陳雲:中港大換牌——新共產黨與泛民暗共
王岐山、曾慶紅、韓正。黃之鋒、何韻詩、梁繼平。目前的民主派、偽港獨派和商場唱歌派,全部不敢高呼反共,全部在講曖昧的「時代革命」,
因為他們謀算的是在普選之後與共產黨和地產財閥勾結合作,繼續用議席凌駕香港人的政治發言權,繼續剝削香港。
他們是暗共,是共產黨在香港的統治夥伴。偽港獨那些有名有姓的政客,更是共產黨直接扶植起來的,這個美國當然知道,但也欣然接見。
美國立法干預香港,要奪回已經進入中國大陸腹地的香港金融中心,與英國此刻同時脫歐,英國的金融中心脫離歐洲大陸,是同步的操作。
美國國會的《香港人權及民主法案》保護香港人權,促進香港民主自治,但這也是干預中國內政,但中共啞忍,並無發出正式外交照會。
習近平的反應,比起中共一向辱罵通番賣國的李鴻章還要懂得忍辱負重。⋯⋯
香港人權法案預計十月中通過,英國預計十月尾脫歐,之後加強英語世界的經濟聯繫。中共用逃犯條例修訂,企圖用大陸法系搶奪香港的金融中心,
會被美國用香港人權法案及另外至少四條有關香港的經濟立法奪回。香港返回英語世界,倫敦返回英語世界,加上在美國的紐約。
世界三大金融中心回歸英語聯盟國家及普通法的天下。這是深層國家的大手筆,只有陳雲看到而夠膽講出來。
香港得到美方監護的自治及英國和英聯邦國家給予BNO平權,也將是同步操作。
這些事實關連,很多香港學者及金融專家都無察覺,察覺到也不會講出來,因為他們覺得平民百姓就該無知,就該被宰,男為奴,女為妓,
四十年的人類勞動用來買一個蝸居,之後賣樓換一個加拿大護照,錢和人搬到加拿大去。陳雲講出來,就被鋪天蓋地誣衊他是癲佬。
香港的一國兩制並無實現,說不上成功還是失敗。目前美國的香港人權法案,就是確保香港雙普選及自治權,令香港有機會實踐一國兩制。
一國兩制是邦聯關係,其實就是兩國兩制。美國訂立香港人權法案之後,歐盟也會跟隨,之後香港的準國際法的合約關係(contractual relation)訂立,
可以邁向主權獨立了。即使中國政府政變垮台,也不影響香港的金融城市操作。
北京將重演鄧小平逼宮,捉拿四人幫的戲碼。習近平很可能會下台,甚至被處死。明朝崇禎帝上煤山吊頸的浪漫,
習先生恐怕無福消受,他不死得像利比亞的卡達菲那樣,已經祖宗有靈。毛澤東、周恩來見基辛格與尼克遜,改變中美格局。
六四屠殺之後,中共的接班人亂了套,奪權者來自上海的江澤民的資產階級共產黨和全球化共產黨,之後還政於胡錦濤的團派。
胡、溫的過渡時期之後,來了習近平,他是土炮形的井岡山共產黨的最後一位總書記,之後新的資產階級與全球化的共產黨又要上台。美國新時代的特朗普與龐貝奧,在中國又要見誰?中共要用哪一副牌來迎接美國的新牌局?
這是一盤中美共治香港、re-set世界格局的宏大部署。香港民主化之後,將有各種隱憂,
香港的中產及低下層將民主授權另一群共匪安排的政治小明星及新興議員來壓迫及剝削自己。
在反逃犯引渡條例鬥爭之中,迅速躍上舞台的新人及忽然揭發特區政府殺人罪惡的泛民,都是共產黨安排的另一套人。
是共產黨,沒有例外,你以為不是共產黨安排的可以冒出來嗎?闖入立法會之後站上桌子,準備了演講詞脫面罩誇誇其談的有名有姓的小青年,
在第二日可以施施然出境去美國遊學,現在出席國會做見證嗎?美方當然也照單全收,給另一套共產黨的人站上更高的國際舞台。
(很多闖入立法會的青年被控告了,港共有通緝這位在美國舞台的小青年嗎?)
中國共產黨不是蘇聯,中國共產黨手上掌握巨量美元資產和巨大中國市場,是美國合作的對象,但要改換一個方法,改換一套人馬來合作。
你以為看到的是美國對付共產黨?其實是另外一套人馬的中美合作。習近平不中用,換另一套共產黨;
香港的老泛民不中用,換上新泛民,都是共產黨的香港代理人,只是更為稚嫩好騙。這不是換湯不換藥,而是湯與藥皆比以前毒辣,加上了民主的毒辣調味料。
香港的建國運動要成功,必須準確描述現在,審慎預計將來。香港城邦論是香港的現在,華夏邦聯論、美港邦聯論是香港的將來。
但由於香港人一貫以來的情趣投票與鬥氣社運,陳雲不在政壇的權力圈內,故此城邦論與邦聯論隨時被奪權換畫。
香港由普選自治到人民充權,再到建國獨立,有極難的路要走。目前的憲法保衛戰、香港護法之戰,只是苦戰的序幕。 。
【文化沙龍——中港大換牌——新共產黨與泛民暗共】
講者:陳 雲先生
日期及時間:
九月二十五日(星期三),晚上七時三十分至九時三十分(滿額)
九月二十八日(星期六),錄影重溫,下午三時至五時(接近滿額)
九月二十九日(星期日),錄影重溫,下午四時三十至六時三十分
https://www.facebook.com/hkresurgence/photos/a.1661162694097344/2421059741440965/?type=3&__xts__%5B0%5D=68.ARDFkve4R6c6Mm5Eoesne_sJuU1y6glZz5MXU2k4qmap0mrnWZOq9gsyh6VMk6cwLfOOl9JCemk1NWo8zaMN2GA_kOTZTgGwlFEZHUgtTBqFVV_XJI1I82yRQJdRlIS41Csy1QQ7VVT4XOOkjwenMy7YJJUFzzxGY0bPuURB199Utz-GK9zVtV4fCHTjzv323gdPtFLF9Lnb5BmTOpq1ErGa4qnM9pAfCmKybOHgKLPDO755KjqZrPgdCh4qMSJtasfEEECKBEOVoa1mDK5tQDtUwejCDjTYPdvw4YpjpxrhU0At1SrtP2KOXXDSu3k5zpJ7NR0&__xts__%5B1%5D=68.ARCTY-JelG7BWpbhf1b12XzhfEZGAlRYirehKRxGro9dUy4efZpQpEjYontQbqL6wD8yn6dECYnd-t_23Y15sOErEfrKNaI7SQYMc7tSTHStL7r06CPVdZv3fIQGWQ2RYvEMGzSk9hQRsinITKRycD6lzhf4Q7WElp0_ZJpjM63DzMzkGbUu64rIldYUD9SPC-K6yJ9olhKmlm128Xb_-rRIuXNP46Ik6wk8PG-o2CIf-1EVk1yR28ZgUesPdLxs7MR2VQDyPjOofL54fJDffl2iSTc_8QifsrBYxM0AkHtEIRKEG5_G2Vd-UK1al7b2cq6sgos&__tn__=-R
---
source:
轉角 - 陳雲 : 山斑魚,火鳳凰 ( 2014年07月28日)
http://www.am730.com.hk/column-218888
陳雲 :浴火重生,鳳凰得救 2014年 08月04日
http://www.am730.com.hk/column-219996
陳雲 : 觀音護法,全身而還 2014年0 8月11日
http://www.am730.com.hk/column-221217
陳雲 : 夢兆黑龍,前來歸附 2014年08 月18日
http://www.am730.com.hk/column-222313
Wan Chin 善惡到頭終有報,只差來早與來遲。以下消息,僅供參考:
https://www.facebook.com/wan.chin.75/posts/10152336036887225?stream_ref=1
https://www.facebook.com/photo.php?fbid=10203355428748521&set=pcb.10203355435588692&type=1&theater;
https://www.facebook.com/photo.php?fbid=10203355429508540&set=pcb.10203355435588692&type=1&theater;
鳳凰山破陣當日 :宛如仙鶴出凡籠:香港復興會正式成立
http://www.youtube.com/watch?v=jArZsTAACqk
鳳凰山破陣後一個月之情況 Update
https://www.facebook.com/notes/julian-li/鳳凰山破陣後一個月之情況-update/10152463614265149
轉角 - 陳雲
大破毒蛇陣
2014年11月24日
http://archive.am730.com.hk/column-237481
赤色響尾蛇-- Red Rattlesnake (1982)
