, 克明五常, 以得小中華之稱者, 箕子之力也。 其令主文之臣, 別構祭文, 遣都承旨, 致祭于箕子廟。" 仍命承旨曰: "別遣承旨, 重其事也, 卿須致敬行祀, 廟宇墳(瑩) 〔塋〕 , 如有頹圯, 一一書啓, 以爲修葺之地, 子孫中可合錄用者, 亦爲訪問。" 承旨白: " 檀君、東明王廟, 亦在其處, 自世宗朝, 春秋降香祝, 似當一體行祭。" 王曰: "先祭箕子廟...
9. 숙종실록보궐정오 19권, 숙종 [보궐정오실록] 14년 6월 14일 乙卯 1번째기사 / 이조 판서 박세채가 올린 시무 12조
本朝繼高麗之末運, 用文爲治, 典章名物, 粲然具備, 足稱小中華 之號, 而經歷變故, 世降俗弊, 行於家者, 旣未淳厚, 措諸國者, 亦多苟簡, 類爲掩遮欺謾之科, 雖喪其所賦天理之眞, 而不自覺察, 風敎不競, 奸僞百出。 今當大矯其弊, 凡於制度云爲之間, 必思有以渾然誠確之心, 白直行事, 內不欺己, 外不欺人, 一以忠信篤厚, 久而不變, 使下之人, 觀感從化, 則終當有所正矣。 二曰,...
10. 정조실록 19권, 정조 9년 2월 14일 甲午 6번째기사 / 사은 정사 박명원과 부사 윤승렬의 장계의 별단
接待, 逾於常格, 文華彬彬, 禮栗껌濟, 令人起敬。 素稱小中華, 儘非虛語。" 又有江西人戴均, 元現官翰林, 稱阿肅爲老師, 自稱門人。 話語間以爲: "老師回京後往見, 則盛道東方禮義之彬蔚, 接待之隆厚。" 云。 大略與狄翔言, 別無差殊。 一, 皇帝御小殿, 招立通官於第一門密邇之地, 使黃門, 傳授書冊、筆墨等物種, 而傳授之際, 黃門還入復出者, 爲二三次。 蓋擇...
11. 정조실록 19권, 정조 9년 4월 14일 癸巳 1번째기사 / 역적을 토벌한 것에 대해 하례하다
特軫大義之昭揭; 刑政再恢於湖海, 庶幾民志之交孚。 不意小中華尙禮義之邦, 乃有極悖亂、至凶慘之變。 嘻! 其痛矣, 尙忍言哉? 逆賊夏材, 此殆天地開闢以後所無, 亦豈日月薄蝕之變可比? 生於乙丑血黨, 以三賊竝稱, 歲則甲辰, 甘心與一鏡同死。 一種莾、操之逆節, 古或有聞; 百倍雲、海之凶言, 今始創見。 千奇萬怪之層出, 縱云事變無窮; 九法、三綱之尙存, 胡乃斁絶...
12. 정조실록 46권, 정조 21년 5월 22일 辛酉 2번째기사 / 인현서원의 명칭 개칭 등에 관한 채제공·이병모·이서구 등의 논의
刑曹參判徐龍輔、原任奎章閣直閣金祖淳、承政院右承旨洪仁浩, 是秉模議。 備邊司堂上李書九則曰: "中國亦有箕子墓, 則在平壤者, 豈出傳疑? 享祀之不擧, 非有歉於崇報。 創行新典, 恐難遽議。" 敎曰 : "東國稱小中華, 而三韓以前, 大樸之尙爾, 儀文多草創, 至今未遑於應行之典禮而然乎? 與院名一款, 更令禮判, 博考指一草記。"
13. 정조실록 49권, 정조 22년 9월 1일 辛酉 1번째기사 / 사학 유생 유춘주가 신약추에게 형률을 적용하길 상소하다
臨御二十有餘年, 明理講義, 以繼述我列聖朝志事, 以賁飾我小中華文物。 其所以褒尙節義, 扶植倫綱者, 靡不用極, 又此新刊《春秋》, 重揭日星, 固宜人心底定, 世道歸正。 而一種 怪鬼, 換面迭出, 至有至凶絶悖之說, 登諸章奏, 世間變怪, 可謂無不有也。 蓋其全篇褻慢, 遣辭奰戾, 亂言之不足, 至於悖經, 悖經之不足, 至於辱國, 此豈洪水猛獸之災而已哉? 至若封山之說, 尤極...
14. 정조실록 52권, 정조 23년 12월 21일 甲辰 2번째기사 / 지중추부사 홍양호가 상차하여 《흥왕조승》 4편을 올리다
風氣相近, 聲敎攸漸, 衣冠悉遵華制, 文字不用番梵, 或稱小中華, 或稱君子之國, 與夫侏𠌯左袵之俗, 逈然 不同。 而第自王氏之世, 壤接靺鞨, 媾連蒙元, 故禮敎不興, 倫紀不明。 擊剌以爲能事, 叛亂殆無虛歲, 檀、箕之遺風, 漠然不可見矣。 何幸天開鴻荒, 運屆熙明, 我朝之興。 適會於皇明, 肇造區夏之時, 錫號賜冕, 視同內服。 乾坤與之合德, 神人爲之夾助, 於是乎我太祖大王...
15. 순조실록 3권, 순조 1년 12월 22일 甲子 1번째기사 / 사학을 토죄하고 인정전에서 진하를 행하다. 반교문
, 四海歸仁, 有過化存神之妙。 詎意極西方陰沴之氣, 闖入小中華禮義之邦? 敢欲滓穢太淸, 所事者蛇神、牛鬼, 幾至誑惑半世, 其說則地獄、天堂, 神父、敎主之稱, 崇奉過於尸祝, 十誠、七克之目, 誕妄類於讖符。 喜生惡死人情 也, 而視刀鋸如袵席, 追遠執本天理也, 而以烝嘗爲弁髦, 若敖之鬼不其餒, 而中冓之言亦可醜也。 紏結錮族、廢孽、怨國、失志之輩, ...
16. 순조실록 26권, 순조 23년 8월 2일 戊戌 1번째기사 / 성균관에서 거재 유생들이 서얼들이 상소한 것에 대해 권당한 소회를 아뢰다
貴賤之所係, 天道行而人紀立焉。 猗歟! 本朝, 海外尙文之小中華也。 三韓之際, 羅、麗之間, 猶未免夷俗之陋, 逮夫我太祖, 太宗, 明倫於勝國崇佛之後, 陳常於勝國蔑儒之餘。 凡係名分二字處, 其嚴有截, 其等有隔, 一洗舊染, 如日中天。 際於其時, 大明 高皇帝, 頒我以禮法之書, 賜我以冠裳之制, 儀節之隆殺, 名位之等級, 井井有區域, 分不得踰寸, ...
