陳雲:中文解毒-「警察」,「無差別」
陳雲:中文解毒-「警察」,「無差別」
陳雲:我建議今後官方及華人社會應該廢除「警察」一詞,改稱差人,雅稱差役,這是比起香港普選之後調查警察犯罪更為深刻的文化改革。
陳雲的中文解毒,關於「警察」及這個詞的衍生詞及其毒害人民之意識,產生心理臣服與法西斯專政。
警察一詞,出現於晚清光緒年間,是仿照日文而來,傳統中文詞彙的「警察」,是警覺及察覺的意思,是上官巡視鄉土之意,好大的官威!現代警察的職務,在傳統中文是官差、衙差、差役。衙門坐堂的是衙差、衙吏,出外捉賊的是巡捕、捕頭、捕快。直至上世紀八十年代,香港人仍然稱呼警察為差人、差佬、差婆,便衣警察稱為雜差,而警署、警局稱為差館。官差有悠長歷史,故此尊稱是差大哥,鄙稱是差仔。
警察這個新詞,並無發展出尊稱或鄙稱,因為此詞來自日文借詞,故此無法在中文靈活發展。香港今日稱呼的「黑警」是密警的意思,是掩蓋身份而權宜行事的秘密警察之意,並非鄙稱。
由於警察這個中文詞賦予執法者太高的榮譽和權力暗示,又警又察,容易濫用權力,故此我認為中文應該從此放棄警察一詞。香港普選自治或香港建國之後,我認為官府應該放棄此詞,警察稱為差役,俗稱差人。正如現代的官署人員要稱為公僕(civil servant),policeman/-woman就該稱為差役。
以社會語言學而言,警察在香港上世紀七十年代反貪污及建立現代有效管治之後,用影視娛樂建立其正當形象,之後香港市民放棄傳統中文的差人一詞,改用新中文的警察。從警察一詞,衍生出神秘的、謎一樣的、難以觸摸的(enigmatic)的各種新詞彙:警權、警例、警校、監警會、襲警、辱警、撐警...,彷彿警字可以如上帝的logos一樣,衍生出各種詞彙來圍繞它,令它更有神威。這是英國殖民地時代強調law and order(法紀)而不強調democracy,故此將警察enigmatise(神化)的結果,令我們心生敬畏。
我認為從今之後,我們放棄襲警之類的詞,稱為襲擊差人;警例稱為差役規例。
香港人如果繼續接受警察這個詞,就接受警察的警告和監察,查你身份證、剝你衫褲、影你相、做你的社會信用監察。
我如果在將來香港執政或從事研究工作,會從文化上整理香港的傳統,梳理出一個合乎華夏典雅與現代開放的香港。
(陳雲的通俗學術文章,拆解警察的心理權力之用,歡迎各位廣傳)
https://www.facebook.com/589657224/posts/10157379451957225?sfns=mo
--
陳雲:中文解毒。「無差別」是一個褒義詞,大家知道嗎?佛經說的,佛、眾生、心,三者無差別。無差別是以般若智慧泯滅「分別心」的意思,也就是文殊菩薩的平等智。日文有時報導說某鐵路站有狂徒亂斬人,用「無差別殺人」、「無差別襲擊」之類(如「無差別に攻撃(する)」),有他們的民間禪宗文化基礎,中文不宜借用。
台灣中文用的「隨機殺人」,也有禪宗意味,是應對禪機而殺人的意思。這當然是誤用!世上只有佛陀的大弟子大迦葉尊者或達摩禪師,才可以「隨機殺人」吧?唐朝的時候,文殊菩薩化身莽和尚,用戒刀在山西的五台山大殺山賊,清淨了五台山的佛門,建立文殊菩薩道場,就是隨機殺人。
告訴各位,中文是用「肆意」。例如元朗幫會在火車車廂亂打人,叫「肆意打人」,差人在地鐵太子站亂打人,叫「肆意打人」。肆就是放肆的肆,不是艱深字。肆意難寫,寫「任意」都可以。報紙用了「無差別」,你就連肆意、任意、瘋狂、立亂(粵語)都不懂得講了。
肆意是一個古詞,戰國時期已經用。肆意妄為任意。《韓非子.八說》:「人臣肆意陳欲曰俠,人主肆意陳欲曰亂。」《史記.卷六.秦始皇本紀》:「凡所為貴有天下者,得肆意極欲。」
如果你寫「元朗黑幫無差別打人」,就是認為打人的黑幫是伏魔大帝化身,斬妖除魔,以無分別之心,打醒香港人,平等地警戒凡人吧?你用「無差別」,就當作自己是妖魔鬼怪、鬼五馬六,等待伏魔大帝來剷除你。
漢文的學問不深,只是現在的佛門中人都投共了,只有我在水深火熱的時候講佛法吧。
政府有專家擺弄這些語言心理控制的。大家要解除敵方的心理控制,請協助傳播這篇解毒帖文。
https://www.facebook.com/589657224/posts/10157380393212225?sfns=mo
--
註解千字文●주해천자문
범례 해제 참고문헌
千字文 刊行物 및 硏究論著 目錄
전체
서명/저자명
기사제목
원문/대역문
번역문
역주
기타
[單行本類(中國)]
四庫全書, 集部8, ≪梁文紀≫, 권14. 周興嗣 ≪千字文≫.