轉角 - 陳雲
西九毒蛇陣
2014年11月17日
http://archive.am730.com.hk/column-236473
【文化沙龍——風水破局與補救方法】
講者:陳 雲先生
https://zh-hk.facebook.com/hkresurgence/photos/a.1661162694097344/2191075854439356/?type=3&__xts__%5B0%5D=68.ARDxMnDUnxV8gBlFsFc8OeV_ACihNEJXu0nH4duI0AB3DoFChLL-QwhkK8L7BHQrFUA89rXitvUR4DwzjLkhsFOPfuFmhv4kxwa2C5EHI1AJ5tosGlL0Szsj6U8e3xWm5oqvoZLfHC5fQIcLP4XAifITSYClmtwu6TmHaIkTonHU5hidNVLoaA&__tn__=-R
https://www.facebook.com/politicmood/photos/a.528749713874656/1652330721516544?hc_location=ufi
--
東莱博議-呂祖謙[撰]-瞿世瑛 校本-阪谷素 評注訓点
評註東莱博議. 巻1-6 / 呂祖謙 [撰] ; 瞿世瑛 校本 ; 阪谷素 評注訓点
http://www.wul.waseda.ac.jp/kotenseki/html/ro12/ro12_00504/index.html
標註東萊博議-呂祖謙 著瞿世瑛 校, 阪谷素
http://dl.ndl.go.jp/search/searchResult?featureCode=all&searchWord=%E7%9E%BF%E4%B8%96%E7%91%9B+%E6%A0%A1%2C+%E9%98%AA%E8%B0%B7%E7%B4%A0+&viewRestricted=0
東萊博議-呂祖謙 撰,堀捨二郎, 深井鑑一郎 注-明12.5
http://dl.ndl.go.jp/search/searchResult?featureCode=all&searchWord=%E5%A0%80%E6%8D%A8%E4%BA%8C%E9%83%8E%2C+%E6%B7%B1%E4%BA%95%E9%91%91%E4%B8%80%E9%83%8E&viewRestricted=0
東萊博議評註-呂祖謙 著,阪谷朗廬 評註・訓点 -明25-26
http://dl.ndl.go.jp/search/searchResult?featureCode=all&searchWord=%E9%98%AA%E8%B0%B7%E6%9C%97%E5%BB%AC+%E8%A9%95%E8%A8%BB&viewRestricted=0
新刊詳増補註東莱先生左氏博議25卷--宋呂租謙撰,藤原有貞寫-1743
http://dl.ndl.go.jp/info:ndljp/pid/2605754
左氏博議-KR1e0041 左氏博議-宋-呂祖謙 (master)
https://www.kanripo.org/text/KR1e0041/
陳雲:香港在生死關頭,最容易被自己人出賣
陳雲:香港在生死關頭,最容易被自己人出賣。
一群自稱是「傘後團體」 ("post umbrella groups")的類似泛民黃絲但也是接近建制派功能組別投票者的香港專業團體,出來搞局,
聯署去信美國國會要求減除整體制裁香港經濟的部分,只是留下懲罰香港官員的部分,他們說是要避免傷及無辜,故此要刪除此「核彈選項」云云。
這是李柱銘這些人當年的說法了,他們在六四屠殺之後,去美國遊說,要美國保持中國的最優惠國地位,不要經濟制裁中國,避免懲罰無辜的中國老百姓云云。
如果根據這種說法,泛民要去遊說美國減免中國關稅啊,因為這傷及了廣大無辜的中國工人啊。
如果你是前蘇聯的義民,你會否遊說美國廢除核武器,只是用常規的槍砲來攻打蘇聯,因為投擲核彈會傷害無辜的蘇聯人呢?
事實上,美國強大的核武器甚至太空科技,令美國毋須動用常規槍砲,而蘇聯卻瓦解了,消滅了。
若依照這群泛民組織的提議,1992年訂立的《香港政府法》要被破功了,法案將對中共毫無威脅力。我認為這些團體的修訂建議的客觀目的,是想整體廢除《香港政策法》!
陳雲要告訴各位,美國人以最大的善意幫香港人立法的時候,香港人千萬不要討論原稿裡面的條文,那是美國的官員、議員及國際法的研究人員的心血結晶,雖然我覺得裡面的細節仍可加強(我是覺得不夠而不是覺得太辣),但目前的原稿已經足夠幫助香港得到完整自治權。
香港人不宜對條文原稿多多批評或作出反建議,以免節外生枝而延遲立法,甚至因為爭議太大而押後到下一屆國會。再者,我們不是美國的一個州,我們沒有州議員在美國國會,我們無權提出修訂建議,這是越禮的狂妄行為。
我們香港人可以整體歡迎,也可以整體抗拒(如果你是地下共產黨員的話),但不宜提出修訂建議,這是違反外交禮節的。即使你覺得制裁的方法不夠多不夠辣,但也要等人家國會通過之後,再去遊說加強。
簡單而言,是次美國國會的《香港人權及民主法案2019》立法,是補充《香港政策法1992》的內容,並且立下各種層級的懲罰法則,使之可以執行。我在今個星期的文化沙龍有詳細分析的。遲些也會製作宣傳片段介紹。
生死關頭,請各位廣傳此帖文。香港裡面,已經沒幾個評論員或學者夠膽為香港前途籌劃的了。
(圖片來源:高登論壇。圖一、泛民團體的修訂建議;圖二、聯署團體名單。https://newweb.hkgolden.com/thread/7112094/page/1)
[img]https://upload.cc/i1/2019/09/06/3qVoEl.png[/img]
[img]https://upload.cc/i1/2019/09/06/uAnCKj.png[/img]
https://www.facebook.com/589657224/posts/10157389623642225?sfns=mo
--
陳雲:不要與極權政府建立任何對話關係。Once you do this, you are done. Once they do this for you, you are done.
我剛才看林鄭月娥的錄影講話,定格在她末後的四個字:「嚴正執法」。這四個字,才是今日的講話主旨。
目前,民主派已經召開記者會,與極權政府對話。
林鄭月娥剛才的錄影說話表明,絕對不會特赦,政府會嚴正執法對付示威者。
泛民與政府對話,是接受政府撤回,支持政府嚴正執法,剷除政敵和異己,並且為一直躲在背後享受好處無出聲的財閥商家剷除妨礙賺錢公共秩序的示威者。
財閥只是要取消逃犯引渡條例,保障自己安全,他們不要普選,更加要嚴厲對付示威者。泛民只是依照財閥的指示做事。
財閥是看不見的deep state,他們利用了一片公心的示威者對付北京之後,就用政府的黑手殺滅示威者。
https://www.facebook.com/wan.chin.75/posts/10157385173522225
Wan Chin
Based on Jurgen Habermas. 我的判斷,出自法蘭克福學派哈貝馬斯的理論。
陳雲:中文解毒-「警察」,「無差別」
陳雲:中文解毒-「警察」,「無差別」
陳雲:我建議今後官方及華人社會應該廢除「警察」一詞,改稱差人,雅稱差役,這是比起香港普選之後調查警察犯罪更為深刻的文化改革。
陳雲的中文解毒,關於「警察」及這個詞的衍生詞及其毒害人民之意識,產生心理臣服與法西斯專政。
警察一詞,出現於晚清光緒年間,是仿照日文而來,傳統中文詞彙的「警察」,是警覺及察覺的意思,是上官巡視鄉土之意,好大的官威!現代警察的職務,在傳統中文是官差、衙差、差役。衙門坐堂的是衙差、衙吏,出外捉賊的是巡捕、捕頭、捕快。直至上世紀八十年代,香港人仍然稱呼警察為差人、差佬、差婆,便衣警察稱為雜差,而警署、警局稱為差館。官差有悠長歷史,故此尊稱是差大哥,鄙稱是差仔。
警察這個新詞,並無發展出尊稱或鄙稱,因為此詞來自日文借詞,故此無法在中文靈活發展。香港今日稱呼的「黑警」是密警的意思,是掩蓋身份而權宜行事的秘密警察之意,並非鄙稱。
由於警察這個中文詞賦予執法者太高的榮譽和權力暗示,又警又察,容易濫用權力,故此我認為中文應該從此放棄警察一詞。香港普選自治或香港建國之後,我認為官府應該放棄此詞,警察稱為差役,俗稱差人。正如現代的官署人員要稱為公僕(civil servant),policeman/-woman就該稱為差役。