17. 순조실록 29권, 순조 27년 4월 1일 丙午 10번째기사 / 승정원에서 목태석의 국문을 청하다
求過於無過之地。 敢言其所不敢言, 遣辭狂悖, 用意陰慘, 此不但我朝之賊臣, 實是皇朝之罪人。 此而不嚴加重辟, 則義理日益晦蒙, 人心日益陷溺, 而小中華一域, 無復讀《春秋》者。 且其龍淵 山虎等句語, 絶悖無嚴, 此豈人臣所敢道哉? 終篇旨意, 極其閃忽, 要不出挾雜之計, 已施之律, 不足以懲其罪。 請島配罪人睦台錫, 亟令王府拿鞫嚴問, 決正典刑。" 答曰: "勿煩。"
18. 헌종실록 14권, 헌종 13년 8월 9일 乙卯 3번째기사 / 성근묵이 상소하여 이양선에 대해 보다 더 단호한 대처를 하도록 하다
, 見陵於邪賊, 惟以保養妖邪, 爲緩禍之長策, 則將見我小中華一域, 淪胥爲妖獸怪鳥而莫之救也。 從古戎狄之禍, 豈有善惡之可辨, 而至於此賊, 則肆然稱義理, 俑厥無前之異端, 以威脅聖人之道, 此華夷、人獸之大關棙也。 楊、墨之道, 非身親爲亂臣賊子之事也, 孟子曰, ‘仁義充塞, 率獸而食人’, 又曰, ‘能言拒楊、墨者, 聖人之徒也。’ 彼之使船, 如馬橫行大海,...
19. 고종실록 34권, 고종 33년 1월 7일 陽曆 3번째기사 / 김병시가 단발령에 반대하는 상소를 올리다
肇自箕聖東 渡, 敎民八條, 典章文物, 燦然大備, 稱之以小中華。 曁我朝聖神相繼, 重熙累洽, 式克至于今日休, 夫何拚棄前聖懿規、先王遺制, 遂至於此? 是豈可忍? 設有當行規則, 係非尋常變更, 則宜其廣詢於在廷諸臣而處之。 勅令遽降於俄忽之間, 人莫敢窺其裏許, 此又何事也? 身體髮膚, 受之父母, 不敢毁傷, 此孔夫子之言也。 萬世夫子之言, 亦不足...
小中華4@朝鮮王朝實錄-中宗實錄-三年(1508)
史/編年/朝鮮王朝實錄/中宗實錄/三年(1508) 卷五至七/卷七 十月至十二月/十月/22日
○丙戌/御朝講。持平申鏛、正言洪彦弼論前事。
申鏛又曰:“人才之不作,莫此時若也。在成宗朝,養育人材,多士輩出,不幸廢主,誅竄殆盡。
自此以後,士氣蕭索,不志文學,先有媒進之心,此勸勵之不得其道也。近者令武士試射,優等者輒賜賞物,武人以爲榮,爭相鍊習。
如儒生之居館學者,亦不時點名,或製述或講經,其入格者,或賜書冊,以示勸勉,則彼必以君賜爲榮,多有興起之心矣。”
彦弼曰:“成均館同知安琛,以病不仕,尹金孫亦無故不仕,請皆罷去,以參判中有文學德望者兼差,使之敎誨。”
知事申用漑曰:“人才之不作,果如申鏛所啓。曩時雖宰相之子,篤志學業,老而(無)〔垂〕成,乃始求官,今則不然。
纔免襁褓,皆懷媒進之心,不業文學,雖有志學者,率皆居家鍊業,不喜居館。
爲今計者,莫若擇有物望者,以爲表率。如姜景叙、南袞,兼差同知,以之訓誨,則儒生庶可興起,而樂爲赴學矣。
於是而試才,或直赴或賜書冊,則人才何患不作乎?
且四學官員,授職未久,輒遷他官,故不以久居爲計,不勤於敎導。今後四學敎授擇差,而久任者陞遷,何如?
且曩時輪次堂上,一月之內,二三次就成均館,或製述,或講經,今則廢,請申明擧行。非獨館也,四學亦依成均館例,令以堂下官有文學者,輪次仕進,考其儒生之製述。
讀書堂在京中,賜暇人員,數往來其家,朋友亦多尋訪,不得專業。龍山讀書堂修葺間,請於齊安大君豆毛浦亭子處之,使專其業。
且書堂,支應甚薄,使令不足,當優禮遇之。”上曰:“人才之不作如是,故已令推考該曹及館學官員耳。”
說經成世昌曰:“讀書堂支應等事,不足數也。如書冊、紙、筆不足,國家所藏書冊亦多,請移置,以便觀覽。”
參贊官李世仁曰:“今日所啓,皆養育人才事,請留意焉。我國雖在海外,中朝以文士之多爲美,先是天使倪謙出來,見成三問、朴彭年之才,稱爲小中華。
今弘文館官員有將來者,使久居其任,以成華國之才。”
- -
○傳于政院曰:“豆毛浦亭子,已與大君,可於他處,移設讀書堂,安琛有病,則改差。命召尹金孫,敎以勤仕。
輪次堂上四學官員久任及讀書堂優待,弘文館久任等事,竝依經筵所啓。”
又傳曰:“欲令儒生,樂赴館學,其道安在?
其不肯居館學者,罪其父兄,無父兄則停擧,以示懲戒,何如?雖不可如此,其議次罰以啓。”
政院回啓曰:“以儒生不肯就學,罪其父兄,似未穩。上若銳意於興學,則儒生自然興起矣。”
中朝以文士之多爲美,先是天使倪謙出來,見成三問、朴彭年之才,稱爲小中華-4
http://sillok.history.go.kr/id/kka_10310022_001
庶民則男女勤耕桑之務,士夫則文武供內外之事,家家有封君之樂,世世存事大之體,作別乾坤,稱小中華-3
http://sillok.history.go.kr/id/kia_11210017_001
庶民則男女勤耕桑之務,士夫則文武供內外之事,家家有封君之樂,世世存事大之體,作別乾坤,稱小中華
http://sillok.history.go.kr/popup/viewer.do?id=kia_11210017_001&type=view&reSearchWords=&reSearchWords_ime=#
朝鮮王朝實錄
http://hanchi.ihp.sinica.edu.tw/mqlc/hanjishilu?@5^2039397373^802^^^8021100200160014000100020017@@886655005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7823
聖學輯要 성학집요 @ 栗谷全書 by李珥
http://www.krpia.co.kr/knowledge/itkc/detail?artClass=MM&artId=kc_mm_a201#none
聖學輯要 성학집요 @ 栗谷全書 by李珥
http://db.itkc.or.kr/itkcdb/text/nodeViewIframe.jsp?seojiId=kc_mm_a201&bizName=MM&gunchaId=av019&muncheId=01&finId=001
聖學輯要 성학집요 @ 栗谷全書 by李珥
http://www.krpia.co.kr/viewer/open?plctId=PLCT00005160&nodeId=NODE05356293
聖學輯要 성학집요 @ 栗谷全書 by李珥
http://db.itkc.or.kr/itkcdb/text/nodeViewIframe.jsp?seojiId=kc_mm_a201&bizName=MM&gunchaId=av020&muncheId=01&finId=001
聖學輯要 성학집요 @ 栗谷全書 by李珥
http://www.wul.waseda.ac.jp/kotenseki/html/he16/he16_02426/index.html
聖學輯要 성학집요 @ 栗谷全書 by李珥
http://archive.wul.waseda.ac.jp/kosho/he16/he16_02426/
紅楼夢図詠
http://archive.wul.waseda.ac.jp/kosho/chi04/chi04_03001/
--
1. 성종실록 20권, 성종 3년 7월 10일 을사 4번째기사 / 예조에서 음란한 짓을 금제하는 조목을 기록하여 아뢰다
정(貞正)의 풍이 있었으므로 역사(歷史)에도 「소중화(小中華)」라 칭하였습니다. 요즈음 들으니 음란한 여자가 전에는 다만 양성현(陽城縣)의 가천(加川)에 있었는데, 이제는 사방의 원(院)·관(館)과 영(營)·진(鎭) 사이에 또한 많이 있어, 봄과 여름에는 어량(魚梁)의 세금을 거두는 장소에 가고 가을과 겨울에는 산간의 승사(僧舍)에 놀러가 음...
