陳雲:強制死後器官捐贈就是畜民而賣,Human farming.
陳雲:強制死後器官捐贈就是畜民而賣,Human farming. 中國式陰道是畜女民而賣,中國式器官就是畜全民而賣。
香港好快進入這個自古以來無法想像的人權踐踏,以救人的片面真理來掩蓋賣屍謀財或謀業務的綜合真理。這就是後現代主義。
這是令人一時間無言以對的冷血哲學(屬於後現代主義的身體政治 body politics),除非你在你的社會找到一個亞里士多德,可以綜合判斷這種以救人為名而踐踏人權的法律。
舉例,如果我不製造一個名詞:human farming,畜民而賣,你不會覺察這個問題的恐怖。
我可以預告,一旦通過強制器官捐贈,瀕危病人的用藥,將會考慮到是否該種藥物或治療方法是否令器官不能移植而改變。
即是說,醫生在醫治你的時候,會同時想著是否可以用你的器官移植來醫治另一個人。
You doctor is serving one known, living patient and another unknown, dying but rich patient.
這裡產生的醫學道德的問題、商業道德的問題(a professional cannot serve two parties of conflicting interests),也是我告訴你,你才會察覺。
If I keep silent, you may never know.
(按:維持舊式的公民選擇死後自願捐贈是可以的。強制捐贈死者器官絕對不行。鼓勵活體捐贈更加不可。)
陳雲:強制死後器官捐贈就是畜民而賣,Human farming.
https://www.facebook.com/wan.chin.75/posts/10155147512807225
--
https://www.facebook.com/wan.chin.75/posts/10155140565432225
【賊王病逝】曾助爭取囚犯權益 梁耀忠:葉會關心人,看到不公道事會發聲
https://news.mingpao.com/ins/instantnews/web_tc/article/20170420/s00001/1492652288529
陳雲:這是後現代主義的道德觀。各位習慣下。陳雲在文化沙龍講過,這是後現代主義的身份政治(identity politics)的例子:
葉賊現在的身份是死者(the dead)和囚友(the prisoner),故此他生前做的、入獄之前的作奸犯科,梁議員不會一拼考慮來評價。
後現代主義的道德觀,是單一角度的看法(one-dimensional view),特別適合智力懶惰、鼓勵消費的後期資本主義社會(late capitalist society)。
讀哲學有什麼用?陳雲示範給大家看。你在大學沒有機會學這些真正的哲學使用。
Wan Chin 陳雲在文化沙龍講過,這是後現代主義的身份政治(identity politics)的例子:葉賊現在的身份是死者(the dead)和囚友,
故此他生前做的、入獄前做的犯罪,梁議員不會一拼考慮來評價。後現代主義的道德觀,是一方面的看法(one-dimensional view),特別適合智力懶惰、鼓吹消費的後期資本主義社會。
--
https://www.facebook.com/wan.chin.75/posts/10155140643877225
陳雲:再示範一下,後現代主義裡面的身體政治(body politics)。政府有意立法強制公民死後的器官捐贈,是令到公民的身體在死後屬於國家。
即是說,一旦公民死亡,人權即刻消失,國家便支配了公民的身體使用權,往後就可以強制推出所謂綠色殯葬,死無葬身之地。
你的身體,現在成為政治實踐的場域(field for political praxis)。這是用法律來否認了靈魂存在的後現代思想。在神學上,政府不會與你辯論,但在立法上,政府否定了靈魂的存在。
這就是後現代主義的左膠這麼喜歡立法的原因,因為他們不想同你辯論。
後現代主義的哲學,有些仍是有用的。香港教授哲學或文化研究的人,有這樣告訴各位這些學理嗎?沒有吧。只有陳雲囉。
Wan Chin 我示範的,是貨真價實的德國學術訓練。
--
https://www.facebook.com/wan.chin.75/posts/10155142355622225
陳雲:曾健超被警察虐打,是雨傘革命的受害者,故此可以投票給他。青年新政是後生仔,故此可以投票給他。
游惠幀是後生女,故此可以投票給她。各位老友,這就叫做後現代主義的身份政治(identity politics)。
不必問那些綜合評斷的思想、歷練、忠誠、政綱,只要有個獨特身份——一個單向度的參考點,就可以參選做議員。多一個參考點,那些謹慎精密(sophisticated)的參選者,
就會被選民覺得好高深而放棄。
你以為哲學不重要?我們的集體意識就被這些美帝國主義宣傳的哲學影響著,令我們集體違背常理。只是我不說,你不會覺察到。
比D機會後生仔!比D機會後生女!比D機會曾健超!
--
https://www.facebook.com/wan.chin.75/posts/10155143116497225
陳雲:點解無人比機會香港,免受這些壞後生的禍害?裡通外敵,陷害香港。害第一次是滅了永續基本法,而且引入人大釋法,令議員宣誓就職隨時被立法會秘書處取消資格。
害第二次,將是人大釋法基本法第二十七條來反港獨言論散播,限制言論出版的自由,令香港人失聲,孤立無援,任由共匪虐殺。
《香港城邦論》可以逃過中共法網,令中共啞口無言,無法打擊,不怕的,自然有香港人高舉港獨論、高舉香港民族論,甚至註冊成立香港民族黨,共匪就可以打擊城邦論,
將城邦論一併定為港獨而禁止了。
害一次不夠,還要害兩次?比條生路我地行下啦。我地已經部署離開香港啦,還要窮追猛打,燒毀我們的家園,令我們無路可退,連懷緬故鄉都不准?
比D機會後生仔——再次害香港。害一次唔死得,害夠第二次。死得啦掛?打下最後一口棺材釘,肯死啦掛?
--
https://www.facebook.com/wan.chin.75/posts/10155147644167225
陳雲:器官移植是頂級醫學成就的顯示,特別是肝臟和心臟移植,牽涉好多高級職位和精密儀器與醫藥。香港的公立醫院系統,落入所謂法定組織的醫管局手上,
判斷就不是平等地救人那麼簡單。
後現代主義的身體政治,與新自由主義的外判公共服務予法定機構(醫管局)或商業公司(領匯),牽涉的,其實是一個哲學問題——國家是什麼的哲學問題。
如果國家(政府)沒有效率、也沒有可靠性(因為以前的政府醫護人員也一樣可以失德),能否委託給一個專業或商業的機構呢?
如果grand narrative(大理論)的國家不可靠,那麼mini-narrative(小理論)的公共機構或商業公司是否可靠一點呢?
九十年代香港傳媒的論調:政府不可靠、無效率、不公平,商業服務好效率、可以監督,就是後現代主義哲學用在媒體的議題控制。
故此,香港社會面對這種哲學問題,陷入集體愚昧。我在昨晚(星期五)的文化沙龍,就是講後現代主義哲學如何不知不覺地影響你的身體(醫管局)和居所(領匯)。
我從來不在大學講這些東西,否則我早已被免除教席。
--
https://www.facebook.com/wan.chin.75/posts/10155155766327225
陳雲:北韓快打仗了,續談後現代社會的危機,順便開始福柯的學問清談。
現代國家與資本主義有很大的問題。技術上,我們製造可以長久使用的家具、衣服和電器是可以的,令他們廉宜地獲得修理及零件更新也是輕而易舉,
包括手機、電腦、軟件都可以這樣不必整部更換地更新零件或軟件升級。但是,優秀耐用的諾基亞(Nokia)手機竟然令公司面臨倒閉!
長久使用的東西,可以賣得很貴來獲得盈利的。這個沒問題。
問題在於,公司不是工匠,工匠是受到壽命限制的,但公司的法人身份是永續的,公司不是要賺第一筆錢,而是要持續盈利,上市公司更加是身不由己,股市令它們有了永續的生命,
即使是破產,也會被人收購、改名、重組而生存下去,好似英治時代的香港電話公司(Hong Kong Telecom)變成九七之後的電訊盈科(PCCW)。
私人公司、工匠、小店,可以賺一筆錢就退休,因為年壽有限,無謂謀算利潤持續,捱幾代。這是為什麼小店的飲食品質絕對會必大集團的飲食品質要好的原因!