以社會語言學而言,警察在香港上世紀七十年代反貪污及建立現代有效管治之後,用影視娛樂建立其正當形象,之後香港市民放棄傳統中文的差人一詞,改用新中文的警察。從警察一詞,衍生出神秘的、謎一樣的、難以觸摸的(enigmatic)的各種新詞彙:警權、警例、警校、監警會、襲警、辱警、撐警...,彷彿警字可以如上帝的logos一樣,衍生出各種詞彙來圍繞它,令它更有神威。這是英國殖民地時代強調law and order(法紀)而不強調democracy,故此將警察enigmatise(神化)的結果,令我們心生敬畏。
我認為從今之後,我們放棄襲警之類的詞,稱為襲擊差人;警例稱為差役規例。
香港人如果繼續接受警察這個詞,就接受警察的警告和監察,查你身份證、剝你衫褲、影你相、做你的社會信用監察。
我如果在將來香港執政或從事研究工作,會從文化上整理香港的傳統,梳理出一個合乎華夏典雅與現代開放的香港。
(陳雲的通俗學術文章,拆解警察的心理權力之用,歡迎各位廣傳)
https://www.facebook.com/589657224/posts/10157379451957225?sfns=mo
--
陳雲:中文解毒。「無差別」是一個褒義詞,大家知道嗎?佛經說的,佛、眾生、心,三者無差別。無差別是以般若智慧泯滅「分別心」的意思,也就是文殊菩薩的平等智。日文有時報導說某鐵路站有狂徒亂斬人,用「無差別殺人」、「無差別襲擊」之類(如「無差別に攻撃(する)」),有他們的民間禪宗文化基礎,中文不宜借用。
台灣中文用的「隨機殺人」,也有禪宗意味,是應對禪機而殺人的意思。這當然是誤用!世上只有佛陀的大弟子大迦葉尊者或達摩禪師,才可以「隨機殺人」吧?唐朝的時候,文殊菩薩化身莽和尚,用戒刀在山西的五台山大殺山賊,清淨了五台山的佛門,建立文殊菩薩道場,就是隨機殺人。
告訴各位,中文是用「肆意」。例如元朗幫會在火車車廂亂打人,叫「肆意打人」,差人在地鐵太子站亂打人,叫「肆意打人」。肆就是放肆的肆,不是艱深字。肆意難寫,寫「任意」都可以。報紙用了「無差別」,你就連肆意、任意、瘋狂、立亂(粵語)都不懂得講了。
肆意是一個古詞,戰國時期已經用。肆意妄為任意。《韓非子.八說》:「人臣肆意陳欲曰俠,人主肆意陳欲曰亂。」《史記.卷六.秦始皇本紀》:「凡所為貴有天下者,得肆意極欲。」
如果你寫「元朗黑幫無差別打人」,就是認為打人的黑幫是伏魔大帝化身,斬妖除魔,以無分別之心,打醒香港人,平等地警戒凡人吧?你用「無差別」,就當作自己是妖魔鬼怪、鬼五馬六,等待伏魔大帝來剷除你。
漢文的學問不深,只是現在的佛門中人都投共了,只有我在水深火熱的時候講佛法吧。
政府有專家擺弄這些語言心理控制的。大家要解除敵方的心理控制,請協助傳播這篇解毒帖文。
https://www.facebook.com/589657224/posts/10157380393212225?sfns=mo
--
註解千字文●주해천자문
범례 해제 참고문헌
千字文 刊行物 및 硏究論著 目錄
전체
서명/저자명
기사제목
원문/대역문
번역문
역주
기타
[單行本類(中國)]
四庫全書, 集部8, ≪梁文紀≫, 권14. 周興嗣 ≪千字文≫.
≪千字文釋義≫, 檀國大學校東洋學圖書室所藏.
≪千字文≫, 編輯部 國學出版社, 1973. 基隆 臺灣.
≪五體千字文≫, 天山出版社, 1981. 臺北.
≪千字文≫(注音詳解), 李炳傑(編註), 劉玉琛(校正), 學生出版社, 1982. 臺北.
≪歷代千字文≫(印本), 國立政治大學, 中文硏究所, 1984. 臺北.
≪千字文≫, 喩岳衡(主編), 傳統蒙學叢書, 岳麓書社, 1987. 長沙 湖南.
≪續千字文≫, 喩岳衡(主編), 傳統蒙學叢書, 岳麓書社, 1987. 長沙 湖南.
≪再續千字文≫, 喩岳衡(主編), 傳統蒙學叢書, 岳麓書社, 1987. 長沙 湖南.
≪別本千字文≫, 喩岳衡(主編), 傳統蒙學叢書, 岳麓書社, 1987. 長沙 湖南.
≪敍古千文≫, 喩岳衡(主編), 傳統蒙學叢書, 岳麓書社, 1987. 長沙 湖南.
≪千字文釋義≫, 淸 汪嘯尹 纂輯, 孫謙益 參注, 上海古籍出版社, 上海, 1989. 2次印刷.(≪三字經≫‧≪百家姓≫‧≪千字文≫의 合本임)
≪白話千字文≫, 天津市古籍書店影印, 新華書店天津發行所發行, 1990.
≪千字文≫, 張兆裕(編), 北京燕山出版社, 1995. 北京.
≪千字文≫, 馬自毅(注譯), 三民書局, 2002. 臺北.
≪千字文≫, 編輯部, 香巷商務印書館, 2003. 홍콩.
≪三字經≫‧≪百家姓≫‧≪千字文≫, 鄭啓銅(註釋), 雲南大學出版社, 2004. 昆明.
≪中國名著≫(≪千字文≫ 부분), 姚麗萍‧顔朝輝, 中國戲劇出版社, 2005. 北京.
≪千字文≫, 錢玄溟(編), ≪國學經典≫, 中國長安出版社, 2006. 北京.
[單行本類(韓國)]
≪千字文≫, 간년 미상(1500년대로 추정), 日本大東急記念文庫 수장, 영인본, 東京, 朝鮮學報93, 1979.
≪千字文≫, 1575, 日本東京大學 수장, 영인본, 서울, 단국대동양학연구소, 동양학총서3, 1973.
≪千字文≫, 韓石峯 筆, 內賜本, 1583, 경북 영주시 朴贊成 氏 수장. 영인본, 서울, 한국서지학회, 서지학7, 1981.
≪千字文≫, 韓石峯 筆, 日本國立公文書館 수장, 영인본, 서울, 단국대동양학연구소, 동양학총서3, 1973.
≪千字文≫, 1696(丙子年), 日本對馬歷史民俗博物館 수장.
≪千字文≫, 順天 曹溪山 松廣寺 開刊, 1730, 延世大學校 수장.
≪註解千字文≫, 洪聖源 筆, 南漢 開元寺 開刊, 1754(壬申), 서울대학교 奎章閣 수장.
≪註解千字文≫ 新增本, 洪泰運 筆, 京城 廣通坊 新刊, 1804(甲子), 국립중앙도서관 수장. 영인본, 서울, 단국대동양학연구소, 동양학총서3, 1973.
≪千字文≫, 松溪 筆, 日本 宮內廳 書陵部 수장. 영인본, 東京, 朝鮮學報98, 1981.
≪千字文≫, 李茂實 筆, 1894(甲午), 서울대학교 奎章閣 수장.
≪千字文≫, 李百沙 筆, 國立中央圖書館 수장.
≪智永草千字≫, 智永 筆, 서울대학교 奎章閣 수장.
≪眞草千文≫, 趙孟頫 筆, 完府, 南山房, 서울대학교 奎章閣 수장.
≪千字文≫, 朴彭年 筆, 서울대학교 奎章閣 수장.
≪千字文≫, 河西子 筆, 서울대학교 奎章閣 수장.
≪千字文≫, 河西子 筆, 계명대학교 수장.
≪草千字文≫, 韓石峯 筆, 國立中央圖書館 수장.
≪唐懷素草書千字文≫, 이현사, 1970.1.
≪註解千字文≫, 李敦柱, 博英文庫, 1971.
≪千字文≫, 李民樹(譯註), 을유문화사, 1972.1.
(新釋)≪千字文≫, 차상원, 선문출판사, 1972.1.
(原本)≪石峰千字文≫, 낙산서원, 1972.1.
(毛筆楷行草)≪三體千字文≫, 박효균, 강경문화사, 1976.1.
≪五體千字文≫, 우재영, 우일출판사, 1983.1.
≪石峰千字文≫‧≪光州千字文≫‧≪註解千字文≫, 東洋學硏究所, 檀國大出版部, 1984. 재판.
≪丙子本千字文≫, 崔世和, 古城本訓蒙字會考, 太學士, 1987.
(書隷)≪千字文≫, 이원영, 세익인쇄지기, 1989.1.
≪千字文字典≫, 경인문화사편집부, 경인문화사, 1990.1.
≪千字文≫(松廣寺板), 孫熙河, 太學士, 1993.
≪주흥사천자문≫, 안춘근, 범우사, 1994.
≪千字文資料集≫(地方千字文篇), 金履弘(외), 박이정, 1995.
≪천자문고전산책≫, 박광민, 넥서스, 1995.
≪千字文資料集≫, 李基文‧孫熙河, 박이정, 1995.
≪다산千字文≫, 김대현, 다섯수레, 1999.
≪어린이천자문≫, 김한룡, 대일출판사, 1999.1.
≪註解千字文≫, 成百曉(譯註), 傳統文化硏究會, 2000. 初版11刷.
≪千字文을 통해 본 동양인의 삶과 지혜≫, 이돈주, 태학사, 2002.1.