2. 성종실록 134권, 성종 12년 10월 17일 무오 1번째기사 / 남원군 양성지가 중국이 개주에 위를 설치한다는 것에 대해 상언하다
의 체제가 있으며, 따로 하나의 나라를 이루어 소중화(小中華)하고 부르면서 3천 9백 년이나 되었습니다. 황진(黃溍) 은 벼슬살이할 만한 나라라고 하였고, 황엄(黃儼) 또한 천당(天堂)이라 하였으며, 원 세조(世祖)는 우리로 하여금 구속(舊俗)을 그대로 따르게 하였고, 명(明)나라의 고황제(高皇帝) 는 우리 스스로의 성교(聲敎)를 허가하였습니다. 우리로 하여금 스스로...
3. 성종실록 208권, 성종 18년 10월 12일 무인 1번째기사 / 중국 사신의 접대에 시위 군사의 예모를 전교하다
말하기를, ‘조선은 실로 예를 아는 나라이다. 소중화(小中華)라고 일컫는 것이 빈말이 아니다.’ 하며, 칭찬하기를 마지 않았고, 부사(副使) 장근(張瑾)은 말하기를, ‘다만 한 가지 일이 중국 조정만 못한 것이 있다. 중국 조정에서는 전상(殿上)의 위사(衛士)가 비록 심한 더위에 땀이 흘러도 몸을 감히 움직이지 못하는데, 지금 보건대, 전상에 모신 자가 좌우를 돌아보았으...
4. 중종실록 7권, 중종 3년 10월 22일 병술 1번째기사 / 조강에서 인재 양성을 위해 불시의 고강·적절한 교수·독서당 예우 등을 아뢰다
우리 나라는 비록 해외(海外 )에 있다 할지라도, 중조(中朝)에서 문사(文士)가 많다는 것을 아름답게 여기고 있습니다. 이 앞서 천사(天使) 예겸(倪謙)이 나와서 성삼문(成三問)·박팽년(朴彭年)의 재주를 보고 소중화(小中華)라고 칭찬한 일이 있습니다. 지금 홍문관(弘文館)의 관원으로서 장래가 있는 자는 오래도록 그 직에 있으면서 나라를 빛낼 인재가 되도록 하소서." 하였다.
5. 중종실록 17권, 중종 7년 12월 26일 병인 1번째기사 / 대사헌 남곤 등이 소릉의 일을 상소하다
없는데도, 중국 사람들이 비천하게 여기지 않고 소중화(小中華)라고 말하는 것은, 어찌 대대로 예의를 닦아 임금은 임금, 신하는 신하, 아비는 아비, 아들은 아들 노릇함으로써, 생민의 윤리와 사물의 법칙이 그래도 볼 만하기 때문이 아니겠습니까? 지금 수천 년 동안의 16세대 제왕들에게 없는 일이 유독 우리 조선에서만 보게 된다면, 오직 전고(前古)에 비춰 보아도 ...
6. 인조실록 32권, 인조 14년 2월 21일 병신 1번째기사 / 홍익한이 금한을 배척하고 명분을 세울 것을 상소하다
나라는 본디 예의의 나라로 소문이 나서 천하가 소중화(小中華)라 일컫고 있으며 열성(列聖)들이 서로 계승하면서 한마음으로 사대하기를 정성스럽고 부지런히 하였습니다. 그런데 지금 오랑캐를 섬기며 편안함을 취해 겨우 보존하고 있습니다. 비록 세월을 연장해 가고 있으나, 조종들에 대해서는 어쩌겠으며, 천하 사람들에 대해서는 어쩌겠으며 , 후세에 대해서는 어쩌겠...
7. 숙종실록 44권, 숙종 32년 12월 26일 경술 2번째기사 / 보덕 최계옹이 관원들의 풍기 문란을 염려하는 상소하다
니다. 우리 기방(箕方)을 생각한다면 예전부터 소중화(小中華)라 일컬었고 의관 문물(衣冠文物)은 옛 제도를 고치지 않았는데, 풍속이 호무를 숭상하여 태연히 부끄러워할 줄 모르니 가엾게도 우리 동방 사람도 이미 변하여 오랑캐가 된 것입니다. 심지어 얼마전 진연(進宴) 때 내연(內宴)을 밖에서 습의(習儀)하던 날 이른바 도감(都監)의 두 제조(提調)가 처용무(...
8. 숙종실록 65권, 부록 / 숙종 대왕 행장(行狀)
관대(冠帶)를 하고 능히 오상(五常)을 밝혀 소중화(小中華)의 칭호를 얻도록 한 것은 기자의 힘이다. 문장을 주관하는 신하에게 각별히 제문(祭文)을 짓도록 하고 도승지(都承旨)를 보내 기자묘(箕子廟)에 치제(致祭)하게 하라.’ 하였다 . 이윽고 승지에게 명하기를, ‘특별히 승지를 보내는 것은 그 일을 소중하게 여기기 때문이니, 경(卿)은 부디 공경을 다하여 제사...
9. 숙종실록보궐정오 19권, 숙종 [보궐정오실록] 14년 6월 14일 을묘 1번째기사 / 이조 판서 박세채가 올린 시무 12조
문물(文物)이 찬연(粲然)하게 갖추어져서 족히 소중화(小中華)라 칭할 만하였습니다. 그러나 변고(變故)를 겪고 후세로 내려올수록 풍속이 퇴폐해져, 집안에서 행하는 것이 이미 순 후(淳厚)하지 못하고, 나라에서 조치하는 것도 또한 구간(苟簡)함이 많아져 모두가 가려서 속이는 과조(科條)가 되었습니다. 그리하여 비록 그 타고난 천리(天理)의 진실을 잃었으나 스스로 ...
10. 영조실록 22권, 영조 5년 4월 30일 갑진 2번째기사 / 부수찬 권혁에게 삭출시키는 법전을 시행하라고 명하다. 이양신·이수해를 영구하여 비호한 권혁의 소장
않고서 이에 도리어 이와 같은 짓을 함으로써 소중화(小中華)의 기풍을 더럽혔으니, 신은 특히 절통하게 여깁니다. 정묘년 16 27 인조 5년. 양조(兩朝) 효종조와 숙종조. 소중화(小中華) 우리 나라를 가리킴. 하니, 임금이 하교하기를, "권혁이 이양신·이수해를 영구(營救)하여 비호하였고 소장의 끝에 기재한 일은 그저 풍문(風聞)만 들은 것으로 비난이 너무 심하였으니, ...
11. 정조실록 19권, 정조 9년 2월 14일 갑오 6번째기사 / 사은 정사 박명원과 부사 윤승렬의 장계의 별단
금 공경한 마음을 일으키게 하였는데, 평소에 『소중화(小中華)』라고 일컫는 것이 모두 빈말은 아니었다.」고 높이 칭찬하였다.’라고 하였습니다. 또 강서(江西) 사람 대균(戴均)이라는 자가 있었는데, 그는 원래 현관(現官) 한림(翰林)으로서 아숙(阿肅)을 스 승[老師]이라고 일컬으며 자기는 그의 문인(門人)이라고 일컬었습니다. 이야기하는 사이에 말하기를, ‘스승께...