≪千字文釋義≫, 檀國大學校東洋學圖書室所藏.
≪千字文≫, 編輯部 國學出版社, 1973. 基隆 臺灣.
≪五體千字文≫, 天山出版社, 1981. 臺北.
≪千字文≫(注音詳解), 李炳傑(編註), 劉玉琛(校正), 學生出版社, 1982. 臺北.
≪歷代千字文≫(印本), 國立政治大學, 中文硏究所, 1984. 臺北.
≪千字文≫, 喩岳衡(主編), 傳統蒙學叢書, 岳麓書社, 1987. 長沙 湖南.
≪續千字文≫, 喩岳衡(主編), 傳統蒙學叢書, 岳麓書社, 1987. 長沙 湖南.
≪再續千字文≫, 喩岳衡(主編), 傳統蒙學叢書, 岳麓書社, 1987. 長沙 湖南.
≪別本千字文≫, 喩岳衡(主編), 傳統蒙學叢書, 岳麓書社, 1987. 長沙 湖南.
≪敍古千文≫, 喩岳衡(主編), 傳統蒙學叢書, 岳麓書社, 1987. 長沙 湖南.
≪千字文釋義≫, 淸 汪嘯尹 纂輯, 孫謙益 參注, 上海古籍出版社, 上海, 1989. 2次印刷.(≪三字經≫‧≪百家姓≫‧≪千字文≫의 合本임)
≪白話千字文≫, 天津市古籍書店影印, 新華書店天津發行所發行, 1990.
≪千字文≫, 張兆裕(編), 北京燕山出版社, 1995. 北京.
≪千字文≫, 馬自毅(注譯), 三民書局, 2002. 臺北.
≪千字文≫, 編輯部, 香巷商務印書館, 2003. 홍콩.
≪三字經≫‧≪百家姓≫‧≪千字文≫, 鄭啓銅(註釋), 雲南大學出版社, 2004. 昆明.
≪中國名著≫(≪千字文≫ 부분), 姚麗萍‧顔朝輝, 中國戲劇出版社, 2005. 北京.
≪千字文≫, 錢玄溟(編), ≪國學經典≫, 中國長安出版社, 2006. 北京.
[單行本類(韓國)]
≪千字文≫, 간년 미상(1500년대로 추정), 日本大東急記念文庫 수장, 영인본, 東京, 朝鮮學報93, 1979.
≪千字文≫, 1575, 日本東京大學 수장, 영인본, 서울, 단국대동양학연구소, 동양학총서3, 1973.
≪千字文≫, 韓石峯 筆, 內賜本, 1583, 경북 영주시 朴贊成 氏 수장. 영인본, 서울, 한국서지학회, 서지학7, 1981.
≪千字文≫, 韓石峯 筆, 日本國立公文書館 수장, 영인본, 서울, 단국대동양학연구소, 동양학총서3, 1973.
≪千字文≫, 1696(丙子年), 日本對馬歷史民俗博物館 수장.
≪千字文≫, 順天 曹溪山 松廣寺 開刊, 1730, 延世大學校 수장.