≪천자문 학습과 필법≫(37), 여원구,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3.
≪욕망하는 천자문≫, 김근(저), 삼인, 2003.
≪草孫過庭千字文≫ 素菴先生 書, 현중화, 조범산방, 2003.1.
≪천자문≫, 정후수(주해), 장락, 2004. 3판.
≪김성동千字文≫, 김성동, 청년사, 2004.
(재미있는)≪천자문여행≫:동양학의 기반, 심현섭‧심규하, 동인서원, 2004.1.
≪천자문≫, 안춘근, 범우사, 2005.1.
≪영어로 배우는 천자문≫, 최성호, 문창사, 2005.1.
≪行書千字文≫, 선주선, 서예문인화, 2006.1.
≪천자문뎐≫:신화‧역사‧문명으로 보는 125가지 이야기, 한정주, 포럼, 2006.1.
≪三體 千字文≫, 우병환 書, 서예문인화, 2007.1.
≪松隱隷書千字文≫, 백인선, 서예문인화, 2007.1.
≪隷書千字文≫, 정도준 씀, 서예문인화, 2007.1.
(산성 할아버지의)이야기 ≪천자문≫, 천명일, 지혜의 나무, 2007.1.
≪마음으로 보는 여행≫:250어구 속에 담긴 ≪천자문≫의 의미, 김홍선, 한솜미디어, 2007.1.
≪千字文釋義≫, 權卿相(編著), 형민사, 2008. 초판2쇄.
(鍾繇의 大敍事詩)≪千字文 易解≫, 이윤숙‧이달원, 경연학당, 2008.1.
≪(한눈에 익히는) 천자문≫, 장개충, 나무의꿈, 2008.1.
≪千字文:바람보다 먼저 울세는 풀의 노래 -즈믄 글≫, 강상규, 어문학사, 2008.1.
≪(천개의 글씨 이야기가 있는) 千字文≫, 박종택, 서예문인화, 2008.1.
≪(천개의 글씨 이야기가 있는) 圖文千字文≫, 박종택, 서예문인화, 2008.1.
≪集字 秋史體 千字文≫, 이규환, 서예문인화, 2008.1.
≪(조기형의 새천년형) 千字文:두뇌를 깊고 넓게 해주는 우리나라 최초≫, 조기형, 화남, 2008.1.
≪참되고 바른 千字文과 그 글자들의 쓰임새≫, 유종택, 활도미디어, 2008.1.
≪(한자 원리로 배우는) 천자문≫, 박진구, 세손출판사 발행일 2008.1.
≪(알 듯 모를 듯한) 천자문의 비밀≫, 박진구, 세손출판사, 2008.1.
≪천자문≫, 권성희(지음), 행복한박물관, 2009.
≪張猛龍千字文≫, 윤신행, 서예문인화, 2009.1.
≪천자문 쉽게 알기:천자문 속 숨은 이야기≫, 원주용, 이담books, 2009.1.
[單行本類(日本)]
≪千字文≫, 小川環樹‧木田章義(注解), 株式會社岩波書店, 東京. 2009. 16刷.
≪千字文≫, 小田準‧安本健吉(注釋), 岩波書店, 東京. 昭和15年(1940). 第3刷.
≪唐歐陽詢史事帖≫‧≪千字文≫ 이현사, 1981.1.
≪隋智永關中本千字文≫, 이현사, 1983.1.
[學位論文]
朝鮮時代 ≪千字文≫ 刊印本 硏究, 안미경,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2.
≪천자문≫의 訓에 관한 연구, 정대환,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1.2.
≪訓蒙字會≫‧≪新增類合≫‧≪千字文≫의 比較 考察, 민충환,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1.2.
漢字의 音‧訓 硏究:≪千字文≫을 中心으로, 이대주,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2.
≪千字文≫ 字釋硏究:難解語의 語義究明을 中心으로, 손희하,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5.2.
≪千字文≫에 대한 國語學的 硏究, 윤흥섭,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7.2.
蒙學敎材로서의 ≪千字文≫, 김현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0.8.
≪千字文≫의 六書論的 연구, 오세호, 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1.2.
≪천자문≫ 새김[釋]의 연구, 이금녀,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2.
≪訓蒙字會≫와 ≪千字文≫의 字釋 비교 연구, 이정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8.
≪千字文≫의 異體字 硏究, 신동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2.
≪訓蒙字會≫와 ≪千字文≫의 漢字音과 訓의 變遷考, 박석근, 목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2.
≪천자문≫을 이용한 한자학습 CAI프로그램의 구현, 이회광,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2.
≪천자문≫‧≪훈몽자회≫‧≪新增類合≫ 字釋 연구, 오완규,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2.
≪천자문≫의 철학적 사유형태에 관한 연구, 이규희,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2.
≪천자문≫을 활용한 한자교육 방법 연구, 하문규,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2.
조선시대 ≪천자문≫의 역할, 남영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8.
한일한자음에 대한 대조연구:≪천자문≫‧≪훈몽자회≫의 한자음을 중심으로, 곽성은, 성신여대 석사학위논문, 2006.2.
한국 ≪천자문≫에 관한 고찰:4종 ≪천자문≫을 중심으로, 박혜순, 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2.
[一般論考類]
≪千字文考≫, P.Pelliot 撰, 馮承鈞 譯, 圖書館學季刊 第六卷 第一期, 1932.
≪석봉천자문≫색인, 김성, 한글143, 한글학회, 1969.5.
石峯 ≪千字文≫에 대하여, 李基文, 국어국문학55-57호, 1972.
≪千字文解題≫, 李基文, 단국대 동양학총서3, 1973.
≪千字文≫에 나타난 書體 考察, 金鎬然, 書藝4, 월간서예사, 1974.
內閣本所藏 石峯 ≪千字文≫에 대하여, 安秉禧, 書誌學6호, 1974.
≪千字文≫의 來歷과 內容, 서예사, 오인섭7, 월간서예사, 1974.4.
≪千字文≫은 필요한 책인가, 권정석, 교육춘추1,9, 한국능력개발연구원, 1977.11.
≪千字文≫ 類選, 안춘근, 도서관234, 국립중앙도서관, 1978.12.
大東急記念文庫所藏 ≪千字文≫, 藤本幸夫, 朝鮮學報93, 1979.
朝鮮版 ≪千字文≫の系統, 藤本幸夫, 朝鮮學報94, 1980.
≪平北方言千字文≫, 金履浹, 方言3, 1980.
≪千字文≫에 대하여, 崔學根, 국어국문학83, 1980.
原本 石峯 ≪千字文≫에 대하여, 趙炳舜, 書誌學7호, 1981.
≪천자문≫ 연구1, 이기문, 한국문화2,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1981.
≪천자문≫의 계통, 안병희, 정신문화연구12, 한국학중앙연구원, 1982.4.
≪註解千字文≫의 複數字釋에 대하여, 최범훈, 국어국문학논문집12,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83.9.
≪천자문≫ 字音考, 도효근, 한국언어문학1229-1730, 한국언어문학회, 1984.
對馬歷史民俗資料館 所藏本의 ≪訓蒙字會≫와 ≪千字文≫, 崔世和, 佛敎美術8, 1985.
對馬歷史民俗資料館 所藏本의 ≪千字文≫ 字釋에 대하여, 崔世和, 日本學5, 東國大學校, 1986.
≪천자문≫의 釋에 대하여, 정성희, 국어과교육6, 부산교육대학 국어교육연구회, 1986.
≪千字文≫ 字釋 연구2, 손희아, 어문논총9,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회 1986.6.
對馬歷史民俗資料館藏本 ≪千字文≫의 字釋에 대하여, 최세화, 일본학5,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1986.3.
≪千字文≫ 訓의 語彙 變遷 硏究:名詞類 語를 中心으로, 박병철, 국어교육55,56合, 한국어교육학회, 1986.7.
≪千字文≫의 再檢討, 이우영‧정진권, 어문연구53, 일조각, 1987.4.
七長寺本 ≪千字文≫ 硏究, 申景澈, 語文硏究 第18輯, 語文硏究會, 1988.
蒙學敎材로서의 ≪千字文≫, 김현규, 한문교육연구 제3권 제5호, 박이정, 1991.
≪千字文≫(杏谷本)의 새김 연구, 손희하,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회, 어문논총12,13, 1991.2.
≪千字文≫(杏谷本) 연구, 손희하, 한국언어문학30, 한국언어문학회, 1992.6.
영남대본 ≪千字文≫ 연구, 손희하, 국어국문학108, 국어국문학회, 1992.12.
송광사판 ≪千字文≫ 연구, 손희하, 한국언어문학31, 한국언어문학회, 1993.6.
朝鮮時代 ≪千字文≫ 現傳本에 관한 연구, 安美璟, 書誌學硏究17, 1994.