12. 정조실록 19권, 정조 9년 4월 14일 계사 1번째기사 / 역적을 토벌한 것에 대해 하례하다
부합하기를 기대하였던 것이다. 뜻하지도 않게 소중화(小中華)는 예의(禮義)를 숭상하는 나라인데, 이에 지극히 발칙하고 지극히 흉악한 변고가 생겼다. 아! 그 통탄함을 오히려 차마 말할 수가 있겠는가? 역적 김하재(金夏材)는 그것이 천지 개벽(天地開闢) 이후에 없던 일이니, 또한 어찌 일식·월식이 제대로 일어나지 않는 변고와 비교할 수 있겠는가? 을축년에 ...
13. 정조실록 46권, 정조 21년 5월 22일 신유 2번째기사 / 인현서원의 명칭 개칭 등에 관한 채제공·이병모·이서구 등의 논의
듯합니다." 하니, 하교하기를, "우리 나라를 소중화(小中華)라고 일컫는데, 삼한(三韓) 이전에는 순수함이 아직도 남아 있어 의문(儀文)을 처음으로 만든 것이 많아서 지금까지 당연히 행하여야 할 전례(典禮)를 겨를하지 못해서 그런 것인가. 서원(書院) 명칭에 대한 한 건과 더불어 다시 예조 판서로 하여금 널리 상고하여 의견 일치를 보아 초기(草記)를 올리게 하라." 하였다.
14. 정조실록 49권, 정조 22년 9월 1일 신유 1번째기사 / 사학 유생 유춘주가 신약추에게 형률을 적용하길 상소하다
聖朝)께서 뜻 둔 일을 계술(繼述)하시고 우리 소중화(小中華)의 문물을 빛내셨습니다. 그리고 절의를 높이 숭상하게 하고 삼강 오륜을 붙들어 일으킬 수 있도록 있는 힘을 모두 다 쏟으시는 한편 또 이렇게 새로 《춘추》를 간행하시어 해와 별처럼 거듭 드러내 보여주셨으니 이제는 인심이 차분히 안정되고 세도(世道)가 바르게 돌아와야만 참으로 마땅한 것입니...
15. 정조실록 52권, 정조 23년 12월 21일 갑진 2번째기사 / 지중추부사 홍양호가 상차하여 《흥왕조승》 4편을 올리다
자도 오랑캐의 그것을 사용하지 않았으므로 혹은 소중화(小中華)라 칭하기도 하고 혹은 군자(君子)의 나라라고 일컫기도 하였으니, 왜가리 소리 를 내며 왼쪽으로 깃을 다는 저 오랑캐의 풍속과는 완전히 달랐습니다. 그런데 다만 왕씨(王氏) 의 시대로 접어들면서 말갈(靺鞨)과 국경을 접하고 몽고족(蒙古族)인 원(元)나라와 혼인 관계를 맺었기 때문에 예교(禮敎)가 일으켜...
16. 순조실록 3권, 순조 1년 12월 22일 갑자 1번째기사 / 사학을 토죄하고 인정전에서 진하를 행하다. 반교문
서방(西方) 세계의 음침하고 요사스러운 기운이 소중화(小中華)인 예의(禮義)의 나라에 느닷없이 불쑥 들어오리라고 어찌 생각하였겠는가? 감히 크게 청명한 시대를 더럽히고자 하여 섬기는 것이 뱀의 신(神)이고 소의 귀신이며 거의 반 세상을 속이어 미혹시켜 그의 말은 지옥(地獄)과 천당(天堂)에 대한 것이었다. 신부(神父)와 교주(敎主)를 일컬어 높이 받들기를 제 조상...
17. 순조실록 26권, 순조 23년 8월 2일 무술 1번째기사 / 성균관에서 거재 유생들이 서얼들이 상소한 것에 대해 권당한 소회를 아뢰다
우리 조정은 중국의 밖에 있는 문치를 숭상하는 소중화(小中華)입니다. 삼한(三韓) 시대와 신라 ·고려 사이에도 여전히 비루한 이속(夷俗)을 면치 못하다가 우리 조정에 이르러서 태조와 태종께서 고려에서 숭불(崇佛)하던 뒤에 인륜을 밝히고 고려에서 멸유(蔑儒)하던 끝에 강상(綱常)을 펼치셨습니다. 그러므로 ‘명분(名分)’ 두 글자와 관계된 것은 그 엄중함이 분명하...
18. 순조실록 29권, 순조 27년 4월 1일 병오 10번째기사 / 승정원에서 목태석의 국문을 청하다
두워지고 인심이 날로 더욱 함익(陷溺)하여, 소중화(小中華)의 지역에 다시는 《춘추(春秋)》를 읽는 자가 없을 것입니다. 또 ‘용연(龍淵)·산호(山虎)’ 등의 어구는 매우 어긋나고 무엄하였으니, 이 어찌 신하로서 감히 말할 수 있는 것이겠습니까? 마지막 부분에 지적한 뜻은 매우 알쏭달쏭하여 요점이 협잡(挾雜)하는 꾀에서 벗어나지 않았으니, 이미 시행한 법...
19. 헌종실록 14권, 헌종 13년 8월 9일 을묘 3번째기사 / 성근묵이 상소하여 이양선에 대해 보다 더 단호한 대처를 하도록 하다
늦추는 장책(長策)으로 여긴다면, 장차 우리 소중화(小中華)의 온 고장이 함께 멸망하여 요수(妖獸)·괴조(怪鳥)가 되어도 구제할 수 없을 것입니다. 예전부터 융적(戎狄)의 화(禍)에 어찌 선악을 가릴 만한 것이 있었겠습니까마는, 이 적으로 말하면 방자하게 의리를 말하고 전에 없던 이단을 새로 만들어 성인(聖人)의 도(道)를 위협하니, 이것은 화이(華夷)·인수(人獸)가...
20. 고종실록 34권, 고종 33년 1월 7일 양력 3번째기사 / 김병시가 단발령에 반대하는 상소를 올리다
때로부터 문물 제도가 찬연히 크게 갖추어져서 소중화(小中華)라고 불렸습니다. 우리 왕조에 이르러서는 훌륭한 임금들이 서로 이어 거듭 빛내어서 오늘과 같은 경사에까지 이르렀으니, 어떻게 이전 의 훌륭한 조상들의 아름다운 규범과 선대 임금들이 남긴 제도를 버리고 그만 이 지경에 이르게 하겠습니까? 이것을 어떻게 참을 수 있겠습니까? 설사 응당 시행해야 할...
21. 고종실록 36권, 고종 34년 9월 30일 양력 3번째기사 / 이수병 등이 황제로 칭할 것을 주청하다
대를 이어왔는데, 우리나라 가 명을 받고서 ‘소중화(小中華)’라고 불렸습니다. 그러다가 임진년(1592)과 계시년(1593)의 왜란(倭亂)을 당해서는 신종 황제(神宗皇帝)가 우리나라를 다시 만들어 주셨으니, 의리로는 비록 임금과 신하 사이지만 은혜로는 실로 아버지와 아들과 같습니다. 우리나라 삼천리강토에 살아 있는 모든 생물은 모두 황제의 덕에 젖었습니다. 아! 천...
--
1. 성종실록 20권, 성종 3년 7월 10일 乙巳 4번째기사 / 예조에서 음란한 짓을 금제하는 조목을 기록하여 아뢰다
箕子以來, 敎化大行, 男有烈士之風, 女有貞正之俗, 史稱小中華。 比聞淫奔之女, 前則只在於陽城縣 加川, 而今也四方院、館、營、鎭之間, 亦多有之。 春夏則奔魚梁收稅之場, 秋冬則遊山間僧舍, 恣行淫亂, 汚染敎化。」 令守令、萬戶、驛丞檢察, 重論爲便。’ 臣等參詳, 淫穢之俗, 法所痛治。 今也, 號稱遊女, 或稱花娘, 淫縱自恣, 其禁制之目, 具錄于後。 一。 花娘、遊...