≪註解千字文≫, 洪聖源 筆, 南漢 開元寺 開刊, 1754(壬申), 서울대학교 奎章閣 수장.
≪註解千字文≫ 新增本, 洪泰運 筆, 京城 廣通坊 新刊, 1804(甲子), 국립중앙도서관 수장. 영인본, 서울, 단국대동양학연구소, 동양학총서3, 1973.
≪千字文≫, 松溪 筆, 日本 宮內廳 書陵部 수장. 영인본, 東京, 朝鮮學報98, 1981.
≪千字文≫, 李茂實 筆, 1894(甲午), 서울대학교 奎章閣 수장.
≪千字文≫, 李百沙 筆, 國立中央圖書館 수장.
≪智永草千字≫, 智永 筆, 서울대학교 奎章閣 수장.
≪眞草千文≫, 趙孟頫 筆, 完府, 南山房, 서울대학교 奎章閣 수장.
≪千字文≫, 朴彭年 筆, 서울대학교 奎章閣 수장.
≪千字文≫, 河西子 筆, 서울대학교 奎章閣 수장.
≪千字文≫, 河西子 筆, 계명대학교 수장.
≪草千字文≫, 韓石峯 筆, 國立中央圖書館 수장.
≪唐懷素草書千字文≫, 이현사, 1970.1.
≪註解千字文≫, 李敦柱, 博英文庫, 1971.
≪千字文≫, 李民樹(譯註), 을유문화사, 1972.1.
(新釋)≪千字文≫, 차상원, 선문출판사, 1972.1.
(原本)≪石峰千字文≫, 낙산서원, 1972.1.
(毛筆楷行草)≪三體千字文≫, 박효균, 강경문화사, 1976.1.
≪五體千字文≫, 우재영, 우일출판사, 1983.1.
≪石峰千字文≫‧≪光州千字文≫‧≪註解千字文≫, 東洋學硏究所, 檀國大出版部, 1984. 재판.
≪丙子本千字文≫, 崔世和, 古城本訓蒙字會考, 太學士, 1987.
(書隷)≪千字文≫, 이원영, 세익인쇄지기, 1989.1.
≪千字文字典≫, 경인문화사편집부, 경인문화사, 1990.1.
≪千字文≫(松廣寺板), 孫熙河, 太學士, 1993.
≪주흥사천자문≫, 안춘근, 범우사, 1994.
≪千字文資料集≫(地方千字文篇), 金履弘(외), 박이정, 1995.
≪천자문고전산책≫, 박광민, 넥서스, 1995.
≪千字文資料集≫, 李基文‧孫熙河, 박이정, 1995.
≪다산千字文≫, 김대현, 다섯수레, 1999.
≪어린이천자문≫, 김한룡, 대일출판사, 1999.1.
≪註解千字文≫, 成百曉(譯註), 傳統文化硏究會, 2000. 初版11刷.
≪千字文을 통해 본 동양인의 삶과 지혜≫, 이돈주, 태학사, 2002.1.
≪천자문 학습과 필법≫(37), 여원구,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3.
≪욕망하는 천자문≫, 김근(저), 삼인, 2003.
≪草孫過庭千字文≫ 素菴先生 書, 현중화, 조범산방, 2003.1.
≪천자문≫, 정후수(주해), 장락, 2004. 3판.
≪김성동千字文≫, 김성동, 청년사, 2004.
(재미있는)≪천자문여행≫:동양학의 기반, 심현섭‧심규하, 동인서원, 2004.1.
≪천자문≫, 안춘근, 범우사, 2005.1.
≪영어로 배우는 천자문≫, 최성호, 문창사, 2005.1.
≪行書千字文≫, 선주선, 서예문인화, 2006.1.
≪천자문뎐≫:신화‧역사‧문명으로 보는 125가지 이야기, 한정주, 포럼, 2006.1.
≪三體 千字文≫, 우병환 書, 서예문인화, 2007.1.
≪松隱隷書千字文≫, 백인선, 서예문인화, 2007.1.
≪隷書千字文≫, 정도준 씀, 서예문인화, 2007.1.
(산성 할아버지의)이야기 ≪천자문≫, 천명일, 지혜의 나무, 2007.1.