小店只需計算它一次過的盈利,大集團要計算它起碼幾年內的盈利和股價,要平均地賺盡你的錢,an evil calculation is involved。
同理,王朝是王室家族的壽命,是有限的,故此王朝不危險。現代國家的主權是永續的,永續的主權為資本主義提供了規則的擔保,這才是現代國家的危險之處。
大家不知道,人類進入現代,才是真正的進入 risk society(風險社會)。因為人類在玩上帝的遊戲——人類竟然夠膽假設國家及公司是永生的。
——其他的精彩東西,留待我在福柯的清談再分析。
https://areomagazine.com/2017/03/27/how-french-intellectuals-ruined-the-west-postmodernism-and-its-impact-explained/
HOW FRENCH “INTELLECTUALS” RUINED THE WEST: POSTMODERNISM AND ITS IMPACT, EXPLAINED
CULTURE | MEDIA, REVIEW MARCH 27, 2017
千字文, 註解千字文 5 ●주해천자문 - 存以甘棠,去而益詠
存以甘棠,去而益詠,樂殊貴賤,禮別尊卑,上和下睦,夫唱婦隨,
外受傅訓,入奉母儀,諸姑伯叔,猶子比兒,孔懷兄弟,同氣連枝,
交友投分,切磨箴規,仁慈隱惻,造次弗離,節義廉退,顛沛匪虧,
性靜情逸,心動神疲,守真誌滿,逐物意移,堅持雅操,好爵自縻,
[單行本類(中國)]
四庫全書, 集部8, ≪梁文紀≫, 권14. 周興嗣 ≪千字文≫.
≪千字文釋義≫, 檀國大學校東洋學圖書室所藏.
≪千字文≫, 編輯部 國學出版社, 1973. 基隆 臺灣.
≪五體千字文≫, 天山出版社, 1981. 臺北.
≪千字文≫(注音詳解), 李炳傑(編註), 劉玉琛(校正), 學生出版社, 1982. 臺北.
≪歷代千字文≫(印本), 國立政治大學, 中文硏究所, 1984. 臺北.
≪千字文≫, 喩岳衡(主編), 傳統蒙學叢書, 岳麓書社, 1987. 長沙 湖南.
≪續千字文≫, 喩岳衡(主編), 傳統蒙學叢書, 岳麓書社, 1987. 長沙 湖南.
≪再續千字文≫, 喩岳衡(主編), 傳統蒙學叢書, 岳麓書社, 1987. 長沙 湖南.
≪別本千字文≫, 喩岳衡(主編), 傳統蒙學叢書, 岳麓書社, 1987. 長沙 湖南.
≪敍古千文≫, 喩岳衡(主編), 傳統蒙學叢書, 岳麓書社, 1987. 長沙 湖南.
≪千字文釋義≫, 淸 汪嘯尹 纂輯, 孫謙益 參注, 上海古籍出版社, 上海, 1989. 2次印刷.(≪三字經≫ㆍ≪百家姓≫ㆍ≪千字文≫의 合本임)
≪白話千字文≫, 天津市古籍書店影印, 新華書店天津發行所發行, 1990.
≪千字文≫, 張兆裕(編), 北京燕山出版社, 1995. 北京.
≪千字文≫, 馬自毅(注譯), 三民書局, 2002. 臺北.
≪千字文≫, 編輯部, 香巷商務印書館, 2003. 홍콩.
≪三字經≫ㆍ≪百家姓≫ㆍ≪千字文≫, 鄭啓銅(註釋), 雲南大學出版社, 2004. 昆明.
≪中國名著≫(≪千字文≫ 부분), 姚麗萍ㆍ顔朝輝, 中國戲劇出版社, 2005. 北京.
≪千字文≫, 錢玄溟(編), ≪國學經典≫, 中國長安出版社, 2006. 北京.
[單行本類(韓國)]
≪千字文≫, 간년 미상(1500년대로 추정), 日本大東急記念文庫 수장, 영인본, 東京, 朝鮮學報93, 1979.
≪千字文≫, 1575, 日本東京大學 수장, 영인본, 서울, 단국대동양학연구소, 동양학총서3, 1973.
≪千字文≫, 韓石峯 筆, 內賜本, 1583, 경북 영주시 朴贊成 氏 수장. 영인본, 서울, 한국서지학회, 서지학7, 1981.
≪千字文≫, 韓石峯 筆, 日本國立公文書館 수장, 영인본, 서울, 단국대동양학연구소, 동양학총서3, 1973.
≪千字文≫, 1696(丙子年), 日本對馬歷史民俗博物館 수장.
≪千字文≫, 順天 曹溪山 松廣寺 開刊, 1730, 延世大學校 수장.
≪註解千字文≫, 洪聖源 筆, 南漢 開元寺 開刊, 1754(壬申), 서울대학교 奎章閣 수장.
≪註解千字文≫ 新增本, 洪泰運 筆, 京城 廣通坊 新刊, 1804(甲子), 국립중앙도서관 수장. 영인본, 서울, 단국대동양학연구소, 동양학총서3, 1973.
≪千字文≫, 松溪 筆, 日本 宮內廳 書陵部 수장. 영인본, 東京, 朝鮮學報98, 1981.
≪千字文≫, 李茂實 筆, 1894(甲午), 서울대학교 奎章閣 수장.
≪千字文≫, 李百沙 筆, 國立中央圖書館 수장.
≪智永草千字≫, 智永 筆, 서울대학교 奎章閣 수장.
≪眞草千文≫, 趙孟頫 筆, 完府, 南山房, 서울대학교 奎章閣 수장.
≪千字文≫, 朴彭年 筆, 서울대학교 奎章閣 수장.
≪千字文≫, 河西子 筆, 서울대학교 奎章閣 수장.
≪千字文≫, 河西子 筆, 계명대학교 수장.
≪草千字文≫, 韓石峯 筆, 國立中央圖書館 수장.
≪唐懷素草書千字文≫, 이현사, 1970.1.
≪註解千字文≫, 李敦柱, 博英文庫, 1971.
≪千字文≫, 李民樹(譯註), 을유문화사, 1972.1.
(新釋)≪千字文≫, 차상원, 선문출판사, 1972.1.
(原本)≪石峰千字文≫, 낙산서원, 1972.1.
(毛筆楷行草)≪三體千字文≫, 박효균, 강경문화사, 1976.1.
≪五體千字文≫, 우재영, 우일출판사, 1983.1.
≪石峰千字文≫ㆍ≪光州千字文≫ㆍ≪註解千字文≫, 東洋學硏究所, 檀國大出版部, 1984. 재판.
≪丙子本千字文≫, 崔世和, 古城本訓蒙字會考, 太學士, 1987.
(書隸)≪千字文≫, 이원영, 세익인쇄지기, 1989.1.
≪千字文字典≫, 경인문화사편집부, 경인문화사, 1990.1.
≪千字文≫(松廣寺板), 孫熙河, 太學士, 1993.
≪주흥사천자문≫, 안춘근, 범우사, 1994.
≪千字文資料集≫(地方千字文篇), 金履弘(외), 박이정, 1995.
≪천자문고전산책≫, 박광민, 넥서스, 1995.
≪千字文資料集≫, 李基文ㆍ孫熙河, 박이정, 1995.
≪다산千字文≫, 김대현, 다섯수레, 1999.
≪어린이천자문≫, 김한룡, 대일출판사, 1999.1.
≪註解千字文≫, 成百曉(譯註), 傳統文化硏究會, 2000. 初版11刷.
≪千字文을 통해 본 동양인의 삶과 지혜≫, 이돈주, 태학사, 2002.1.
≪천자문 학습과 필법≫(37), 여원구,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3.
≪욕망하는 천자문≫, 김근(저), 삼인, 2003.
≪草孫過庭千字文≫ 素菴先生 書, 현중화, 조범산방, 2003.1.
≪천자문≫, 정후수(주해), 장락, 2004. 3판.
≪김성동千字文≫, 김성동, 청년사, 2004.
(재미있는)≪천자문여행≫:동양학의 기반, 심현섭ㆍ심규하, 동인서원, 2004.1.
≪천자문≫, 안춘근, 범우사, 2005.1.
≪영어로 배우는 천자문≫, 최성호, 문창사, 2005.1.
≪行書千字文≫, 선주선, 서예문인화, 2006.1.