2. 성종실록 134권, 성종 12년 10월 17일 戊午 1번째기사 / 남원군 양성지가 중국이 개주에 위를 설치한다는 것에 대해 상언하다
外之事, 家家有封君之樂, 世世存事大之體, 作別乾坤, 稱小中華, 凡三千九百年于玆矣。 黃溍以爲仕國, 黃儼亦曰天堂, 元 世祖使我以儀從舊俗, 高皇帝許我以自爲聲敎 。 然使我自爲聲敎者, 非徒言語不通, 習俗亦異。 以元末紅軍二十萬人, 闌入我疆, 我以大兵擊斬殆盡, 軍聲大振, 聞于天下, 且皇明定都金陵, 而本國與北元連境, 勢不得不如是也。 或以爲, ‘中國之於東方, ...
3. 성종실록 208권, 성종 18년 10월 12일 戊寅 1번째기사 / 중국 사신의 접대에 시위 군사의 예모를 전교하다
其還也, 言曰: ‘朝鮮實是知禮之國, 其稱小中華, 非虛語也。’ 稱嘆不已。 副使張瑾曰: ‘只有一事不如中朝, 中朝殿上衛士, 雖盛暑汗流, 身不敢動。 今見侍殿上者, 左右顧視, 稍失禮貌云。’ 臣請於天使接待時, 衛士勿令旋視, 以嚴禮貌。 且令堂上官以上, 竝服胸背圓領, 以別朝官等級何如?" 傳曰: "卿言甚當。 侍衛 之士數數代替, 勿令顧視。 胸背亦從品穿着。"
4. 중종실록 7권, 중종 3년 10월 22일 丙戌 1번째기사 / 조강에서 인재 양성을 위해 불시의 고강·적절한 교수·독서당 예우 등을 아뢰다
上曰: "人才之不作如是, 故已令推考該曹及館學官員耳。" 說經成世昌曰: "讀書堂支應等事, 不足數也。 如書冊、紙、筆不足, 國家所藏書冊亦多, 請移置, 以便觀覽。" 參贊官李世仁曰: "今日所啓, 皆養育人才事, 請留意焉。 我國雖在海外, 中朝以文士之多爲美, 先是天使倪謙出來, 見成三問、朴彭年之才, 稱爲小中華。 今弘文館官員有將來者, 使久居其任, 以成華國之才。"
5. 중종실록 17권, 중종 7년 12월 26일 丙寅 1번째기사 / 대사헌 남곤 등이 소릉의 일을 상소하다
國視之, 與安南、交趾無異, 而中國之人, 不鄙夷之, 至稱小中華。 豈非以世修禮義, 君君臣臣父父子子, 民彝物則, 猶足可觀故耶? 今數千年間十六代帝王所無之事, 而獨於我朝鮮見之, 則非唯負愧於前古, 亦且負愧於中國。 此非獨一世君臣之所大恥也, 抑吾東方億萬年無窮之大恥也。 臣等又聞, 神道與人道, 無小差爽, 光廟禮陟之後, 與祖宗列聖, 昭列于天, 於世宗, 則...
6. 인조실록 32권, 인조 14년 2월 21일 丙申 1번째기사 / 홍익한이 금한을 배척하고 명분을 세울 것을 상소하다
, 臣妾我君臣者, 實由是耳。 我國素以禮義聞天下, 稱之以小中華, 而列聖相承, 事大一心, 恪且勤矣。 今乃服事胡虜, 偸安僅存, 縱延晷刻, 其於祖宗何, 其於天下何, 其於後世何? 且胡差所帶來, 半是新附西㺚云。 西㺚之於我, 旣無交聘之禮, 奚有儐接之道? 拒而不納可也, 而入境有日, 迄無廟堂一言, 臣未知處廟堂者何人, 而高枕熟睡, 尙不覺悟也? 噫! 身居...
7. 숙종실록 44권, 숙종 32년 12월 26일 庚戌 2번째기사 / 보덕 최계옹이 관원들의 풍기 문란을 염려하는 상소하다
位 高士夫, 亦且爲之。 念此箕方, 古稱小中華, 衣冠文物, 不改舊制, 而俗習胡舞, 恬不知恥, 則哀我東人, 亦已化爲胡矣。 甚至於向者進宴時, 內宴外習儀之日, 所謂都監二提調, 私諭舞處容者, 乃行淫褻之戲, 觀者駭目。 若非其時一提調呵禁, 則威儀肅敬之地, 終不免爲褻慢之場, 此豈聖世所宜有也? 答曰: "上款所陳, 予當留意, 而疏末指斥吏判之說, 太不近理, 決知其孟浪也。"
8. 숙종실록 65권, 부록 / 숙종 대왕 행장(行狀)
文物, 燦然可述。 使我東國, 至今冠帶, 克明五常, 以得小中華之稱者, 箕子之力也。 其令主文之臣, 別構祭文, 遣都承旨, 致祭于箕子廟。" 仍命承旨曰: "別遣承旨, 重其事也, 卿須致敬行祀, 廟宇墳(瑩) 〔塋〕 , 如有頹圯, 一一書啓, 以爲修葺之地, 子孫中可合錄用者, 亦爲訪問。" 承旨白: " 檀君、東明王廟, 亦在其處, 自世宗朝, 春秋降香祝, 似當一體行祭。" 王曰: "先祭箕子廟...
9. 숙종실록보궐정오 19권, 숙종 [보궐정오실록] 14년 6월 14일 乙卯 1번째기사 / 이조 판서 박세채가 올린 시무 12조
本朝繼高麗之末運, 用文爲治, 典章名物, 粲然具備, 足稱小中華 之號, 而經歷變故, 世降俗弊, 行於家者, 旣未淳厚, 措諸國者, 亦多苟簡, 類爲掩遮欺謾之科, 雖喪其所賦天理之眞, 而不自覺察, 風敎不競, 奸僞百出。 今當大矯其弊, 凡於制度云爲之間, 必思有以渾然誠確之心, 白直行事, 內不欺己, 外不欺人, 一以忠信篤厚, 久而不變, 使下之人, 觀感從化, 則終當有所正矣。 二曰,...
10. 정조실록 19권, 정조 9년 2월 14일 甲午 6번째기사 / 사은 정사 박명원과 부사 윤승렬의 장계의 별단
接待, 逾於常格, 文華彬彬, 禮栗껌濟, 令人起敬。 素稱小中華, 儘非虛語。" 又有江西人戴均, 元現官翰林, 稱阿肅爲老師, 自稱門人。 話語間以爲: "老師回京後往見, 則盛道東方禮義之彬蔚, 接待之隆厚。" 云。 大略與狄翔言, 別無差殊。 一, 皇帝御小殿, 招立通官於第一門密邇之地, 使黃門, 傳授書冊、筆墨等物種, 而傳授之際, 黃門還入復出者, 爲二三次。 蓋擇...