≪마음으로 보는 여행≫:250어구 속에 담긴 ≪천자문≫의 의미, 김홍선, 한솜미디어, 2007.1.
≪千字文釋義≫, 權卿相(編著), 형민사, 2008. 초판2쇄.
(鍾繇의 大敍事詩)≪千字文 易解≫, 이윤숙‧이달원, 경연학당, 2008.1.
≪(한눈에 익히는) 천자문≫, 장개충, 나무의꿈, 2008.1.
≪千字文:바람보다 먼저 울세는 풀의 노래 -즈믄 글≫, 강상규, 어문학사, 2008.1.
≪(천개의 글씨 이야기가 있는) 千字文≫, 박종택, 서예문인화, 2008.1.
≪(천개의 글씨 이야기가 있는) 圖文千字文≫, 박종택, 서예문인화, 2008.1.
≪集字 秋史體 千字文≫, 이규환, 서예문인화, 2008.1.
≪(조기형의 새천년형) 千字文:두뇌를 깊고 넓게 해주는 우리나라 최초≫, 조기형, 화남, 2008.1.
≪참되고 바른 千字文과 그 글자들의 쓰임새≫, 유종택, 활도미디어, 2008.1.
≪(한자 원리로 배우는) 천자문≫, 박진구, 세손출판사 발행일 2008.1.
≪(알 듯 모를 듯한) 천자문의 비밀≫, 박진구, 세손출판사, 2008.1.
≪천자문≫, 권성희(지음), 행복한박물관, 2009.
≪張猛龍千字文≫, 윤신행, 서예문인화, 2009.1.
≪천자문 쉽게 알기:천자문 속 숨은 이야기≫, 원주용, 이담books, 2009.1.
[單行本類(日本)]
≪千字文≫, 小川環樹‧木田章義(注解), 株式會社岩波書店, 東京. 2009. 16刷.
≪千字文≫, 小田準‧安本健吉(注釋), 岩波書店, 東京. 昭和15年(1940). 第3刷.
≪唐歐陽詢史事帖≫‧≪千字文≫ 이현사, 1981.1.
≪隋智永關中本千字文≫, 이현사, 1983.1.
[學位論文]
朝鮮時代 ≪千字文≫ 刊印本 硏究, 안미경,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2.
≪천자문≫의 訓에 관한 연구, 정대환,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1.2.
≪訓蒙字會≫‧≪新增類合≫‧≪千字文≫의 比較 考察, 민충환,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1.2.
漢字의 音‧訓 硏究:≪千字文≫을 中心으로, 이대주,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2.
≪千字文≫ 字釋硏究:難解語의 語義究明을 中心으로, 손희하,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5.2.
≪千字文≫에 대한 國語學的 硏究, 윤흥섭,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7.2.
蒙學敎材로서의 ≪千字文≫, 김현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0.8.
≪千字文≫의 六書論的 연구, 오세호, 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1.2.
≪천자문≫ 새김[釋]의 연구, 이금녀,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2.
≪訓蒙字會≫와 ≪千字文≫의 字釋 비교 연구, 이정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8.
≪千字文≫의 異體字 硏究, 신동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2.
≪訓蒙字會≫와 ≪千字文≫의 漢字音과 訓의 變遷考, 박석근, 목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2.
≪천자문≫을 이용한 한자학습 CAI프로그램의 구현, 이회광,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2.
≪천자문≫‧≪훈몽자회≫‧≪新增類合≫ 字釋 연구, 오완규,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2.
≪천자문≫의 철학적 사유형태에 관한 연구, 이규희,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2.
≪천자문≫을 활용한 한자교육 방법 연구, 하문규,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2.
조선시대 ≪천자문≫의 역할, 남영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8.
한일한자음에 대한 대조연구:≪천자문≫‧≪훈몽자회≫의 한자음을 중심으로, 곽성은, 성신여대 석사학위논문, 2006.2.
한국 ≪천자문≫에 관한 고찰:4종 ≪천자문≫을 중심으로, 박혜순, 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2.
[一般論考類]
≪千字文考≫, P.Pelliot 撰, 馮承鈞 譯, 圖書館學季刊 第六卷 第一期, 1932.