≪천자문뎐≫:신화ㆍ역사ㆍ문명으로 보는 125가지 이야기, 한정주, 포럼, 2006.1.
≪三體 千字文≫, 우병환 書, 서예문인화, 2007.1.
≪松隱隸書千字文≫, 백인선, 서예문인화, 2007.1.
≪隸書千字文≫, 정도준 씀, 서예문인화, 2007.1.
(산성 할아버지의)이야기 ≪천자문≫, 천명일, 지혜의 나무, 2007.1.
≪마음으로 보는 여행≫:250어구 속에 담긴 ≪천자문≫의 의미, 김홍선, 한솜미디어, 2007.1.
≪千字文釋義≫, 權卿相(編著), 형민사, 2008. 초판2쇄.
(鍾繇의 大敍事詩)≪千字文 易解≫, 이윤숙ㆍ이달원, 경연학당, 2008.1.
≪(한눈에 익히는) 천자문≫, 장개충, 나무의꿈, 2008.1.
≪千字文:바람보다 먼저 울세는 풀의 노래 -즈믄 글≫, 강상규, 어문학사, 2008.1.
≪(천개의 글씨 이야기가 있는) 千字文≫, 박종택, 서예문인화, 2008.1.
≪(천개의 글씨 이야기가 있는) 圖文千字文≫, 박종택, 서예문인화, 2008.1.
≪集字 秋史體 千字文≫, 이규환, 서예문인화, 2008.1.
≪(조기형의 새천년형) 千字文:두뇌를 깊고 넓게 해주는 우리나라 최초≫, 조기형, 화남, 2008.1.
≪참되고 바른 千字文과 그 글자들의 쓰임새≫, 유종택, 활도미디어, 2008.1.
≪(한자 원리로 배우는) 천자문≫, 박진구, 세손출판사 발행일 2008.1.
≪(알 듯 모를 듯한) 천자문의 비밀≫, 박진구, 세손출판사, 2008.1.
≪천자문≫, 권성희(지음), 행복한박물관, 2009.
≪張猛龍千字文≫, 윤신행, 서예문인화, 2009.1.
≪천자문 쉽게 알기:천자문 속 숨은 이야기≫, 원주용, 이담books, 2009.1.
[單行本類(日本)]
≪千字文≫, 小川環樹ㆍ木田章義(注解), 株式會社岩波書店, 東京. 2009. 16刷.
≪千字文≫, 小田準ㆍ安本健吉(注釋), 岩波書店, 東京. 昭和15年(1940). 第3刷.
≪唐歐陽詢史事帖≫ㆍ≪千字文≫ 이현사, 1981.1.
≪隋智永關中本千字文≫, 이현사, 1983.1.
[學位論文]
朝鮮時代 ≪千字文≫ 刊印本 硏究, 안미경,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2.
≪천자문≫의 訓에 관한 연구, 정대환,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1.2.
≪訓蒙字會≫ㆍ≪新增類合≫ㆍ≪千字文≫의 比較 考察, 민충환,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1.2.
漢字의 音ㆍ訓 硏究:≪千字文≫을 中心으로, 이대주,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2.
≪千字文≫ 字釋硏究:難解語의 語義究明을 中心으로, 손희하,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5.2.
≪千字文≫에 대한 國語學的 硏究, 윤흥섭,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7.2.
蒙學敎材로서의 ≪千字文≫, 김현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0.8.
≪千字文≫의 六書論的 연구, 오세호, 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1.2.
≪천자문≫ 새김[釋]의 연구, 이금녀,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2.
≪訓蒙字會≫와 ≪千字文≫의 字釋 비교 연구, 이정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8.
≪千字文≫의 異體字 硏究, 신동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2.
≪訓蒙字會≫와 ≪千字文≫의 漢字音과 訓의 變遷考, 박석근, 목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2.
≪천자문≫을 이용한 한자학습 CAI프로그램의 구현, 이회광,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2.
≪천자문≫ㆍ≪훈몽자회≫ㆍ≪新增類合≫ 字釋 연구, 오완규,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2.
≪천자문≫의 철학적 사유형태에 관한 연구, 이규희,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2.
≪천자문≫을 활용한 한자교육 방법 연구, 하문규,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2.
조선시대 ≪천자문≫의 역할, 남영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8.
한일한자음에 대한 대조연구:≪천자문≫ㆍ≪훈몽자회≫의 한자음을 중심으로, 곽성은, 성신여대 석사학위논문, 2006.2.
한국 ≪천자문≫에 관한 고찰:4종≪천자문≫을 중심으로, 박혜순, 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2.
[一般論考類]
≪千字文考≫, P.Pelliot 撰, 馮承鈞 譯, 圖書館學季刊 第六卷 第一期, 1932.
≪석봉천자문≫색인, 김성, 한글143, 한글학회, 1969.5.
石峯 ≪千字文≫에 대하여, 李基文, 국어국문학55-57호, 1972.
≪千字文解題≫, 李基文, 단국대 동양학총서3, 1973.
≪千字文≫에 나타난 書體 考察, 金鎬然, 書藝4, 월간서예사, 1974.
內閣本所藏 石峯 ≪千字文≫에 대하여, 安秉禧, 書誌學6호, 1974.
≪千字文≫의 來歷과 內容, 서예사, 오인섭7, 월간서예사, 1974.4.
≪千字文≫은 필요한 책인가, 권정석, 교육춘추1,9, 한국능력개발연구원, 1977.11.
≪千字文≫ 類選, 안춘근, 도서관234, 국립중앙도서관, 1978.12.
大東急記念文庫所藏 ≪千字文≫, 藤本幸夫, 朝鮮學報93, 1979.
朝鮮版 ≪千字文≫の系統, 藤本幸夫, 朝鮮學報94, 1980.
≪平北方言千字文≫, 金履浹, 方言3, 1980.
≪千字文≫에 대하여, 崔學根, 국어국문학83, 1980.
原本 石峯 ≪千字文≫에 대하여, 趙炳舜, 書誌學7호, 1981.
≪천자문≫ 연구1, 이기문, 한국문화2,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1981.
≪천자문≫의 계통, 안병희, 정신문화연구12, 한국학중앙연구원, 1982.4.
≪註解千字文≫의 複數字釋에 대하여, 최범훈, 국어국문학논문집12,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83.9.
≪천자문≫ 字音考, 도효근, 한국언어문학1229-1730, 한국언어문학회, 1984.
對馬歷史民俗資料館 所藏本의 ≪訓蒙字會≫와 ≪千字文≫, 崔世和, 佛敎美術8, 1985.
對馬歷史民俗資料館 所藏本의 ≪千字文≫ 字釋에 대하여, 崔世和, 日本學5, 東國大學校, 1986.
≪천자문≫의 釋에 대하여, 정성희, 국어과교육6, 부산교육대학 국어교육연구회, 1986.
≪千字文≫ 字釋 연구2, 손희아, 어문논총9,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회 1986.6.
對馬歷史民俗資料館藏本 ≪千字文≫의 字釋에 대하여, 최세화, 일본학5,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1986.3.
≪千字文≫ 訓의 語彙 變遷 硏究:名詞類 語를 中心으로, 박병철, 국어교육55,56合, 한국어교육학회, 1986.7.
≪千字文≫의 再檢討, 이우영ㆍ정진권, 어문연구53, 일조각, 1987.4.
七長寺本 ≪千字文≫ 硏究, 申景澈, 語文硏究 第18輯, 語文硏究會, 1988.
蒙學敎材로서의 ≪千字文≫, 김현규, 한문교육연구 제3권 제5호, 박이정, 1991.
≪千字文≫(杏谷本)의 새김 연구, 손희하,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회, 어문논총12,13, 1991.2.
≪千字文≫(杏谷本) 연구, 손희하, 한국언어문학30, 한국언어문학회, 1992.6.
영남대본 ≪千字文≫ 연구, 손희하, 국어국문학108, 국어국문학회, 1992.12.
송광사판 ≪千字文≫ 연구, 손희하, 한국언어문학31, 한국언어문학회, 1993.6.
朝鮮時代 ≪千字文≫ 現傳本에 관한 연구, 安美璟, 書誌學硏究17, 1994.