조선시대 아동교육 도서에 나타난 경제교육:≪천자문≫‧≪동몽선습≫‧≪격몽요결≫‧≪명심보감≫‧≪소학≫을 중심으로, 김상규, 초등교육연구논총7,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1995.4.
자석(字釋)과 문석(文釋)이 일치하는 ≪백련초해(百聯抄解)≫의 석(釋)에 관한 연구 -≪천자문≫‧≪훈몽자회≫ 자석과의 비교를 통한 중세훈 설정을 중심으로-, 박병철, 구결연구1226-6019, 구결학회, 1997.
韓國本 ≪千字文≫의 異體字 比較 硏究, 신동희, 서지학연구13, 서지학회, 1997.6.
安平大君의 ≪眞草千字文≫:새로 發見된 石刻 拓本에 對하여, 한상봉, 고서연구16, 한국고서연구회, 1998.12.
≪千字文≫의 構成과 價値에 대한 硏究, 정후수, 동양고전연구11, 동양고전학회, 1998.12.
문화서당(文化書堂)(1):≪석봉천자문(石峰千字文)≫에 대하여, 이기문,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1999.
백제의 王仁이 일본에 論語와 ≪千字文≫을 전달한 것은 405년, 김순철, 제지계317, 한국제지공업연합회, 1999.2.
北岳 李海龍의 ≪千字文≫, 남권희, 문헌과해석 통권6호, 문헌과해석사, 1999봄.
韓日兩國の≪千字文≫に現れる異體字の類型と性格, 이건상, 진주산업대학교 논문집24, 인천대학교, 1999.12.
≪千字文≫과 그 用韻現象, 박만규, 중국학연구17, 중국학연구회, 1999.12.
冊板目錄을 통해 본 朝鮮時代 ≪千字文≫ 刊印 狀況, 안미경, 서지학보23, 한국서지학회, 1999.12.
朝鮮時代 漢字敎材 考察:≪千字文≫과 類合을 中心으로, 김종운, 한국어문교육9, 한국교원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00.2.
초등교재로서의 ≪천자문≫의 교육적 의미 분석, 우남희, 교육학연구 38,1, 한국교육학회, 2000.2.
1650年 木活字本으로 간행된 韓濩書 ≪千字文≫에 대하여, 남권희, 국어사자료연구 제2호, 국어사자료학회, 2001.2.
이무실 ≪千字文≫ 연구:갑오본을 중심으로, 손희하, 한중인문학연구 제5집, 중한인문과학연구회, 2000.12.
1650년 목활자본으로 간행된 한호서 ≪천자문≫에 대하여, 남권희, 국어사연구 제2호, 국어사학회, 2001.
화제의 어린이:한자신동 오주영 어린이 -4살 어린이가 ≪천자문≫을 줄줄 대학생보다 한자를 더 잘 알아-, 연합회 자료,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1.
李茂實 ≪千字文≫의 書誌的인 硏究, 안미경, 고인쇄문화 제8집, 청주고인쇄박물관, 2001.11.
≪천자문≫ 새김 어휘 연구:16세기 간행 ≪천자문≫의 명사류를 중심으로, 최지훈, 한국어의미학 제9호, 한국어의미학회, 2001.12.
일제시대 ≪천자문≫ 연구:판권지 분석을 중심으로, 안미경, 서지학연구 제22집, 서지학회, 2001.12.
장서각 소장 왕실 ≪千字文≫에 대하여, 박부자, 서지학보 제26호, 한국서지학회, 2002.12.
한자학습과 중국의 문화적 사실들을 알려주는 입문 교양서:≪千字文≫을 통해 본 동양인의 삶과 지혜 - 이돈주 著 書評, 김재승, 용봉논총인문학연구 제31집,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02.12.
명사 초대석:90에야 읽어 보는 ≪천자문≫과 ≪논어≫(1) -수필을 스쳐 교식으로-, 우형규,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3.
명사 초대석:90에야 읽어 보는 ≪천자문≫과 ≪논어≫(2) -수필을 스쳐 교식으로-, 우형규,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3.
한자교육에 앞장선 명사인터뷰:신입사원에게 ≪천자문≫을 10번 쓰게 하는 코리아나화장품 유상옥 회장,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3.
한글, 한자문화 칼럼:하늘천 땅지, 서당개 1년의 행운 -지금도 ≪천자문≫ 암기할 수 있어-, 문태성,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3.
‘李茂實書丁巳本’ ≪千字文≫ 연구, 손희하, 한국언어문학 제51집, 한국언어문학회, 2003.12.
≪春香傳≫과 ≪牡丹亭≫의 ≪千字文≫ 수용양상, 강영매, 중국어문학논집 제22호, 중국어문학연구회, 2003.2.
일제시대 ≪천자문≫의 종류와 특징, 안미경, 서지학연구 제26집, 서지학회, 2003.12.
≪천자문≫ 학습과 필법 49, 여원구,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4.
≪천자문≫을 활용한 어린이의 철학적 사고력 신장, 정보주, 초등교육연구 제14집, 진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04.2.
왕인의 ≪천자문≫‧≪논어≫ 일본전수설 재검토, 이근우, 역사비평 통권69호, 역사비평사, 2004겨울.
21C 한국을 대표하는 신지성의 지식 교양 정보지:전시회 특집:백여종의 ≪천자문≫이 한자리에:하늘천 따지-≪천자문≫과 조선인의 생각,공부, 예술전, 연합회자료,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5.
5천년의 우리 역사가 살아 숨쉬는 우리 ≪천자문≫(51), 조갑여,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5.
≪천자문≫ 학습과 필법, 여원구,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5.
21C 한국을 대표하는 신지성의 지식 교양 정보지:한글+한자문화 칼럼:≪천자문≫을 왜 다시 하는가?, 김세환,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5.
≪註解千字文≫과 複數字釋, 박병철, 어문연구 33권4호 통권128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5겨울.
≪주해천자문(註解千字文≫의 단수자석(單數字釋)과 문맥지석(文脈之釋)의 반영에 관하여, 박병철, 구결연구1226-6019, 구결학회, 2006.
王仁は果たして≪千字文≫を傳來したのか, 이근우, 동북아시아문화학회 국제학술대회,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06.
5천년의 우리 역사가 살아 숨 쉬는 우리 ≪천자문≫63, 조갑여,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6.
한자교육자료:문화일보 2006년 3월 4일:한자어가 더 어울릴 때 / 중앙일보 2006년 3월 9일:“한자왕국” 중국, 인터넷언어 파괴로 “골머리” / 서울신문 2006년 3월 17일:한자 공부(工夫) 좀 해라 / 뉴스와이어 2006년 3월 21일:아직도 ≪천자문≫이야? - 한자 학습문화의 변화 / 연합뉴스 2006년 3월 23일:만화 한자학습서 “지나치게 흥미위주”, 정용환‧박강문,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6.
≪註解千字文≫의 單數字釋과 文脈之釋의 반영에 관하여, 박병철, 구결연구제17집, 태학사, 2006.8.
≪千字文在韓流行及影響≫, 林東錫, 第9屆韓中文化論壇發表論文, 2007. 濟州.
≪천자문(千字文)≫의 “천지(天地)” 환경교육에 대한 한 시론(試論), 최재목, 양명학0916-2496, 한국양명학회. 2007.
(한자‧중국어‧일본어를 함께 배우는)韓中日 ≪千字文≫, 김낙구, 에세이, 2007.1.
≪千字文≫의 由來와 大意 考察, 김세환, 중국학연구 제42집, 중국학연구회, 2007.12.
21C 韓國을 대표하는 新知性의 지식 교양 정보지:기획논단:≪千字文≫의 訓音 中 問題點 - ≪石峰千字文≫을 中心으로, 진태하,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8.
국민으로서의 영어교육과 ≪천자문≫, 김인환, 대산문화재단 제27호, 대산문화재단, 2008년 봄호.
≪千字文≫에 나오는 漢字의 訓에 관한 硏究:文脈의 意味와 달리 나타나는 訓을 중심으로, 박병철, 국어국문학 제150호, 국어국문학회, 2008.12.
已丑新年과 王仁精神의 涵養 -王仁博士와 ≪千字文≫- 卷頭言, 홍윤기,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9.
≪정몽유어≫‧≪아학편≫‧≪천자문≫의 분포적 특성, 이광호, 언어과학연구제48집, 언어과학회, 2009.3.
≪千字文≫의 原流, 內容 및 韓國에서의 發展 상황 考察, 林東錫, ≪中國語文學會論集≫, 第56號. 中國語文學硏究會. 2009.6.