≪석봉천자문≫색인, 김성, 한글143, 한글학회, 1969.5.
石峯 ≪千字文≫에 대하여, 李基文, 국어국문학55-57호, 1972.
≪千字文解題≫, 李基文, 단국대 동양학총서3, 1973.
≪千字文≫에 나타난 書體 考察, 金鎬然, 書藝4, 월간서예사, 1974.
內閣本所藏 石峯 ≪千字文≫에 대하여, 安秉禧, 書誌學6호, 1974.
≪千字文≫의 來歷과 內容, 서예사, 오인섭7, 월간서예사, 1974.4.
≪千字文≫은 필요한 책인가, 권정석, 교육춘추1,9, 한국능력개발연구원, 1977.11.
≪千字文≫ 類選, 안춘근, 도서관234, 국립중앙도서관, 1978.12.
大東急記念文庫所藏 ≪千字文≫, 藤本幸夫, 朝鮮學報93, 1979.
朝鮮版 ≪千字文≫の系統, 藤本幸夫, 朝鮮學報94, 1980.
≪平北方言千字文≫, 金履浹, 方言3, 1980.
≪千字文≫에 대하여, 崔學根, 국어국문학83, 1980.
原本 石峯 ≪千字文≫에 대하여, 趙炳舜, 書誌學7호, 1981.
≪천자문≫ 연구1, 이기문, 한국문화2,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1981.
≪천자문≫의 계통, 안병희, 정신문화연구12, 한국학중앙연구원, 1982.4.
≪註解千字文≫의 複數字釋에 대하여, 최범훈, 국어국문학논문집12,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83.9.
≪천자문≫ 字音考, 도효근, 한국언어문학1229-1730, 한국언어문학회, 1984.
對馬歷史民俗資料館 所藏本의 ≪訓蒙字會≫와 ≪千字文≫, 崔世和, 佛敎美術8, 1985.
對馬歷史民俗資料館 所藏本의 ≪千字文≫ 字釋에 대하여, 崔世和, 日本學5, 東國大學校, 1986.
≪천자문≫의 釋에 대하여, 정성희, 국어과교육6, 부산교육대학 국어교육연구회, 1986.
≪千字文≫ 字釋 연구2, 손희아, 어문논총9,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회 1986.6.
對馬歷史民俗資料館藏本 ≪千字文≫의 字釋에 대하여, 최세화, 일본학5,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1986.3.
≪千字文≫ 訓의 語彙 變遷 硏究:名詞類 語를 中心으로, 박병철, 국어교육55,56合, 한국어교육학회, 1986.7.
≪千字文≫의 再檢討, 이우영‧정진권, 어문연구53, 일조각, 1987.4.
七長寺本 ≪千字文≫ 硏究, 申景澈, 語文硏究 第18輯, 語文硏究會, 1988.
蒙學敎材로서의 ≪千字文≫, 김현규, 한문교육연구 제3권 제5호, 박이정, 1991.
≪千字文≫(杏谷本)의 새김 연구, 손희하,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회, 어문논총12,13, 1991.2.
≪千字文≫(杏谷本) 연구, 손희하, 한국언어문학30, 한국언어문학회, 1992.6.
영남대본 ≪千字文≫ 연구, 손희하, 국어국문학108, 국어국문학회, 1992.12.
송광사판 ≪千字文≫ 연구, 손희하, 한국언어문학31, 한국언어문학회, 1993.6.
朝鮮時代 ≪千字文≫ 現傳本에 관한 연구, 安美璟, 書誌學硏究17, 1994.
조선시대 아동교육 도서에 나타난 경제교육:≪천자문≫‧≪동몽선습≫‧≪격몽요결≫‧≪명심보감≫‧≪소학≫을 중심으로, 김상규, 초등교육연구논총7,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1995.4.
자석(字釋)과 문석(文釋)이 일치하는 ≪백련초해(百聯抄解)≫의 석(釋)에 관한 연구 -≪천자문≫‧≪훈몽자회≫ 자석과의 비교를 통한 중세훈 설정을 중심으로-, 박병철, 구결연구1226-6019, 구결학회, 1997.
韓國本 ≪千字文≫의 異體字 比較 硏究, 신동희, 서지학연구13, 서지학회, 1997.6.