조선시대 아동교육 도서에 나타난 경제교육:≪천자문≫ㆍ≪동몽선습≫ㆍ≪격몽요결≫ㆍ≪명심보감≫ㆍ≪소학≫을 중심으로, 김상규, 초등교육연구논총7,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1995.4.
자석(字釋)과 문석(文釋)이 일치하는 ≪백련초해(百聯抄解)≫의 석(釋)에 관한 연구 -≪천자문≫ㆍ≪훈몽자회≫ 자석과의 비교를 통한 중세훈 설정을 중심으로-, 박병철, 구결연구1226-6019, 구결학회, 1997.
韓國本 ≪千字文≫의 異體字 比較 硏究, 신동희, 서지학연구13, 서지학회, 1997.6.
安平大君의 ≪眞草千字文≫:새로 發見된 石刻 拓本에 對하여, 한상봉, 고서연구16, 한국고서연구회, 1998.12.
≪千字文≫의 構成과 價値에 대한 硏究, 정후수, 동양고전연구11, 동양고전학회, 1998.12.
문화서당(文化書堂)(1):≪석봉천자문(石峰千字文)≫에 대하여, 이기문,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1999.
백제의 王仁이 일본에 論語와 ≪千字文≫을 전달한 것은 405년, 김순철, 제지계317, 한국제지공업연합회, 1999.2.
北岳 李海龍의 ≪千字文≫, 남권희, 문헌과해석 통권6호, 문헌과해석사, 1999봄.
韓日兩國の≪千字文≫に現れる異體字の類型と性格, 이건상, 진주산업대학교 논문집24, 인천대학교, 1999.12.
≪千字文≫과 그 用韻現象, 박만규, 중국학연구17, 중국학연구회, 1999.12.
冊板目錄을 통해 본 朝鮮時代 ≪千字文≫ 刊印 狀況, 안미경, 서지학보23, 한국서지학회, 1999.12.
朝鮮時代 漢字敎材 考察:≪千字文≫과 類合을 中心으로, 김종운, 한국어문교육9, 한국교원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00.2.
초등교재로서의 ≪천자문≫의 교육적 의미 분석, 우남희, 교육학연구 38,1, 한국교육학회, 2000.2.
1650年 木活字本으로 간행된 韓濩書 ≪千字文≫에 대하여, 남권희, 국어사자료연구 제2호, 국어사자료학회, 2001.2.
이무실 ≪千字文≫ 연구:갑오본을 중심으로, 손희하, 한중인문학연구 제5집, 중한인문과학연구회, 2000.12.
1650년 목활자본으로 간행된 한호서 ≪천자문≫에 대하여, 남권희, 국어사연구 제2호, 국어사학회, 2001.
화제의 어린이:한자신동 오주영 어린이 -4살 어린이가 ≪천자문≫을 줄줄 대학생보다 한자를 더 잘 알아-, 연합회 자료,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1.
李茂實 ≪千字文≫의 書誌的인 硏究, 안미경, 고인쇄문화 제8집, 청주고인쇄박물관, 2001.11.
≪천자문≫ 새김 어휘 연구:16세기 간행 ≪천자문≫의 명사류를 중심으로, 최지훈, 한국어의미학 제9호, 한국어의미학회, 2001.12.
일제시대 ≪천자문≫ 연구:판권지 분석을 중심으로, 안미경, 서지학연구 제22집, 서지학회, 2001.12.
장서각 소장 왕실≪千字文≫에 대하여, 박부자, 서지학보 제26호, 한국서지학회, 2002.12.
한자학습과 중국의 문화적 사실들을 알려주는 입문 교양서:≪千字文≫을 통해 본 동양인의 삶과 지혜 - 이돈주 著 書評, 김재승, 용봉논총인문학연구 제31집,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02.12.
명사 초대석:90에야 읽어 보는 ≪천자문≫과 ≪논어≫(1) -수필을 스쳐 교식으로-, 우형규,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3.
명사 초대석:90에야 읽어 보는 ≪천자문≫과 ≪논어≫(2) -수필을 스쳐 교식으로-, 우형규,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3.
한자교육에 앞장선 명사인터뷰:신입사원에게 ≪천자문≫을 10번 쓰게 하는 코리아나화장품 유상옥 회장,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3.
한글, 한자문화 칼럼:하늘천 땅지, 서당개 1년의 행운 -지금도 ≪천자문≫ 암기할 수 있어-, 문태성,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3.
‘李茂實書丁巳本’ ≪千字文≫ 연구, 손희하, 한국언어문학 제51집, 한국언어문학회, 2003.12.
≪春香傳≫과 ≪牡丹亭≫의 ≪千字文≫ 수용양상, 강영매, 중국어문학논집 제22호, 중국어문학연구회, 2003.2.
일제시대 ≪천자문≫의 종류와 특징, 안미경, 서지학연구 제26집, 서지학회, 2003.12.
≪천자문≫ 학습과 필법 49, 여원구,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4.
≪천자문≫을 활용한 어린이의 철학적 사고력 신장, 정보주, 초등교육연구 제14집, 진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04.2.
왕인의 ≪천자문≫ㆍ≪논어≫ 일본전수설 재검토, 이근우, 역사비평 통권69호, 역사비평사, 2004겨울.
21C 한국을 대표하는 신지성의 지식 교양 정보지:전시회 특집:백여종의 ≪천자문≫이 한자리에:하늘천 따지-≪천자문≫과 조선인의 생각,공부, 예술전, 연합회자료,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5.
5천년의 우리 역사가 살아 숨쉬는 우리 ≪천자문≫(51), 조갑여,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5.
≪천자문≫ 학습과 필법, 여원구,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5.
21C 한국을 대표하는 신지성의 지식 교양 정보지:한글+한자문화 칼럼:≪천자문≫을 왜 다시 하는가?, 김세환,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5.
≪註解千字文≫과 複數字釋, 박병철, 어문연구 33권4호 통권128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5겨울.
≪주해천자문(註解千字文≫의 단수자석(單數字釋)과 문맥지석(文脈之釋)의 반영에 관하여, 박병철, 구결연구1226-6019, 구결학회, 2006.
王仁は果たして≪千字文≫を傳來したのか, 이근우, 동북아시아문화학회 국제학술대회,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06.
5천년의 우리 역사가 살아 숨 쉬는 우리 ≪천자문≫63, 조갑여,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6.
한자교육자료:문화일보 2006년 3월 4일:한자어가 더 어울릴 때 / 중앙일보 2006년 3월 9일:“한자왕국” 중국, 인터넷언어 파괴로 “골머리” / 서울신문 2006년 3월 17일:한자 공부(工夫) 좀 해라 / 뉴스와이어 2006년 3월 21일:아직도 ≪천자문≫이야? - 한자 학습문화의 변화 / 연합뉴스 2006년 3월 23일:만화 한자학습서 “지나치게 흥미위주”, 정용환ㆍ박강문,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6.
≪註解千字文≫의 單數字釋과 文脈之釋의 반영에 관하여, 박병철, 구결연구제17집, 태학사, 2006.8.
≪千字文在韓流行及影響≫, 林東錫, 第9屆韓中文化論壇發表論文, 2007. 濟州.
≪천자문(千字文)≫의 “천지(天地)” 환경교육에 대한 한 시론(試論), 최재목, 양명학0916-2496, 한국양명학회. 2007.
(한자ㆍ중국어ㆍ일본어를 함께 배우는)韓中日 ≪千字文≫, 김낙구, 에세이, 2007.1.
≪千字文≫의 由來와 大意 考察, 김세환, 중국학연구 제42집, 중국학연구회, 2007.12.
21C 韓國을 대표하는 新知性의 지식 교양 정보지:기획논단:≪千字文≫의 訓音 中 問題點 - ≪石峰千字文≫을 中心으로, 진태하,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8.
국민으로서의 영어교육과 ≪천자문≫, 김인환, 대산문화재단 제27호, 대산문화재단, 2008년 봄호.
≪千字文≫에 나오는 漢字의 訓에 관한 硏究:文脈의 意味와 달리 나타나는 訓을 중심으로, 박병철, 국어국문학 제150호, 국어국문학회, 2008.12.