--
標註國語定本:韋昭 解,秦鼎 校,高木熊三郎 注
http://dl.ndl.go.jp/search/searchResult?featureCode=all&searchWord=%E6%A8%99%E8%A8%BB%E5%9B%BD%E8%AA%9E%E5%AE%9A%E6%9C%AC&viewRestricted=0
標註國語定本:韋昭 解,秦鼎 校,高木熊三郎 注
http://dl.ndl.go.jp/search/searchResult?featureCode=all&searchWord=%E6%A8%99%E8%A8%BB%E5%9B%BD%E8%AA%9E%E5%AE%9A%E6%9C%AC&viewRestricted=0
標註國語定本:韋昭 解,秦鼎 校,高木熊三郎 注
http://dl.ndl.go.jp/search/searchResult?featureCode=all&searchWord=%E6%A8%99%E8%A8%BB%E5%9B%BD%E8%AA%9E%E5%AE%9A%E6%9C%AC&viewRestricted=0
昔孔子發憤於舊史하사 垂法於素王(注1)
하시니 左丘明因聖言以攄意하고 託王義以流藻하니 其淵源深大하고 沈懿雅麗하야 可謂命世之才요 博物善作者也라 其明識高遠하고 雅思未盡이라 故復采錄前世穆王以來로 下訖魯悼智伯之誅히 邦國成敗와 嘉言善語와 陰陽律呂와 天時人事의 逆順之數하야 以爲國語하니 其文不主於經이라 故號曰外傳이라하니
所以包羅天地하고 探測禍福하며 發起幽微하고 章表善惡者 昭然甚明하야 實爲經蓺並陳하니 非特諸子之倫也라 遭秦之亂하야 幽而復光하니 賈生史遷이 頗綜述焉하니라 及劉光祿이 於漢成世에 始更考校하야 是正疑繆하고 至於章帝하야 鄭大司農이 爲之訓註(注2)
야 解疑釋滯하니 昭晣可觀이나 至於細碎하야는 有所闕略이오 侍中賈君이 敷而衍之(注3)
하니 其所發明에 大義略擧하야 爲已憭矣라 然於文閒에 時有遺忘이러니 建安黃武之閒(注4)
에 故侍御史會稽虞君(注5)
과 尙書僕射丹陽唐君(注6)
은 皆英才碩儒로 洽聞之士也라 采摭所見하고 因賈爲主而損益之하니 觀其辭義하면 信多善者나 然所理釋이 猶有異同이라 昭以末學으로 淺闇寡聞이나 階數君之成訓하고 思事義之是非호니 愚心頗有所覺이라
今諸家並行하야 是非相貿하니 雖聰明疏達識機之士는 知所去就나 然淺聞初學은 猶或未能祛過라 切不自料하고 復爲之解할새 因賈君之精實하고 採唐虞之信善하며 亦所以覺[以所覺](注7)
으로 增潤補綴호대 參之以五經하고 檢之以內傳하며 以世本(注8)
으로 考其流하고 以爾雅(注9)
로 齊其訓하야 去非要하고 存事實하니 凡所發正이 三百七事요 又諸家紛錯은 載述爲煩이라 是以時有所見하야 庶幾頗近事情을 裁有補益이나 猶恐人之多言하야 未詳其故하니 欲世覽者는 必察之也하노라
唐宋千家聯珠詩格
--
註解千字文●주해천자문
범례 해제 참고문헌
千字文 刊行物 및 硏究論著 目錄
전체
서명/저자명
기사제목
원문/대역문
번역문
역주
기타
[單行本類(中國)]
四庫全書, 集部8, ≪梁文紀≫, 권14. 周興嗣 ≪千字文≫.
≪千字文釋義≫, 檀國大學校東洋學圖書室所藏.
≪千字文≫, 編輯部 國學出版社, 1973. 基隆 臺灣.
≪五體千字文≫, 天山出版社, 1981. 臺北.
≪千字文≫(注音詳解), 李炳傑(編註), 劉玉琛(校正), 學生出版社, 1982. 臺北.
≪歷代千字文≫(印本), 國立政治大學, 中文硏究所, 1984. 臺北.
≪千字文≫, 喩岳衡(主編), 傳統蒙學叢書, 岳麓書社, 1987. 長沙 湖南.
≪續千字文≫, 喩岳衡(主編), 傳統蒙學叢書, 岳麓書社, 1987. 長沙 湖南.
≪再續千字文≫, 喩岳衡(主編), 傳統蒙學叢書, 岳麓書社, 1987. 長沙 湖南.
≪別本千字文≫, 喩岳衡(主編), 傳統蒙學叢書, 岳麓書社, 1987. 長沙 湖南.
≪敍古千文≫, 喩岳衡(主編), 傳統蒙學叢書, 岳麓書社, 1987. 長沙 湖南.
≪千字文釋義≫, 淸 汪嘯尹 纂輯, 孫謙益 參注, 上海古籍出版社, 上海, 1989. 2次印刷.(≪三字經≫‧≪百家姓≫‧≪千字文≫의 合本임)
≪白話千字文≫, 天津市古籍書店影印, 新華書店天津發行所發行, 1990.
≪千字文≫, 張兆裕(編), 北京燕山出版社, 1995. 北京.
≪千字文≫, 馬自毅(注譯), 三民書局, 2002. 臺北.
≪千字文≫, 編輯部, 香巷商務印書館, 2003. 홍콩.
≪三字經≫‧≪百家姓≫‧≪千字文≫, 鄭啓銅(註釋), 雲南大學出版社, 2004. 昆明.
≪中國名著≫(≪千字文≫ 부분), 姚麗萍‧顔朝輝, 中國戲劇出版社, 2005. 北京.
≪千字文≫, 錢玄溟(編), ≪國學經典≫, 中國長安出版社, 2006. 北京.
[單行本類(韓國)]
≪千字文≫, 간년 미상(1500년대로 추정), 日本大東急記念文庫 수장, 영인본, 東京, 朝鮮學報93, 1979.
≪千字文≫, 1575, 日本東京大學 수장, 영인본, 서울, 단국대동양학연구소, 동양학총서3, 1973.
≪千字文≫, 韓石峯 筆, 內賜本, 1583, 경북 영주시 朴贊成 氏 수장. 영인본, 서울, 한국서지학회, 서지학7, 1981.
≪千字文≫, 韓石峯 筆, 日本國立公文書館 수장, 영인본, 서울, 단국대동양학연구소, 동양학총서3, 1973.
≪千字文≫, 1696(丙子年), 日本對馬歷史民俗博物館 수장.
≪千字文≫, 順天 曹溪山 松廣寺 開刊, 1730, 延世大學校 수장.
≪註解千字文≫, 洪聖源 筆, 南漢 開元寺 開刊, 1754(壬申), 서울대학교 奎章閣 수장.
≪註解千字文≫ 新增本, 洪泰運 筆, 京城 廣通坊 新刊, 1804(甲子), 국립중앙도서관 수장. 영인본, 서울, 단국대동양학연구소, 동양학총서3, 1973.
≪千字文≫, 松溪 筆, 日本 宮內廳 書陵部 수장. 영인본, 東京, 朝鮮學報98, 1981.
≪千字文≫, 李茂實 筆, 1894(甲午), 서울대학교 奎章閣 수장.
≪千字文≫, 李百沙 筆, 國立中央圖書館 수장.
≪智永草千字≫, 智永 筆, 서울대학교 奎章閣 수장.
≪眞草千文≫, 趙孟頫 筆, 完府, 南山房, 서울대학교 奎章閣 수장.
≪千字文≫, 朴彭年 筆, 서울대학교 奎章閣 수장.
≪千字文≫, 河西子 筆, 서울대학교 奎章閣 수장.
≪千字文≫, 河西子 筆, 계명대학교 수장.
≪草千字文≫, 韓石峯 筆, 國立中央圖書館 수장.
≪唐懷素草書千字文≫, 이현사, 1970.1.
≪註解千字文≫, 李敦柱, 博英文庫, 1971.
≪千字文≫, 李民樹(譯註), 을유문화사, 1972.1.
(新釋)≪千字文≫, 차상원, 선문출판사, 1972.1.
(原本)≪石峰千字文≫, 낙산서원, 1972.1.
(毛筆楷行草)≪三體千字文≫, 박효균, 강경문화사, 1976.1.
≪五體千字文≫, 우재영, 우일출판사, 1983.1.
≪石峰千字文≫‧≪光州千字文≫‧≪註解千字文≫, 東洋學硏究所, 檀國大出版部, 1984. 재판.
≪丙子本千字文≫, 崔世和, 古城本訓蒙字會考, 太學士, 1987.
(書隷)≪千字文≫, 이원영, 세익인쇄지기, 1989.1.
≪千字文字典≫, 경인문화사편집부, 경인문화사, 1990.1.
≪千字文≫(松廣寺板), 孫熙河, 太學士, 1993.
≪주흥사천자문≫, 안춘근, 범우사, 1994.
≪千字文資料集≫(地方千字文篇), 金履弘(외), 박이정, 1995.
≪천자문고전산책≫, 박광민, 넥서스, 1995.
≪千字文資料集≫, 李基文‧孫熙河, 박이정, 1995.