11. 정조실록 19권, 정조 9년 4월 14일 癸巳 1번째기사 / 역적을 토벌한 것에 대해 하례하다
特軫大義之昭揭; 刑政再恢於湖海, 庶幾民志之交孚。 不意小中華尙禮義之邦, 乃有極悖亂、至凶慘之變。 嘻! 其痛矣, 尙忍言哉? 逆賊夏材, 此殆天地開闢以後所無, 亦豈日月薄蝕之變可比? 生於乙丑血黨, 以三賊竝稱, 歲則甲辰, 甘心與一鏡同死。 一種莾、操之逆節, 古或有聞; 百倍雲、海之凶言, 今始創見。 千奇萬怪之層出, 縱云事變無窮; 九法、三綱之尙存, 胡乃斁絶...
12. 정조실록 46권, 정조 21년 5월 22일 辛酉 2번째기사 / 인현서원의 명칭 개칭 등에 관한 채제공·이병모·이서구 등의 논의
刑曹參判徐龍輔、原任奎章閣直閣金祖淳、承政院右承旨洪仁浩, 是秉模議。 備邊司堂上李書九則曰: "中國亦有箕子墓, 則在平壤者, 豈出傳疑? 享祀之不擧, 非有歉於崇報。 創行新典, 恐難遽議。" 敎曰 : "東國稱小中華, 而三韓以前, 大樸之尙爾, 儀文多草創, 至今未遑於應行之典禮而然乎? 與院名一款, 更令禮判, 博考指一草記。"
13. 정조실록 49권, 정조 22년 9월 1일 辛酉 1번째기사 / 사학 유생 유춘주가 신약추에게 형률을 적용하길 상소하다
臨御二十有餘年, 明理講義, 以繼述我列聖朝志事, 以賁飾我小中華文物。 其所以褒尙節義, 扶植倫綱者, 靡不用極, 又此新刊《春秋》, 重揭日星, 固宜人心底定, 世道歸正。 而一種 怪鬼, 換面迭出, 至有至凶絶悖之說, 登諸章奏, 世間變怪, 可謂無不有也。 蓋其全篇褻慢, 遣辭奰戾, 亂言之不足, 至於悖經, 悖經之不足, 至於辱國, 此豈洪水猛獸之災而已哉? 至若封山之說, 尤極...
14. 정조실록 52권, 정조 23년 12월 21일 甲辰 2번째기사 / 지중추부사 홍양호가 상차하여 《흥왕조승》 4편을 올리다
風氣相近, 聲敎攸漸, 衣冠悉遵華制, 文字不用番梵, 或稱小中華, 或稱君子之國, 與夫侏𠌯左袵之俗, 逈然 不同。 而第自王氏之世, 壤接靺鞨, 媾連蒙元, 故禮敎不興, 倫紀不明。 擊剌以爲能事, 叛亂殆無虛歲, 檀、箕之遺風, 漠然不可見矣。 何幸天開鴻荒, 運屆熙明, 我朝之興。 適會於皇明, 肇造區夏之時, 錫號賜冕, 視同內服。 乾坤與之合德, 神人爲之夾助, 於是乎我太祖大王...
15. 순조실록 3권, 순조 1년 12월 22일 甲子 1번째기사 / 사학을 토죄하고 인정전에서 진하를 행하다. 반교문
, 四海歸仁, 有過化存神之妙。 詎意極西方陰沴之氣, 闖入小中華禮義之邦? 敢欲滓穢太淸, 所事者蛇神、牛鬼, 幾至誑惑半世, 其說則地獄、天堂, 神父、敎主之稱, 崇奉過於尸祝, 十誠、七克之目, 誕妄類於讖符。 喜生惡死人情 也, 而視刀鋸如袵席, 追遠執本天理也, 而以烝嘗爲弁髦, 若敖之鬼不其餒, 而中冓之言亦可醜也。 紏結錮族、廢孽、怨國、失志之輩, ...
16. 순조실록 26권, 순조 23년 8월 2일 戊戌 1번째기사 / 성균관에서 거재 유생들이 서얼들이 상소한 것에 대해 권당한 소회를 아뢰다
貴賤之所係, 天道行而人紀立焉。 猗歟! 本朝, 海外尙文之小中華也。 三韓之際, 羅、麗之間, 猶未免夷俗之陋, 逮夫我太祖, 太宗, 明倫於勝國崇佛之後, 陳常於勝國蔑儒之餘。 凡係名分二字處, 其嚴有截, 其等有隔, 一洗舊染, 如日中天。 際於其時, 大明 高皇帝, 頒我以禮法之書, 賜我以冠裳之制, 儀節之隆殺, 名位之等級, 井井有區域, 分不得踰寸, ...
17. 순조실록 29권, 순조 27년 4월 1일 丙午 10번째기사 / 승정원에서 목태석의 국문을 청하다
求過於無過之地。 敢言其所不敢言, 遣辭狂悖, 用意陰慘, 此不但我朝之賊臣, 實是皇朝之罪人。 此而不嚴加重辟, 則義理日益晦蒙, 人心日益陷溺, 而小中華一域, 無復讀《春秋》者。 且其龍淵 山虎等句語, 絶悖無嚴, 此豈人臣所敢道哉? 終篇旨意, 極其閃忽, 要不出挾雜之計, 已施之律, 不足以懲其罪。 請島配罪人睦台錫, 亟令王府拿鞫嚴問, 決正典刑。" 答曰: "勿煩。"
18. 헌종실록 14권, 헌종 13년 8월 9일 乙卯 3번째기사 / 성근묵이 상소하여 이양선에 대해 보다 더 단호한 대처를 하도록 하다
, 見陵於邪賊, 惟以保養妖邪, 爲緩禍之長策, 則將見我小中華一域, 淪胥爲妖獸怪鳥而莫之救也。 從古戎狄之禍, 豈有善惡之可辨, 而至於此賊, 則肆然稱義理, 俑厥無前之異端, 以威脅聖人之道, 此華夷、人獸之大關棙也。 楊、墨之道, 非身親爲亂臣賊子之事也, 孟子曰, ‘仁義充塞, 率獸而食人’, 又曰, ‘能言拒楊、墨者, 聖人之徒也。’ 彼之使船, 如馬橫行大海,...
19. 고종실록 34권, 고종 33년 1월 7일 陽曆 3번째기사 / 김병시가 단발령에 반대하는 상소를 올리다
肇自箕聖東 渡, 敎民八條, 典章文物, 燦然大備, 稱之以小中華。 曁我朝聖神相繼, 重熙累洽, 式克至于今日休, 夫何拚棄前聖懿規、先王遺制, 遂至於此? 是豈可忍? 設有當行規則, 係非尋常變更, 則宜其廣詢於在廷諸臣而處之。 勅令遽降於俄忽之間, 人莫敢窺其裏許, 此又何事也? 身體髮膚, 受之父母, 不敢毁傷, 此孔夫子之言也。 萬世夫子之言, 亦不足...