已丑新年과 王仁精神의 涵養 -王仁博士와 ≪千字文≫- 卷頭言, 홍윤기,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9.
≪정몽유어≫ㆍ≪아학편≫ㆍ≪천자문≫의 분포적 특성, 이광호, 언어과학연구제48집, 언어과학회, 2009.3.
≪千字文≫의 原流, 內容 및 韓國에서의 發展 상황 考察, 林東錫, ≪中國語文學會論集≫, 第56號. 中國語文學硏究會. 2009.6.
source :
註解千字文●주해천자문
http://db.cyberseodang.or.kr/front/main/main.do
註解千字文●주해천자문
http://www.kostma.net/
(도상주해)천자문 v1[(圖像註解)千字文 v1
http://yoksa.aks.ac.kr/jsp/aa/Directory.jsp?fcs=f&cf=a&gb=1
註解千字文●주해천자문
http://www.yasue.cc/thousand.html
註解千字文●주해천자문
http://jsg.aks.ac.kr/
四體千字文
http://dl.ndl.go.jp/info:ndljp/pid/910125
王羲之: 行千文
http://dl.ndl.go.jp/info:ndljp/pid/853356
楷行草隷四體千字文
http://dl.ndl.go.jp/info:ndljp/pid/1102856
十体千字文 : 鼇頭註解
http://dl.ndl.go.jp/info:ndljp/pid/853562
Mittwoch, 26. April 2017
朝中社 : 還好意思隨波逐流?
朝中社 : 還好意思隨波逐流?
朝中社 : 還好意思隨波逐流?
21日正筆發表題為《還好意思隨波逐流?》的評論。全文如下:
近期,朝鮮的周邊國家對美國在朝鮮半島水域集中空前龐大的戰略資產,把局勢推向戰爭邊緣三緘其口,
而對朝鮮針對性的自衛措施卻發表將採取 “必要的措施”、予以 “轉向水準的反應” 等公開威脅朝鮮的言論。
他們甚至吹牛說,朝鮮將頂不住什麼人的 “經濟制裁”,應重新考慮同他們的關係何等重要,他們可以保障朝鮮的安全並提供振興經濟所需的支持和幫助。
18日,他們還通過媒體主張,平壤的核導計畫使過去的對手美國變成了他們的合作者。
那麼試問,今後朝鮮該管它叫什麼?又該怎樣對待?
朝鮮的自衛性核遏制力是朝鮮軍民為捍衛國家和民族主權和生存權而勒緊腰帶打造的,絕非什麼交易品。
朝鮮迄今一直受到經濟制裁,但一直靠自己的力量沿著自己選擇的正義道路奮勇前進。
弱肉強食橫行霸道的當今現實令朝鮮銘刻這樣一個哲理:可以依靠的只有自己的力量,自力自強才是活路。
如果他們估錯朝鮮的意志,對人家隨波逐流,執著於對朝鮮經濟制裁,或許會得到朝鮮的敵人的欣賞,但也要對同朝鮮關係的災難性後果做好思想準備。
朝鮮將緊密凝結在敬愛的最高領導者周圍,靠自己的力量捍衛國家的尊嚴,建設人民的樂園。
朝中社
存以甘棠,去而益詠,樂殊貴賤,禮別尊卑,上和下睦,夫唱婦隨,
外受傅訓,入奉母儀,諸姑伯叔,猶子比兒,孔懷兄弟,同氣連枝,
交友投分,切磨箴規,仁慈隱惻,造次弗離,節義廉退,顛沛匪虧,
性靜情逸,心動神疲,守真誌滿,逐物意移,堅持雅操,好爵自縻.
朝中社 : 還好意思隨波逐流?
21日正筆發表題為《還好意思隨波逐流?》的評論。全文如下:
近期,朝鮮的周邊國家對美國在朝鮮半島水域集中空前龐大的戰略資產,把局勢推向戰爭邊緣三緘其口,
而對朝鮮針對性的自衛措施卻發表將採取 “必要的措施”、予以 “轉向水準的反應” 等公開威脅朝鮮的言論。
他們甚至吹牛說,朝鮮將頂不住什麼人的 “經濟制裁”,應重新考慮同他們的關係何等重要,他們可以保障朝鮮的安全並提供振興經濟所需的支持和幫助。
18日,他們還通過媒體主張,平壤的核導計畫使過去的對手美國變成了他們的合作者。
那麼試問,今後朝鮮該管它叫什麼?又該怎樣對待?
朝鮮的自衛性核遏制力是朝鮮軍民為捍衛國家和民族主權和生存權而勒緊腰帶打造的,絕非什麼交易品。
朝鮮迄今一直受到經濟制裁,但一直靠自己的力量沿著自己選擇的正義道路奮勇前進。
弱肉強食橫行霸道的當今現實令朝鮮銘刻這樣一個哲理:可以依靠的只有自己的力量,自力自強才是活路。
如果他們估錯朝鮮的意志,對人家隨波逐流,執著於對朝鮮經濟制裁,或許會得到朝鮮的敵人的欣賞,但也要對同朝鮮關係的災難性後果做好思想準備。
朝鮮將緊密凝結在敬愛的最高領導者周圍,靠自己的力量捍衛國家的尊嚴,建設人民的樂園。
朝中社
存以甘棠,去而益詠,樂殊貴賤,禮別尊卑,上和下睦,夫唱婦隨,
外受傅訓,入奉母儀,諸姑伯叔,猶子比兒,孔懷兄弟,同氣連枝,
交友投分,切磨箴規,仁慈隱惻,造次弗離,節義廉退,顛沛匪虧,
性靜情逸,心動神疲,守真誌滿,逐物意移,堅持雅操,好爵自縻.
Labels:
Descartes 笛卡兒,
Tillich : 田立克--存在主義神學,
WebGL,
機戰music,
王陽明 -- 傳習錄拾遺 51條,
香港廣東話俗語字典
六朝文絜 57.玉台新詠序:徐陵
六朝文絜 57.玉台新詠序:徐陵
《卷八 玉台新詠序》:徐陵
淩雲概日,由餘之所未窺;千戶萬門,張衡之所曾賦。周王璧台之上,漢帝 金屋之中,玉樹以珊瑚作枝,珠簾以玳瑁為柙。
其中有麗人焉。其人也,五陵豪 族,充選掖庭;四姓良家,馳名永巷。亦有潁川、新市,河間、觀津,本號嬌娥, 曾名巧笑。
楚王宮裡,無不推其細腰;魏國佳人,俱言訝其纖手。閱詩敦禮,非 直東鄰之自媒;婉約風流,無異西施之被教。弟兄協律,自小學歌;少長河陽, 由來能舞。
琵琶新曲,無待石崇;箜篌雜引,非因曹植。傳鼓瑟于楊家,得吹簫 于秦女。
至若寵聞長樂,陳後知而不平;畫出天仙,閼氏覽而遙妒。至如東鄰巧笑, 來侍寢於更衣;西子微顰,得橫陳於甲帳。
陪遊馺娑,騁纖腰於《結風》;長樂鴛鴦,奏新聲于度曲。妝鳴蟬之薄鬢,照墮馬之垂鬟。反插金鈿,橫抽寶樹。
南都石黛,最發雙蛾;北地燕脂,偏開兩靨。
亦有嶺上仙童,分丸魏帝;腰中寶鳳,授曆軒轅。金星與婺女爭華,麝月共 嫦娥競爽。驚鸞冶袖,時飄韓椽之香;飛燕長裾,宜結陳王之佩。
雖非圖畫,入甘泉而不分;言異神仙,戲陽臺而無別。真可謂傾國傾城,無對無雙者也。
加以天情開朗,逸思雕華,妙解文章,尤工詩賦。琉璃硯匣,終日隨身;翡翠筆床, 無時離手。清文滿篋,非惟芍藥之花;新制連篇,甯止蒲萄之樹。