≪다산千字文≫, 김대현, 다섯수레, 1999.
≪어린이천자문≫, 김한룡, 대일출판사, 1999.1.
≪註解千字文≫, 成百曉(譯註), 傳統文化硏究會, 2000. 初版11刷.
≪千字文을 통해 본 동양인의 삶과 지혜≫, 이돈주, 태학사, 2002.1.
≪천자문 학습과 필법≫(37), 여원구,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3.
≪욕망하는 천자문≫, 김근(저), 삼인, 2003.
≪草孫過庭千字文≫ 素菴先生 書, 현중화, 조범산방, 2003.1.
≪천자문≫, 정후수(주해), 장락, 2004. 3판.
≪김성동千字文≫, 김성동, 청년사, 2004.
(재미있는)≪천자문여행≫:동양학의 기반, 심현섭‧심규하, 동인서원, 2004.1.
≪천자문≫, 안춘근, 범우사, 2005.1.
≪영어로 배우는 천자문≫, 최성호, 문창사, 2005.1.
≪行書千字文≫, 선주선, 서예문인화, 2006.1.
≪천자문뎐≫:신화‧역사‧문명으로 보는 125가지 이야기, 한정주, 포럼, 2006.1.
≪三體 千字文≫, 우병환 書, 서예문인화, 2007.1.
≪松隱隷書千字文≫, 백인선, 서예문인화, 2007.1.
≪隷書千字文≫, 정도준 씀, 서예문인화, 2007.1.
(산성 할아버지의)이야기 ≪천자문≫, 천명일, 지혜의 나무, 2007.1.
≪마음으로 보는 여행≫:250어구 속에 담긴 ≪천자문≫의 의미, 김홍선, 한솜미디어, 2007.1.
≪千字文釋義≫, 權卿相(編著), 형민사, 2008. 초판2쇄.
(鍾繇의 大敍事詩)≪千字文 易解≫, 이윤숙‧이달원, 경연학당, 2008.1.
≪(한눈에 익히는) 천자문≫, 장개충, 나무의꿈, 2008.1.
≪千字文:바람보다 먼저 울세는 풀의 노래 -즈믄 글≫, 강상규, 어문학사, 2008.1.
≪(천개의 글씨 이야기가 있는) 千字文≫, 박종택, 서예문인화, 2008.1.
≪(천개의 글씨 이야기가 있는) 圖文千字文≫, 박종택, 서예문인화, 2008.1.
≪集字 秋史體 千字文≫, 이규환, 서예문인화, 2008.1.
≪(조기형의 새천년형) 千字文:두뇌를 깊고 넓게 해주는 우리나라 최초≫, 조기형, 화남, 2008.1.
≪참되고 바른 千字文과 그 글자들의 쓰임새≫, 유종택, 활도미디어, 2008.1.
≪(한자 원리로 배우는) 천자문≫, 박진구, 세손출판사 발행일 2008.1.
≪(알 듯 모를 듯한) 천자문의 비밀≫, 박진구, 세손출판사, 2008.1.
≪천자문≫, 권성희(지음), 행복한박물관, 2009.
≪張猛龍千字文≫, 윤신행, 서예문인화, 2009.1.
≪천자문 쉽게 알기:천자문 속 숨은 이야기≫, 원주용, 이담books, 2009.1.
[單行本類(日本)]
≪千字文≫, 小川環樹‧木田章義(注解), 株式會社岩波書店, 東京. 2009. 16刷.
≪千字文≫, 小田準‧安本健吉(注釋), 岩波書店, 東京. 昭和15年(1940). 第3刷.
≪唐歐陽詢史事帖≫‧≪千字文≫ 이현사, 1981.1.
≪隋智永關中本千字文≫, 이현사, 1983.1.
[學位論文]
朝鮮時代 ≪千字文≫ 刊印本 硏究, 안미경,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2.
≪천자문≫의 訓에 관한 연구, 정대환,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1.2.
≪訓蒙字會≫‧≪新增類合≫‧≪千字文≫의 比較 考察, 민충환,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1.2.
漢字의 音‧訓 硏究:≪千字文≫을 中心으로, 이대주,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2.
≪千字文≫ 字釋硏究:難解語의 語義究明을 中心으로, 손희하,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5.2.
≪千字文≫에 대한 國語學的 硏究, 윤흥섭,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7.2.
蒙學敎材로서의 ≪千字文≫, 김현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0.8.
≪千字文≫의 六書論的 연구, 오세호, 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1.2.
≪천자문≫ 새김[釋]의 연구, 이금녀,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2.
≪訓蒙字會≫와 ≪千字文≫의 字釋 비교 연구, 이정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8.
≪千字文≫의 異體字 硏究, 신동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2.
≪訓蒙字會≫와 ≪千字文≫의 漢字音과 訓의 變遷考, 박석근, 목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2.
≪천자문≫을 이용한 한자학습 CAI프로그램의 구현, 이회광,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2.
≪천자문≫‧≪훈몽자회≫‧≪新增類合≫ 字釋 연구, 오완규,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2.
≪천자문≫의 철학적 사유형태에 관한 연구, 이규희,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2.
≪천자문≫을 활용한 한자교육 방법 연구, 하문규,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2.
조선시대 ≪천자문≫의 역할, 남영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8.
한일한자음에 대한 대조연구:≪천자문≫‧≪훈몽자회≫의 한자음을 중심으로, 곽성은, 성신여대 석사학위논문, 2006.2.
한국 ≪천자문≫에 관한 고찰:4종 ≪천자문≫을 중심으로, 박혜순, 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2.
[一般論考類]
≪千字文考≫, P.Pelliot 撰, 馮承鈞 譯, 圖書館學季刊 第六卷 第一期, 1932.
≪석봉천자문≫색인, 김성, 한글143, 한글학회, 1969.5.
石峯 ≪千字文≫에 대하여, 李基文, 국어국문학55-57호, 1972.
≪千字文解題≫, 李基文, 단국대 동양학총서3, 1973.
≪千字文≫에 나타난 書體 考察, 金鎬然, 書藝4, 월간서예사, 1974.
內閣本所藏 石峯 ≪千字文≫에 대하여, 安秉禧, 書誌學6호, 1974.
≪千字文≫의 來歷과 內容, 서예사, 오인섭7, 월간서예사, 1974.4.
≪千字文≫은 필요한 책인가, 권정석, 교육춘추1,9, 한국능력개발연구원, 1977.11.
≪千字文≫ 類選, 안춘근, 도서관234, 국립중앙도서관, 1978.12.
大東急記念文庫所藏 ≪千字文≫, 藤本幸夫, 朝鮮學報93, 1979.
朝鮮版 ≪千字文≫の系統, 藤本幸夫, 朝鮮學報94, 1980.
≪平北方言千字文≫, 金履浹, 方言3, 1980.
≪千字文≫에 대하여, 崔學根, 국어국문학83, 1980.
原本 石峯 ≪千字文≫에 대하여, 趙炳舜, 書誌學7호, 1981.
≪천자문≫ 연구1, 이기문, 한국문화2,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1981.
≪천자문≫의 계통, 안병희, 정신문화연구12, 한국학중앙연구원, 1982.4.
≪註解千字文≫의 複數字釋에 대하여, 최범훈, 국어국문학논문집12,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83.9.
≪천자문≫ 字音考, 도효근, 한국언어문학1229-1730, 한국언어문학회, 1984.
對馬歷史民俗資料館 所藏本의 ≪訓蒙字會≫와 ≪千字文≫, 崔世和, 佛敎美術8, 1985.
對馬歷史民俗資料館 所藏本의 ≪千字文≫ 字釋에 대하여, 崔世和, 日本學5, 東國大學校, 1986.
≪천자문≫의 釋에 대하여, 정성희, 국어과교육6, 부산교육대학 국어교육연구회, 1986.
≪千字文≫ 字釋 연구2, 손희아, 어문논총9,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회 1986.6.
對馬歷史民俗資料館藏本 ≪千字文≫의 字釋에 대하여, 최세화, 일본학5,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1986.3.
≪千字文≫ 訓의 語彙 變遷 硏究:名詞類 語를 中心으로, 박병철, 국어교육55,56合, 한국어교육학회, 1986.7.
≪千字文≫의 再檢討, 이우영‧정진권, 어문연구53, 일조각, 1987.4.
七長寺本 ≪千字文≫ 硏究, 申景澈, 語文硏究 第18輯, 語文硏究會, 1988.
蒙學敎材로서의 ≪千字文≫, 김현규, 한문교육연구 제3권 제5호, 박이정, 1991.
≪千字文≫(杏谷本)의 새김 연구, 손희하,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회, 어문논총12,13, 1991.2.
≪千字文≫(杏谷本) 연구, 손희하, 한국언어문학30, 한국언어문학회, 1992.6.
영남대본 ≪千字文≫ 연구, 손희하, 국어국문학108, 국어국문학회, 1992.12.