明清史料--明清檔案內閣大庫系統-中央研究院歷史語言研究所
明清史料--明清檔案內閣大庫系統-中央研究院歷史語言研究所
明清史料--明清檔案內閣大庫系統-中央研究院歷史語言研究所
本所藏內閣大庫檔案原藏於清宮內閣大庫,宣統元年(1909)因大庫整修而被移出。
清亡後幾經轉手,一度被賣入同懋增紙廠作還魂紙,最後在首任所長傅斯年 先生的奔走下,於民國十八年(1929)自李盛鐸手中購入。
這批檔案有四千多件明代(1368-1644)文書,三十多萬件清代(1644-1911)檔冊,包括內閣收貯的制詔誥敕、題奏本章、朝貢國表章、
內閣各 廳房處的檔案、修書各館檔案、試題、試卷、瀋陽舊檔等,而以題奏本章佔最大宗。
內閣大庫檔案內容多涉及一般行政事務,而許多案例並不見於會典或則例,是研究制度史的重要材料,同時對於社會史、
經濟史或法制史等的研究也極具價值。
- -
本所於民國八十五年起,建置內閣大庫檔案系統,開發使用者線上瀏覽與檢索等相關功能,旨在提供研究者詳盡且系統化的明清檔案資訊。
民國九十年初,為提升系統之檢全率與檢準率,開始與國立故宮博物院合作,建置人名權威檔,輔助系統進行人物資訊的權威控制。
人名權威檔的內容包含兩大部分:一是傳主的基本資料,包括姓名、生卒年、異名、籍貫、傳略、出身、專長、著述、關連等欄位。
異名欄包括:著錄來源或考證來源中有記載之同人不同名稱,未經權威款目採用者,並標示其種類,
如初名、字、號、謚等等。關連欄則著重於傳主的親屬、師友關係。二是傳主的履經歷,記錄傳主歷任官職,及任官時間。
職銜中官名以正式官名為原則,如正式官名有常用之通稱,著錄通稱,得視情況補充正式官名。除職官銜外亦包括爵位的收錄。
此外,若無法得知正式官名或通名,只知奉派管理某某事務者,如:稽察中書科事務等。亦比照故宮典藏之清國史館與清史館之傳包稿著錄。
而受賜的各種殊榮,如賞戴花翎、賞黃馬褂等;或非官銜之履歷,如山長等職,其他如丁憂守制、致仕等情形亦予以記錄,按照年代日期,使之條目有序。
人名權威檔係以明清檔案(內閣大庫檔案、軍機檔、宮中檔等)為主要參考資料,另輔以故宮典藏之清國史館傳包、傳稿及清史館傳稿,
再選取學界公認具權威性的史料,如《國立故宮博物院清代文獻檔案:武職大臣年表》、《明實錄》、《清實錄》、《清代官員履歷檔案全編》、《明代傳記叢刊》、《清代傳記叢刊》,
及今人編纂的《清代名人傳略》、《清代職官年表》、《清人室名別稱字號索引》等做為參考文獻,亦使用《清代職官志》、《中國官制大辭典》等參考書籍。這些文獻的考證性經過排序,引用時,以具較高考證性者優先。
為使著錄結果具一致性及可靠性,訂定著錄規則。著錄規則乃由明清史學專家、資訊顧問及內容著錄人員,經反覆討論取得共識,累積而成。
同時根據實際著錄時遇到的狀況,隨時討論,做成紀錄,務使資料庫正確反映史料內容。
著錄人員依據參考文獻、著錄規則及討論紀錄,將史料內容系統化整理,建置於網站資料庫內,方便使用者隨時查詢。
人名權威資料庫目前持續建置中,使用者可經由明清檔案內閣大庫系統(http://archive.ihp.sinica.edu.tw/mctkm2/index.html)之責任者基本資料,
連結至該人名的權威資料,或直接進入「明清檔案人名權威資料查詢」(http://archive.ihp.sinica.edu.tw/ttsweb/html_name/search.php)網頁,
執行相關檢索。本資料庫除整理明清人物傳記資料外,並記錄史料來源的脈絡線索,戮力提供明清傳主(人物)的完整資訊。
明清史料--明清檔案內閣大庫系統-中央研究院歷史語言研究所
http://archive.ihp.sinica.edu.tw/mctkm2/index.html
明清史料--明清檔案內閣大庫系統-中央研究院歷史語言研究所
http://archive.ihp.sinica.edu.tw/ttsweb/html_name/search.php
明清史料--明清檔案內閣大庫系統-中央研究院歷史語言研究所
本所藏內閣大庫檔案原藏於清宮內閣大庫,宣統元年(1909)因大庫整修而被移出。
清亡後幾經轉手,一度被賣入同懋增紙廠作還魂紙,最後在首任所長傅斯年 先生的奔走下,於民國十八年(1929)自李盛鐸手中購入。
這批檔案有四千多件明代(1368-1644)文書,三十多萬件清代(1644-1911)檔冊,包括內閣收貯的制詔誥敕、題奏本章、朝貢國表章、
內閣各 廳房處的檔案、修書各館檔案、試題、試卷、瀋陽舊檔等,而以題奏本章佔最大宗。
內閣大庫檔案內容多涉及一般行政事務,而許多案例並不見於會典或則例,是研究制度史的重要材料,同時對於社會史、
經濟史或法制史等的研究也極具價值。
- -
本所於民國八十五年起,建置內閣大庫檔案系統,開發使用者線上瀏覽與檢索等相關功能,旨在提供研究者詳盡且系統化的明清檔案資訊。
民國九十年初,為提升系統之檢全率與檢準率,開始與國立故宮博物院合作,建置人名權威檔,輔助系統進行人物資訊的權威控制。
人名權威檔的內容包含兩大部分:一是傳主的基本資料,包括姓名、生卒年、異名、籍貫、傳略、出身、專長、著述、關連等欄位。
異名欄包括:著錄來源或考證來源中有記載之同人不同名稱,未經權威款目採用者,並標示其種類,
如初名、字、號、謚等等。關連欄則著重於傳主的親屬、師友關係。二是傳主的履經歷,記錄傳主歷任官職,及任官時間。
職銜中官名以正式官名為原則,如正式官名有常用之通稱,著錄通稱,得視情況補充正式官名。除職官銜外亦包括爵位的收錄。
此外,若無法得知正式官名或通名,只知奉派管理某某事務者,如:稽察中書科事務等。亦比照故宮典藏之清國史館與清史館之傳包稿著錄。
而受賜的各種殊榮,如賞戴花翎、賞黃馬褂等;或非官銜之履歷,如山長等職,其他如丁憂守制、致仕等情形亦予以記錄,按照年代日期,使之條目有序。
人名權威檔係以明清檔案(內閣大庫檔案、軍機檔、宮中檔等)為主要參考資料,另輔以故宮典藏之清國史館傳包、傳稿及清史館傳稿,
再選取學界公認具權威性的史料,如《國立故宮博物院清代文獻檔案:武職大臣年表》、《明實錄》、《清實錄》、《清代官員履歷檔案全編》、《明代傳記叢刊》、《清代傳記叢刊》,
及今人編纂的《清代名人傳略》、《清代職官年表》、《清人室名別稱字號索引》等做為參考文獻,亦使用《清代職官志》、《中國官制大辭典》等參考書籍。這些文獻的考證性經過排序,引用時,以具較高考證性者優先。
為使著錄結果具一致性及可靠性,訂定著錄規則。著錄規則乃由明清史學專家、資訊顧問及內容著錄人員,經反覆討論取得共識,累積而成。
同時根據實際著錄時遇到的狀況,隨時討論,做成紀錄,務使資料庫正確反映史料內容。
著錄人員依據參考文獻、著錄規則及討論紀錄,將史料內容系統化整理,建置於網站資料庫內,方便使用者隨時查詢。
人名權威資料庫目前持續建置中,使用者可經由明清檔案內閣大庫系統(http://archive.ihp.sinica.edu.tw/mctkm2/index.html)之責任者基本資料,
連結至該人名的權威資料,或直接進入「明清檔案人名權威資料查詢」(http://archive.ihp.sinica.edu.tw/ttsweb/html_name/search.php)網頁,
執行相關檢索。本資料庫除整理明清人物傳記資料外,並記錄史料來源的脈絡線索,戮力提供明清傳主(人物)的完整資訊。
明清史料--明清檔案內閣大庫系統-中央研究院歷史語言研究所
http://archive.ihp.sinica.edu.tw/mctkm2/index.html
明清史料--明清檔案內閣大庫系統-中央研究院歷史語言研究所
http://archive.ihp.sinica.edu.tw/ttsweb/html_name/search.php
Labels:
倫文敘全集--香港陳湘記圖書,
傳習錄 -- 卷上,
心經,
明治漢學,
曾胡治兵語錄,
陳雲 : 香港城邦自治,
香港廣東話俗語字典
Montag, 20. November 2017
小中華3:朝鮮王朝實錄/成宗實錄/十八年(1487)
小中華3:朝鮮王朝實錄/成宗實錄/十八年(1487)
史/編年/朝鮮王朝實錄/成宗實錄/十八年(1487) 卷一百九十九至二百十/卷二百八 十月/12日(P.5-2)
○戊寅/義州宣慰使李克墩啓曰:“去年天使祁順初到,我國禮遇甚倨。
其還也,言曰:‘朝鮮實是知禮之國,其稱小中華,非虛語也。’稱嘆不已。
副使張瑾曰:‘只有一事不如中朝,中朝殿上衛士,雖盛暑汗流,身不敢動。今見侍殿上者,左右顧視,稍失禮貌云。’
臣請於天使接待時,衛士勿令旋視,以嚴禮貌。且令堂上官以上,竝服胸背圓領,以別朝官等級何如?”