九日登高,時有緣情之作;萬年公主,非無誄德之辭。其佳麗也如彼,其才情也如此。
既而椒宮苑轉,柘館陰岑,絳鶴晨嚴,銅蠡晝靜。三星未夕,不事懷衾;五日猶賒,誰能理曲。優遊少讬,寂寞多閑。厭長樂之疏鐘,勞中宮之緩箭。
輕身無力,怯南陽之擣衣;生長深宮,笑扶風之織錦。雖複投壺玉女,為歡盡於百驍; 爭博齊姬,心賞窮於六箸。無怡神于暇景,惟屬意於新詩。可得代彼萱蘇,微蠲 愁疾。
但往事名篇,當今巧制,分諸麟閣,散在鴻都。不及篇章,無由披覽。於是 然脂暝寫,弄墨晨書,撰錄豔歌,凡為十卷。
曾無參與《雅》、《頌》,亦靡濫 於風人。涇渭之間,若斯而已。於是麗以金箱,裝之寶軸。三台妙跡,龍伸蠖屈 之書;五色花箋,河北、膠東之紙。
高樓紅粉,仍定魯魚之文;辟惡生香,聊防 羽陵之蠹。靈飛六甲,高擅玉函;《鴻烈》仙方,長推丹枕。
至如青牛帳裡,餘曲未終;朱鳥窗前,新妝已竟。方當開茲縹帙,散此絛繩。
永對玩於書帷,長迴圈於纖手。豈如鄧學《春秋》,儒者之功難習;竇傳黃老, 金丹之術不成。固勝西蜀豪家,托情窮于魯殿;東儲甲觀,流詠止于《洞蕭》。
- -
六朝文絜 58.鄭眾論:梁元帝
《卷九 鄭眾論》:梁元帝
漢世銜命匈奴,困而不辱者,二人而已。子卿手持漢節,臥伏冰霜;仲師固 無下拜,隔絕水火。況複風生稽落,日隱龍堆;翰海飛沙,皋蘭走雪。
豈不酸鼻痛心,憶雒陽之宮陛;屑泣橫悲,想長安之城闕!直以為臣之道,義不為生;事君之節,生為義盡。豈望拔幽泉,出重仞,經長樂,抵未央。
及還望塞亭,來依 候火,傍觀上郡,側眺雲中。雖在己之願自隆,而於時之報未盡。
孌彼諸姬,聊同棄日。猗與彤管,麗矣香奩。
六朝文絜
http://www.saohua.com/shuku/gudian/liuchaowenxie/4.html
六朝文絜
http://wenxian.fanren8.com/08/02/4/1.htm
六朝文絜
http://www.daizhige.org/集藏/文总集/
六朝文絜
http://wenxian.fanren8.com/08/02/
文選(南朝梁)蕭統 (唐)李善注
http://www.guoxue123.com/jijijibu/0201/00zmwx/index.htm
1-全上古三代秦漢三國六朝文-清-嚴可均
2-全唐文-清-董誥
3-全遼文--陳述
4-六朝文絜-清-許梿
5-古文觀止-清-吳楚材
6-古文辭類纂-清-姚鼐
7-唐代墓誌彙編續集--
8-唐宋文醇-清-愛新覺羅弘曆
9-唐文拾遺續拾-清-陸心源
10-唐文續拾-清-陸心源
11-序跋集萃--
12-文章辨體匯選-明-賀複徴
13-文選-南朝梁-蕭統
14-文選昭明文選-南朝梁-蕭統
15-文選注-唐-李善
16-文選詳注-南朝梁-蕭統
17-新安文獻志-明-程敏政
18-明文衡-明-程敏政
19-明文霱-明-劉士鏻
20-晚明二十家小品--施蟄存
21-晚清文選--鄭振鐸
22-漢魏南北朝墓誌彙編--
23-清文精選--劉文武
24-皇明文征-明-何喬遠
25-經義模範-明-佚名
26-續碑傳選集--
27-遼文萃-清-王仁俊
28-香豔叢書-清-張廷華
29-駢體文鈔-清-李兆洛
復莊駢儷文榷(清)姚燮撰
駢雅訓籑(明)朱謀● 撰
理瀹駢文(清)吳師機撰, 棕亭駢體文鈔(清)金兆燕撰
有正味齋駢體文(清)吳錫麒撰
師伏堂駢文二種(清)皮錫瑞撰, 駢體文鈔(清)李兆洛輯
崇雅堂駢體文鈔 (清)胡敬撰, 國朝常州駢體文錄 屠寄輯
國朝駢體正宗 (清)曾燠輯, 國朝駢體正宗續編(清)張鳴珂輯
御定駢字類編(清)聖祖仁皇帝
御定駢字類編(清)吳士玉,(清)沈宗敬, 駢儷文(清)孔廣森撰
駢字分箋(清)程際盛撰
展碧山房駢體文選, 張文襄公駢文(清)張之洞撰
佩弦齋文存佩弦齋駢文存佩弦齋詩存(清)朱一新撰
駢文類苑「皇朝」(清)姚燮、張壽榮, 邃懷堂駢文牋註 袁翼、朱舲,文莫室駢文(清)王樹枬, 越縵堂駢體文(清)李慈銘、曽之撰
酌雅堂駢體文集 徐壽基
六官駢萃 張蔚春, 訓蒙駢句
六朝麗指 -孫徳謙
連珠-鈕琇 : 竹連珠 - 昭代叢書, 鈕琇 : 臨野堂詩文集29卷, 連珠-陳濟生 : 廣連珠- 昭代叢書, 連珠-王夫之 - 連珠二十八首- 姜齋文集
連珠-艷體連珠 清 吳江閨秀 葉小鸞瓊章 著,連珠-續艷體連珠 明-沈宜修 撰
文心雕龍
時古對類
http://ctext.org/wiki.pl?if=gb&chapter=62350
《卷八 玉台新詠序》:徐陵
淩雲概日,由餘之所未窺;千戶萬門,張衡之所曾賦。周王璧台之上,漢帝 金屋之中,玉樹以珊瑚作枝,珠簾以玳瑁為柙。
其中有麗人焉。其人也,五陵豪 族,充選掖庭;四姓良家,馳名永巷。亦有潁川、新市,河間、觀津,本號嬌娥, 曾名巧笑。
楚王宮裡,無不推其細腰;魏國佳人,俱言訝其纖手。閱詩敦禮,非 直東鄰之自媒;婉約風流,無異西施之被教。弟兄協律,自小學歌;少長河陽, 由來能舞。
琵琶新曲,無待石崇;箜篌雜引,非因曹植。傳鼓瑟于楊家,得吹簫 于秦女。
至若寵聞長樂,陳後知而不平;畫出天仙,閼氏覽而遙妒。至如東鄰巧笑, 來侍寢於更衣;西子微顰,得橫陳於甲帳。
陪遊馺娑,騁纖腰於《結風》;長樂鴛鴦,奏新聲于度曲。妝鳴蟬之薄鬢,照墮馬之垂鬟。反插金鈿,橫抽寶樹。
南都石黛,最發雙蛾;北地燕脂,偏開兩靨。
亦有嶺上仙童,分丸魏帝;腰中寶鳳,授曆軒轅。金星與婺女爭華,麝月共 嫦娥競爽。驚鸞冶袖,時飄韓椽之香;飛燕長裾,宜結陳王之佩。
雖非圖畫,入甘泉而不分;言異神仙,戲陽臺而無別。真可謂傾國傾城,無對無雙者也。
加以天情開朗,逸思雕華,妙解文章,尤工詩賦。琉璃硯匣,終日隨身;翡翠筆床, 無時離手。清文滿篋,非惟芍藥之花;新制連篇,甯止蒲萄之樹。
九日登高,時有緣情之作;萬年公主,非無誄德之辭。其佳麗也如彼,其才情也如此。
既而椒宮苑轉,柘館陰岑,絳鶴晨嚴,銅蠡晝靜。三星未夕,不事懷衾;五日猶賒,誰能理曲。優遊少讬,寂寞多閑。厭長樂之疏鐘,勞中宮之緩箭。
輕身無力,怯南陽之擣衣;生長深宮,笑扶風之織錦。雖複投壺玉女,為歡盡於百驍; 爭博齊姬,心賞窮於六箸。無怡神于暇景,惟屬意於新詩。可得代彼萱蘇,微蠲 愁疾。
但往事名篇,當今巧制,分諸麟閣,散在鴻都。不及篇章,無由披覽。於是 然脂暝寫,弄墨晨書,撰錄豔歌,凡為十卷。