송광사판 ≪千字文≫ 연구, 손희하, 한국언어문학31, 한국언어문학회, 1993.6.
朝鮮時代 ≪千字文≫ 現傳本에 관한 연구, 安美璟, 書誌學硏究17, 1994.
조선시대 아동교육 도서에 나타난 경제교육:≪천자문≫‧≪동몽선습≫‧≪격몽요결≫‧≪명심보감≫‧≪소학≫을 중심으로, 김상규, 초등교육연구논총7,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1995.4.
자석(字釋)과 문석(文釋)이 일치하는 ≪백련초해(百聯抄解)≫의 석(釋)에 관한 연구 -≪천자문≫‧≪훈몽자회≫ 자석과의 비교를 통한 중세훈 설정을 중심으로-, 박병철, 구결연구1226-6019, 구결학회, 1997.
韓國本 ≪千字文≫의 異體字 比較 硏究, 신동희, 서지학연구13, 서지학회, 1997.6.
安平大君의 ≪眞草千字文≫:새로 發見된 石刻 拓本에 對하여, 한상봉, 고서연구16, 한국고서연구회, 1998.12.
≪千字文≫의 構成과 價値에 대한 硏究, 정후수, 동양고전연구11, 동양고전학회, 1998.12.
문화서당(文化書堂)(1):≪석봉천자문(石峰千字文)≫에 대하여, 이기문,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1999.
백제의 王仁이 일본에 論語와 ≪千字文≫을 전달한 것은 405년, 김순철, 제지계317, 한국제지공업연합회, 1999.2.
北岳 李海龍의 ≪千字文≫, 남권희, 문헌과해석 통권6호, 문헌과해석사, 1999봄.
韓日兩國の≪千字文≫に現れる異體字の類型と性格, 이건상, 진주산업대학교 논문집24, 인천대학교, 1999.12.
≪千字文≫과 그 用韻現象, 박만규, 중국학연구17, 중국학연구회, 1999.12.
冊板目錄을 통해 본 朝鮮時代 ≪千字文≫ 刊印 狀況, 안미경, 서지학보23, 한국서지학회, 1999.12.
朝鮮時代 漢字敎材 考察:≪千字文≫과 類合을 中心으로, 김종운, 한국어문교육9, 한국교원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00.2.
초등교재로서의 ≪천자문≫의 교육적 의미 분석, 우남희, 교육학연구 38,1, 한국교육학회, 2000.2.
1650年 木活字本으로 간행된 韓濩書 ≪千字文≫에 대하여, 남권희, 국어사자료연구 제2호, 국어사자료학회, 2001.2.
이무실 ≪千字文≫ 연구:갑오본을 중심으로, 손희하, 한중인문학연구 제5집, 중한인문과학연구회, 2000.12.
1650년 목활자본으로 간행된 한호서 ≪천자문≫에 대하여, 남권희, 국어사연구 제2호, 국어사학회, 2001.
화제의 어린이:한자신동 오주영 어린이 -4살 어린이가 ≪천자문≫을 줄줄 대학생보다 한자를 더 잘 알아-, 연합회 자료,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1.
李茂實 ≪千字文≫의 書誌的인 硏究, 안미경, 고인쇄문화 제8집, 청주고인쇄박물관, 2001.11.
≪천자문≫ 새김 어휘 연구:16세기 간행 ≪천자문≫의 명사류를 중심으로, 최지훈, 한국어의미학 제9호, 한국어의미학회, 2001.12.
일제시대 ≪천자문≫ 연구:판권지 분석을 중심으로, 안미경, 서지학연구 제22집, 서지학회, 2001.12.
장서각 소장 왕실 ≪千字文≫에 대하여, 박부자, 서지학보 제26호, 한국서지학회, 2002.12.
한자학습과 중국의 문화적 사실들을 알려주는 입문 교양서:≪千字文≫을 통해 본 동양인의 삶과 지혜 - 이돈주 著 書評, 김재승, 용봉논총인문학연구 제31집,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02.12.
명사 초대석:90에야 읽어 보는 ≪천자문≫과 ≪논어≫(1) -수필을 스쳐 교식으로-, 우형규,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3.
명사 초대석:90에야 읽어 보는 ≪천자문≫과 ≪논어≫(2) -수필을 스쳐 교식으로-, 우형규,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3.
한자교육에 앞장선 명사인터뷰:신입사원에게 ≪천자문≫을 10번 쓰게 하는 코리아나화장품 유상옥 회장,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3.
한글, 한자문화 칼럼:하늘천 땅지, 서당개 1년의 행운 -지금도 ≪천자문≫ 암기할 수 있어-, 문태성,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3.
‘李茂實書丁巳本’ ≪千字文≫ 연구, 손희하, 한국언어문학 제51집, 한국언어문학회, 2003.12.
≪春香傳≫과 ≪牡丹亭≫의 ≪千字文≫ 수용양상, 강영매, 중국어문학논집 제22호, 중국어문학연구회, 2003.2.
일제시대 ≪천자문≫의 종류와 특징, 안미경, 서지학연구 제26집, 서지학회, 2003.12.
≪천자문≫ 학습과 필법 49, 여원구,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4.
≪천자문≫을 활용한 어린이의 철학적 사고력 신장, 정보주, 초등교육연구 제14집, 진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04.2.
왕인의 ≪천자문≫‧≪논어≫ 일본전수설 재검토, 이근우, 역사비평 통권69호, 역사비평사, 2004겨울.
21C 한국을 대표하는 신지성의 지식 교양 정보지:전시회 특집:백여종의 ≪천자문≫이 한자리에:하늘천 따지-≪천자문≫과 조선인의 생각,공부, 예술전, 연합회자료,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5.
5천년의 우리 역사가 살아 숨쉬는 우리 ≪천자문≫(51), 조갑여,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5.
≪천자문≫ 학습과 필법, 여원구,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5.
21C 한국을 대표하는 신지성의 지식 교양 정보지:한글+한자문화 칼럼:≪천자문≫을 왜 다시 하는가?, 김세환,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5.
≪註解千字文≫과 複數字釋, 박병철, 어문연구 33권4호 통권128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5겨울.
≪주해천자문(註解千字文≫의 단수자석(單數字釋)과 문맥지석(文脈之釋)의 반영에 관하여, 박병철, 구결연구1226-6019, 구결학회, 2006.
王仁は果たして≪千字文≫を傳來したのか, 이근우, 동북아시아문화학회 국제학술대회,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06.
5천년의 우리 역사가 살아 숨 쉬는 우리 ≪천자문≫63, 조갑여,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6.
한자교육자료:문화일보 2006년 3월 4일:한자어가 더 어울릴 때 / 중앙일보 2006년 3월 9일:“한자왕국” 중국, 인터넷언어 파괴로 “골머리” / 서울신문 2006년 3월 17일:한자 공부(工夫) 좀 해라 / 뉴스와이어 2006년 3월 21일:아직도 ≪천자문≫이야? - 한자 학습문화의 변화 / 연합뉴스 2006년 3월 23일:만화 한자학습서 “지나치게 흥미위주”, 정용환‧박강문,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6.
≪註解千字文≫의 單數字釋과 文脈之釋의 반영에 관하여, 박병철, 구결연구제17집, 태학사, 2006.8.
≪千字文在韓流行及影響≫, 林東錫, 第9屆韓中文化論壇發表論文, 2007. 濟州.
≪천자문(千字文)≫의 “천지(天地)” 환경교육에 대한 한 시론(試論), 최재목, 양명학0916-2496, 한국양명학회. 2007.
(한자‧중국어‧일본어를 함께 배우는)韓中日 ≪千字文≫, 김낙구, 에세이, 2007.1.
≪千字文≫의 由來와 大意 考察, 김세환, 중국학연구 제42집, 중국학연구회, 2007.12.
21C 韓國을 대표하는 新知性의 지식 교양 정보지:기획논단:≪千字文≫의 訓音 中 問題點 - ≪石峰千字文≫을 中心으로, 진태하,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8.
국민으로서의 영어교육과 ≪천자문≫, 김인환, 대산문화재단 제27호, 대산문화재단, 2008년 봄호.
≪千字文≫에 나오는 漢字의 訓에 관한 硏究:文脈의 意味와 달리 나타나는 訓을 중심으로, 박병철, 국어국문학 제150호, 국어국문학회, 2008.12.
已丑新年과 王仁精神의 涵養 -王仁博士와 ≪千字文≫- 卷頭言, 홍윤기,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9.
≪정몽유어≫‧≪아학편≫‧≪천자문≫의 분포적 특성, 이광호, 언어과학연구제48집, 언어과학회, 2009.3.
≪千字文≫의 原流, 內容 및 韓國에서의 發展 상황 考察, 林東錫, ≪中國語文學會論集≫, 第56號. 中國語文學硏究會. 200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