安平大君의 ≪眞草千字文≫:새로 發見된 石刻 拓本에 對하여, 한상봉, 고서연구16, 한국고서연구회, 1998.12.
≪千字文≫의 構成과 價値에 대한 硏究, 정후수, 동양고전연구11, 동양고전학회, 1998.12.
문화서당(文化書堂)(1):≪석봉천자문(石峰千字文)≫에 대하여, 이기문,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1999.
백제의 王仁이 일본에 論語와 ≪千字文≫을 전달한 것은 405년, 김순철, 제지계317, 한국제지공업연합회, 1999.2.
北岳 李海龍의 ≪千字文≫, 남권희, 문헌과해석 통권6호, 문헌과해석사, 1999봄.
韓日兩國の≪千字文≫に現れる異體字の類型と性格, 이건상, 진주산업대학교 논문집24, 인천대학교, 1999.12.
≪千字文≫과 그 用韻現象, 박만규, 중국학연구17, 중국학연구회, 1999.12.
冊板目錄을 통해 본 朝鮮時代 ≪千字文≫ 刊印 狀況, 안미경, 서지학보23, 한국서지학회, 1999.12.
朝鮮時代 漢字敎材 考察:≪千字文≫과 類合을 中心으로, 김종운, 한국어문교육9, 한국교원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00.2.
초등교재로서의 ≪천자문≫의 교육적 의미 분석, 우남희, 교육학연구 38,1, 한국교육학회, 2000.2.
1650年 木活字本으로 간행된 韓濩書 ≪千字文≫에 대하여, 남권희, 국어사자료연구 제2호, 국어사자료학회, 2001.2.
이무실 ≪千字文≫ 연구:갑오본을 중심으로, 손희하, 한중인문학연구 제5집, 중한인문과학연구회, 2000.12.
1650년 목활자본으로 간행된 한호서 ≪천자문≫에 대하여, 남권희, 국어사연구 제2호, 국어사학회, 2001.
화제의 어린이:한자신동 오주영 어린이 -4살 어린이가 ≪천자문≫을 줄줄 대학생보다 한자를 더 잘 알아-, 연합회 자료,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1.
李茂實 ≪千字文≫의 書誌的인 硏究, 안미경, 고인쇄문화 제8집, 청주고인쇄박물관, 2001.11.
≪천자문≫ 새김 어휘 연구:16세기 간행 ≪천자문≫의 명사류를 중심으로, 최지훈, 한국어의미학 제9호, 한국어의미학회, 2001.12.
일제시대 ≪천자문≫ 연구:판권지 분석을 중심으로, 안미경, 서지학연구 제22집, 서지학회, 2001.12.
장서각 소장 왕실 ≪千字文≫에 대하여, 박부자, 서지학보 제26호, 한국서지학회, 2002.12.
한자학습과 중국의 문화적 사실들을 알려주는 입문 교양서:≪千字文≫을 통해 본 동양인의 삶과 지혜 - 이돈주 著 書評, 김재승, 용봉논총인문학연구 제31집,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02.12.
명사 초대석:90에야 읽어 보는 ≪천자문≫과 ≪논어≫(1) -수필을 스쳐 교식으로-, 우형규,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3.
명사 초대석:90에야 읽어 보는 ≪천자문≫과 ≪논어≫(2) -수필을 스쳐 교식으로-, 우형규,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3.
한자교육에 앞장선 명사인터뷰:신입사원에게 ≪천자문≫을 10번 쓰게 하는 코리아나화장품 유상옥 회장,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3.
한글, 한자문화 칼럼:하늘천 땅지, 서당개 1년의 행운 -지금도 ≪천자문≫ 암기할 수 있어-, 문태성,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3.
‘李茂實書丁巳本’ ≪千字文≫ 연구, 손희하, 한국언어문학 제51집, 한국언어문학회, 2003.12.
≪春香傳≫과 ≪牡丹亭≫의 ≪千字文≫ 수용양상, 강영매, 중국어문학논집 제22호, 중국어문학연구회, 2003.2.
일제시대 ≪천자문≫의 종류와 특징, 안미경, 서지학연구 제26집, 서지학회, 2003.12.