曾無參與《雅》、《頌》,亦靡濫 於風人。涇渭之間,若斯而已。於是麗以金箱,裝之寶軸。三台妙跡,龍伸蠖屈 之書;五色花箋,河北、膠東之紙。
高樓紅粉,仍定魯魚之文;辟惡生香,聊防 羽陵之蠹。靈飛六甲,高擅玉函;《鴻烈》仙方,長推丹枕。
至如青牛帳裡,餘曲未終;朱鳥窗前,新妝已竟。方當開茲縹帙,散此絛繩。
永對玩於書帷,長迴圈於纖手。豈如鄧學《春秋》,儒者之功難習;竇傳黃老, 金丹之術不成。固勝西蜀豪家,托情窮于魯殿;東儲甲觀,流詠止于《洞蕭》。
- -
六朝文絜 58.鄭眾論:梁元帝
《卷九 鄭眾論》:梁元帝
漢世銜命匈奴,困而不辱者,二人而已。子卿手持漢節,臥伏冰霜;仲師固 無下拜,隔絕水火。況複風生稽落,日隱龍堆;翰海飛沙,皋蘭走雪。
豈不酸鼻痛心,憶雒陽之宮陛;屑泣橫悲,想長安之城闕!直以為臣之道,義不為生;事君之節,生為義盡。豈望拔幽泉,出重仞,經長樂,抵未央。
及還望塞亭,來依 候火,傍觀上郡,側眺雲中。雖在己之願自隆,而於時之報未盡。
孌彼諸姬,聊同棄日。猗與彤管,麗矣香奩。
六朝文絜
http://www.saohua.com/shuku/gudian/liuchaowenxie/4.html
六朝文絜
http://wenxian.fanren8.com/08/02/4/1.htm
六朝文絜
http://www.daizhige.org/集藏/文总集/
六朝文絜
http://wenxian.fanren8.com/08/02/
文選(南朝梁)蕭統 (唐)李善注
http://www.guoxue123.com/jijijibu/0201/00zmwx/index.htm
1-全上古三代秦漢三國六朝文-清-嚴可均
2-全唐文-清-董誥
3-全遼文--陳述
4-六朝文絜-清-許梿
5-古文觀止-清-吳楚材
6-古文辭類纂-清-姚鼐
7-唐代墓誌彙編續集--
8-唐宋文醇-清-愛新覺羅弘曆
9-唐文拾遺續拾-清-陸心源
10-唐文續拾-清-陸心源
11-序跋集萃--
12-文章辨體匯選-明-賀複徴
13-文選-南朝梁-蕭統
14-文選昭明文選-南朝梁-蕭統
15-文選注-唐-李善
16-文選詳注-南朝梁-蕭統
17-新安文獻志-明-程敏政
18-明文衡-明-程敏政
19-明文霱-明-劉士鏻
20-晚明二十家小品--施蟄存
21-晚清文選--鄭振鐸
22-漢魏南北朝墓誌彙編--
23-清文精選--劉文武
24-皇明文征-明-何喬遠
25-經義模範-明-佚名
26-續碑傳選集--
27-遼文萃-清-王仁俊
28-香豔叢書-清-張廷華
29-駢體文鈔-清-李兆洛
復莊駢儷文榷(清)姚燮撰
駢雅訓籑(明)朱謀● 撰
理瀹駢文(清)吳師機撰, 棕亭駢體文鈔(清)金兆燕撰
有正味齋駢體文(清)吳錫麒撰
師伏堂駢文二種(清)皮錫瑞撰, 駢體文鈔(清)李兆洛輯
崇雅堂駢體文鈔 (清)胡敬撰, 國朝常州駢體文錄 屠寄輯
國朝駢體正宗 (清)曾燠輯, 國朝駢體正宗續編(清)張鳴珂輯
御定駢字類編(清)聖祖仁皇帝
御定駢字類編(清)吳士玉,(清)沈宗敬, 駢儷文(清)孔廣森撰
駢字分箋(清)程際盛撰
展碧山房駢體文選, 張文襄公駢文(清)張之洞撰
佩弦齋文存佩弦齋駢文存佩弦齋詩存(清)朱一新撰
駢文類苑「皇朝」(清)姚燮、張壽榮, 邃懷堂駢文牋註 袁翼、朱舲,文莫室駢文(清)王樹枬, 越縵堂駢體文(清)李慈銘、曽之撰
酌雅堂駢體文集 徐壽基
六官駢萃 張蔚春, 訓蒙駢句
六朝麗指 -孫徳謙
連珠-鈕琇 : 竹連珠 - 昭代叢書, 鈕琇 : 臨野堂詩文集29卷, 連珠-陳濟生 : 廣連珠- 昭代叢書, 連珠-王夫之 - 連珠二十八首- 姜齋文集
連珠-艷體連珠 清 吳江閨秀 葉小鸞瓊章 著,連珠-續艷體連珠 明-沈宜修 撰
文心雕龍
時古對類
http://ctext.org/wiki.pl?if=gb&chapter=62350
Labels:
CS6223,
Tillich : 田立克--存在主義神學,
Ελληνική γλώσσα,
中國文化,
倫文敘全集--香港陳湘記圖書,
傳習錄 -- 卷上
千字文, 註解千字文 5 ●주해천자문 - 存以甘棠,去而益詠
千字文, 註解千字文 5 ●주해천자문 - 存以甘棠,去而益詠
千字文, 註解千字文 5 ●주해천자문 - 存以甘棠,去而益詠
存以甘棠,去而益詠,樂殊貴賤,禮別尊卑,上和下睦,夫唱婦隨,
外受傅訓,入奉母儀,諸姑伯叔,猶子比兒,孔懷兄弟,同氣連枝,
交友投分,切磨箴規,仁慈隱惻,造次弗離,節義廉退,顛沛匪虧,
性靜情逸,心動神疲,守真誌滿,逐物意移,堅持雅操,好爵自縻,
[單行本類(中國)]
四庫全書, 集部8, ≪梁文紀≫, 권14. 周興嗣 ≪千字文≫.
≪千字文釋義≫, 檀國大學校東洋學圖書室所藏.
≪千字文≫, 編輯部 國學出版社, 1973. 基隆 臺灣.
≪五體千字文≫, 天山出版社, 1981. 臺北.
≪千字文≫(注音詳解), 李炳傑(編註), 劉玉琛(校正), 學生出版社, 1982. 臺北.
≪歷代千字文≫(印本), 國立政治大學, 中文硏究所, 1984. 臺北.
≪千字文≫, 喩岳衡(主編), 傳統蒙學叢書, 岳麓書社, 1987. 長沙 湖南.
≪續千字文≫, 喩岳衡(主編), 傳統蒙學叢書, 岳麓書社, 1987. 長沙 湖南.
≪再續千字文≫, 喩岳衡(主編), 傳統蒙學叢書, 岳麓書社, 1987. 長沙 湖南.
≪別本千字文≫, 喩岳衡(主編), 傳統蒙學叢書, 岳麓書社, 1987. 長沙 湖南.
≪敍古千文≫, 喩岳衡(主編), 傳統蒙學叢書, 岳麓書社, 1987. 長沙 湖南.
≪千字文釋義≫, 淸 汪嘯尹 纂輯, 孫謙益 參注, 上海古籍出版社, 上海, 1989. 2次印刷.(≪三字經≫ㆍ≪百家姓≫ㆍ≪千字文≫의 合本임)
≪白話千字文≫, 天津市古籍書店影印, 新華書店天津發行所發行, 1990.
≪千字文≫, 張兆裕(編), 北京燕山出版社, 1995. 北京.
≪千字文≫, 馬自毅(注譯), 三民書局, 2002. 臺北.
≪千字文≫, 編輯部, 香巷商務印書館, 2003. 홍콩.
≪三字經≫ㆍ≪百家姓≫ㆍ≪千字文≫, 鄭啓銅(註釋), 雲南大學出版社, 2004. 昆明.
≪中國名著≫(≪千字文≫ 부분), 姚麗萍ㆍ顔朝輝, 中國戲劇出版社, 2005. 北京.
≪千字文≫, 錢玄溟(編), ≪國學經典≫, 中國長安出版社, 2006. 北京.