傳曰:“卿言甚當。侍衛之士數數代替,勿令顧視。胸背亦從品穿着。”
【太白山史庫本】 31책 208권 5장 B면
【影印本】 11책 253면
【分類】 *왕실-의식(儀式) / *군사-중앙군(中央軍) / *외교-명(明) / *의생활-관복(官服)
http://sillok.history.go.kr/popup/image_print.do?imgname=/s_img/SILLOK/ia/iia_d208005b00.jpg
庶民則男女勤耕桑之務,士夫則文武供內外之事,家家有封君之樂,世世存事大之體,作別乾坤,稱小中華
http://sillok.history.go.kr/id/kia_11210017_001
庶民則男女勤耕桑之務,士夫則文武供內外之事,家家有封君之樂,世世存事大之體,作別乾坤,稱小中華
http://sillok.history.go.kr/id/kia_11210017_001
庶民則男女勤耕桑之務,士夫則文武供內外之事,家家有封君之樂,世世存事大之體,作別乾坤,稱小中華
http://sillok.history.go.kr/popup/viewer.do?id=kia_11210017_001&type=view&reSearchWords=&reSearchWords_ime=#
朝鮮王朝實錄
http://hanchi.ihp.sinica.edu.tw/mqlc/hanjishilu?@5^2039397373^802^^^8021100200160014000100020017@@886655005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7823
聖學輯要 성학집요 @ 栗谷全書 by李珥
http://www.krpia.co.kr/knowledge/itkc/detail?artClass=MM&artId=kc_mm_a201#none
聖學輯要 성학집요 @ 栗谷全書 by李珥
http://db.itkc.or.kr/itkcdb/text/nodeViewIframe.jsp?seojiId=kc_mm_a201&bizName=MM&gunchaId=av019&muncheId=01&finId=001
聖學輯要 성학집요 @ 栗谷全書 by李珥
http://www.krpia.co.kr/viewer/open?plctId=PLCT00005160&nodeId=NODE05356293
聖學輯要 성학집요 @ 栗谷全書 by李珥
http://db.itkc.or.kr/itkcdb/text/nodeViewIframe.jsp?seojiId=kc_mm_a201&bizName=MM&gunchaId=av020&muncheId=01&finId=001
聖學輯要 성학집요 @ 栗谷全書 by李珥
http://www.wul.waseda.ac.jp/kotenseki/html/he16/he16_02426/index.html
聖學輯要 성학집요 @ 栗谷全書 by李珥
http://archive.wul.waseda.ac.jp/kosho/he16/he16_02426/
史/編年/朝鮮王朝實錄/成宗實錄/十八年(1487) 卷一百九十九至二百十/卷二百八 十月/12日(P.5-2)
○戊寅/義州宣慰使李克墩啓曰:“去年天使祁順初到,我國禮遇甚倨。
其還也,言曰:‘朝鮮實是知禮之國,其稱小中華,非虛語也。’稱嘆不已。
副使張瑾曰:‘只有一事不如中朝,中朝殿上衛士,雖盛暑汗流,身不敢動。今見侍殿上者,左右顧視,稍失禮貌云。’
臣請於天使接待時,衛士勿令旋視,以嚴禮貌。且令堂上官以上,竝服胸背圓領,以別朝官等級何如?”
傳曰:“卿言甚當。侍衛之士數數代替,勿令顧視。胸背亦從品穿着。”
【太白山史庫本】 31책 208권 5장 B면
【影印本】 11책 253면
【分類】 *왕실-의식(儀式) / *군사-중앙군(中央軍) / *외교-명(明) / *의생활-관복(官服)
http://sillok.history.go.kr/popup/image_print.do?imgname=/s_img/SILLOK/ia/iia_d208005b00.jpg
庶民則男女勤耕桑之務,士夫則文武供內外之事,家家有封君之樂,世世存事大之體,作別乾坤,稱小中華
http://sillok.history.go.kr/id/kia_11210017_001
庶民則男女勤耕桑之務,士夫則文武供內外之事,家家有封君之樂,世世存事大之體,作別乾坤,稱小中華
http://sillok.history.go.kr/id/kia_11210017_001
庶民則男女勤耕桑之務,士夫則文武供內外之事,家家有封君之樂,世世存事大之體,作別乾坤,稱小中華
http://sillok.history.go.kr/popup/viewer.do?id=kia_11210017_001&type=view&reSearchWords=&reSearchWords_ime=#
朝鮮王朝實錄
http://hanchi.ihp.sinica.edu.tw/mqlc/hanjishilu?@5^2039397373^802^^^8021100200160014000100020017@@886655005
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7823
聖學輯要 성학집요 @ 栗谷全書 by李珥
http://www.krpia.co.kr/knowledge/itkc/detail?artClass=MM&artId=kc_mm_a201#none
聖學輯要 성학집요 @ 栗谷全書 by李珥
http://db.itkc.or.kr/itkcdb/text/nodeViewIframe.jsp?seojiId=kc_mm_a201&bizName=MM&gunchaId=av019&muncheId=01&finId=001
聖學輯要 성학집요 @ 栗谷全書 by李珥
http://www.krpia.co.kr/viewer/open?plctId=PLCT00005160&nodeId=NODE05356293
聖學輯要 성학집요 @ 栗谷全書 by李珥
http://db.itkc.or.kr/itkcdb/text/nodeViewIframe.jsp?seojiId=kc_mm_a201&bizName=MM&gunchaId=av020&muncheId=01&finId=001
聖學輯要 성학집요 @ 栗谷全書 by李珥
http://www.wul.waseda.ac.jp/kotenseki/html/he16/he16_02426/index.html
聖學輯要 성학집요 @ 栗谷全書 by李珥
http://archive.wul.waseda.ac.jp/kosho/he16/he16_02426/
Labels:
Tillich : 田立克--存在主義神學,
WebGL,
Ελληνική γλώσσα,
倫文敘全集--香港陳湘記圖書,
明治漢學,
曾胡治兵語錄,
香港廣東話俗語字典
Abonnieren
Posts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