≪천자문≫ 학습과 필법 49, 여원구,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4.
≪천자문≫을 활용한 어린이의 철학적 사고력 신장, 정보주, 초등교육연구 제14집, 진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04.2.
왕인의 ≪천자문≫‧≪논어≫ 일본전수설 재검토, 이근우, 역사비평 통권69호, 역사비평사, 2004겨울.
21C 한국을 대표하는 신지성의 지식 교양 정보지:전시회 특집:백여종의 ≪천자문≫이 한자리에:하늘천 따지-≪천자문≫과 조선인의 생각,공부, 예술전, 연합회자료,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5.
5천년의 우리 역사가 살아 숨쉬는 우리 ≪천자문≫(51), 조갑여,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5.
≪천자문≫ 학습과 필법, 여원구,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5.
21C 한국을 대표하는 신지성의 지식 교양 정보지:한글+한자문화 칼럼:≪천자문≫을 왜 다시 하는가?, 김세환,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5.
≪註解千字文≫과 複數字釋, 박병철, 어문연구 33권4호 통권128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5겨울.
≪주해천자문(註解千字文≫의 단수자석(單數字釋)과 문맥지석(文脈之釋)의 반영에 관하여, 박병철, 구결연구1226-6019, 구결학회, 2006.
王仁は果たして≪千字文≫を傳來したのか, 이근우, 동북아시아문화학회 국제학술대회,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06.
5천년의 우리 역사가 살아 숨 쉬는 우리 ≪천자문≫63, 조갑여,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6.
한자교육자료:문화일보 2006년 3월 4일:한자어가 더 어울릴 때 / 중앙일보 2006년 3월 9일:“한자왕국” 중국, 인터넷언어 파괴로 “골머리” / 서울신문 2006년 3월 17일:한자 공부(工夫) 좀 해라 / 뉴스와이어 2006년 3월 21일:아직도 ≪천자문≫이야? - 한자 학습문화의 변화 / 연합뉴스 2006년 3월 23일:만화 한자학습서 “지나치게 흥미위주”, 정용환‧박강문,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6.
≪註解千字文≫의 單數字釋과 文脈之釋의 반영에 관하여, 박병철, 구결연구제17집, 태학사, 2006.8.
≪千字文在韓流行及影響≫, 林東錫, 第9屆韓中文化論壇發表論文, 2007. 濟州.
≪천자문(千字文)≫의 “천지(天地)” 환경교육에 대한 한 시론(試論), 최재목, 양명학0916-2496, 한국양명학회. 2007.
(한자‧중국어‧일본어를 함께 배우는)韓中日 ≪千字文≫, 김낙구, 에세이, 2007.1.
≪千字文≫의 由來와 大意 考察, 김세환, 중국학연구 제42집, 중국학연구회, 2007.12.
21C 韓國을 대표하는 新知性의 지식 교양 정보지:기획논단:≪千字文≫의 訓音 中 問題點 - ≪石峰千字文≫을 中心으로, 진태하,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8.
국민으로서의 영어교육과 ≪천자문≫, 김인환, 대산문화재단 제27호, 대산문화재단, 2008년 봄호.
≪千字文≫에 나오는 漢字의 訓에 관한 硏究:文脈의 意味와 달리 나타나는 訓을 중심으로, 박병철, 국어국문학 제150호, 국어국문학회, 2008.12.
已丑新年과 王仁精神의 涵養 -王仁博士와 ≪千字文≫- 卷頭言, 홍윤기,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9.
≪정몽유어≫‧≪아학편≫‧≪천자문≫의 분포적 특성, 이광호, 언어과학연구제48집, 언어과학회, 2009.3.
≪千字文≫의 原流, 內容 및 韓國에서의 發展 상황 考察, 林東錫, ≪中國語文學會論集≫, 第56號. 中國語文學硏究會. 2009.6.
--
標註國語定本:韋昭 解,秦鼎 校,高木熊三郎 注
http://dl.ndl.go.jp/search/searchResult?featureCode=all&searchWord=%E6%A8%99%E8%A8%BB%E5%9B%BD%E8%AA%9E%E5%AE%9A%E6%9C%AC&viewRestricted=0
Keine Kommentare:
Kommentar veröffentlich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