[單行本類(韓國)]
≪千字文≫, 간년 미상(1500년대로 추정), 日本大東急記念文庫 수장, 영인본, 東京, 朝鮮學報93, 1979.
≪千字文≫, 1575, 日本東京大學 수장, 영인본, 서울, 단국대동양학연구소, 동양학총서3, 1973.
≪千字文≫, 韓石峯 筆, 內賜本, 1583, 경북 영주시 朴贊成 氏 수장. 영인본, 서울, 한국서지학회, 서지학7, 1981.
≪千字文≫, 韓石峯 筆, 日本國立公文書館 수장, 영인본, 서울, 단국대동양학연구소, 동양학총서3, 1973.
≪千字文≫, 1696(丙子年), 日本對馬歷史民俗博物館 수장.
≪千字文≫, 順天 曹溪山 松廣寺 開刊, 1730, 延世大學校 수장.
≪註解千字文≫, 洪聖源 筆, 南漢 開元寺 開刊, 1754(壬申), 서울대학교 奎章閣 수장.
≪註解千字文≫ 新增本, 洪泰運 筆, 京城 廣通坊 新刊, 1804(甲子), 국립중앙도서관 수장. 영인본, 서울, 단국대동양학연구소, 동양학총서3, 1973.
≪千字文≫, 松溪 筆, 日本 宮內廳 書陵部 수장. 영인본, 東京, 朝鮮學報98, 1981.
≪千字文≫, 李茂實 筆, 1894(甲午), 서울대학교 奎章閣 수장.
≪千字文≫, 李百沙 筆, 國立中央圖書館 수장.
≪智永草千字≫, 智永 筆, 서울대학교 奎章閣 수장.
≪眞草千文≫, 趙孟頫 筆, 完府, 南山房, 서울대학교 奎章閣 수장.
≪千字文≫, 朴彭年 筆, 서울대학교 奎章閣 수장.
≪千字文≫, 河西子 筆, 서울대학교 奎章閣 수장.
≪千字文≫, 河西子 筆, 계명대학교 수장.
≪草千字文≫, 韓石峯 筆, 國立中央圖書館 수장.
≪唐懷素草書千字文≫, 이현사, 1970.1.
≪註解千字文≫, 李敦柱, 博英文庫, 1971.
≪千字文≫, 李民樹(譯註), 을유문화사, 1972.1.
(新釋)≪千字文≫, 차상원, 선문출판사, 1972.1.
(原本)≪石峰千字文≫, 낙산서원, 1972.1.
(毛筆楷行草)≪三體千字文≫, 박효균, 강경문화사, 1976.1.
≪五體千字文≫, 우재영, 우일출판사, 1983.1.
≪石峰千字文≫ㆍ≪光州千字文≫ㆍ≪註解千字文≫, 東洋學硏究所, 檀國大出版部, 1984. 재판.
≪丙子本千字文≫, 崔世和, 古城本訓蒙字會考, 太學士, 1987.
(書隸)≪千字文≫, 이원영, 세익인쇄지기, 1989.1.
≪千字文字典≫, 경인문화사편집부, 경인문화사, 1990.1.
≪千字文≫(松廣寺板), 孫熙河, 太學士, 1993.
≪주흥사천자문≫, 안춘근, 범우사, 1994.
≪千字文資料集≫(地方千字文篇), 金履弘(외), 박이정, 1995.
≪천자문고전산책≫, 박광민, 넥서스, 1995.
≪千字文資料集≫, 李基文ㆍ孫熙河, 박이정, 1995.
≪다산千字文≫, 김대현, 다섯수레, 1999.
≪어린이천자문≫, 김한룡, 대일출판사, 1999.1.
≪註解千字文≫, 成百曉(譯註), 傳統文化硏究會, 2000. 初版11刷.
≪千字文을 통해 본 동양인의 삶과 지혜≫, 이돈주, 태학사, 2002.1.
≪천자문 학습과 필법≫(37), 여원구,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3.
≪욕망하는 천자문≫, 김근(저), 삼인, 2003.
≪草孫過庭千字文≫ 素菴先生 書, 현중화, 조범산방, 2003.1.
≪천자문≫, 정후수(주해), 장락, 2004. 3판.
≪김성동千字文≫, 김성동, 청년사, 2004.
(재미있는)≪천자문여행≫:동양학의 기반, 심현섭ㆍ심규하, 동인서원, 2004.1.
≪천자문≫, 안춘근, 범우사, 2005.1.
≪영어로 배우는 천자문≫, 최성호, 문창사, 2005.1.
≪行書千字文≫, 선주선, 서예문인화, 2006.1.
≪천자문뎐≫:신화ㆍ역사ㆍ문명으로 보는 125가지 이야기, 한정주, 포럼, 2006.1.
≪三體 千字文≫, 우병환 書, 서예문인화, 2007.1.
≪松隱隸書千字文≫, 백인선, 서예문인화, 2007.1.
≪隸書千字文≫, 정도준 씀, 서예문인화, 2007.1.
(산성 할아버지의)이야기 ≪천자문≫, 천명일, 지혜의 나무, 2007.1.
≪마음으로 보는 여행≫:250어구 속에 담긴 ≪천자문≫의 의미, 김홍선, 한솜미디어, 2007.1.
≪千字文釋義≫, 權卿相(編著), 형민사, 2008. 초판2쇄.
(鍾繇의 大敍事詩)≪千字文 易解≫, 이윤숙ㆍ이달원, 경연학당, 2008.1.
≪(한눈에 익히는) 천자문≫, 장개충, 나무의꿈, 2008.1.
≪千字文:바람보다 먼저 울세는 풀의 노래 -즈믄 글≫, 강상규, 어문학사, 2008.1.
≪(천개의 글씨 이야기가 있는) 千字文≫, 박종택, 서예문인화, 2008.1.
≪(천개의 글씨 이야기가 있는) 圖文千字文≫, 박종택, 서예문인화, 2008.1.
≪集字 秋史體 千字文≫, 이규환, 서예문인화, 2008.1.
≪(조기형의 새천년형) 千字文:두뇌를 깊고 넓게 해주는 우리나라 최초≫, 조기형, 화남, 2008.1.
≪참되고 바른 千字文과 그 글자들의 쓰임새≫, 유종택, 활도미디어, 2008.1.
≪(한자 원리로 배우는) 천자문≫, 박진구, 세손출판사 발행일 2008.1.
≪(알 듯 모를 듯한) 천자문의 비밀≫, 박진구, 세손출판사, 2008.1.
≪천자문≫, 권성희(지음), 행복한박물관, 2009.
≪張猛龍千字文≫, 윤신행, 서예문인화, 2009.1.
≪천자문 쉽게 알기:천자문 속 숨은 이야기≫, 원주용, 이담books, 2009.1.
[單行本類(日本)]
≪千字文≫, 小川環樹ㆍ木田章義(注解), 株式會社岩波書店, 東京. 2009. 16刷.
≪千字文≫, 小田準ㆍ安本健吉(注釋), 岩波書店, 東京. 昭和15年(1940). 第3刷.
≪唐歐陽詢史事帖≫ㆍ≪千字文≫ 이현사, 1981.1.
≪隋智永關中本千字文≫, 이현사, 1983.1.
[學位論文]
朝鮮時代 ≪千字文≫ 刊印本 硏究, 안미경,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2.
≪천자문≫의 訓에 관한 연구, 정대환,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1.2.
≪訓蒙字會≫ㆍ≪新增類合≫ㆍ≪千字文≫의 比較 考察, 민충환,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1.2.
漢字의 音ㆍ訓 硏究:≪千字文≫을 中心으로, 이대주,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2.
≪千字文≫ 字釋硏究:難解語의 語義究明을 中心으로, 손희하,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5.2.
≪千字文≫에 대한 國語學的 硏究, 윤흥섭,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7.2.
蒙學敎材로서의 ≪千字文≫, 김현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0.8.
≪千字文≫의 六書論的 연구, 오세호, 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1.2.
≪천자문≫ 새김[釋]의 연구, 이금녀,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2.
≪訓蒙字會≫와 ≪千字文≫의 字釋 비교 연구, 이정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8.
≪千字文≫의 異體字 硏究, 신동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2.
≪訓蒙字會≫와 ≪千字文≫의 漢字音과 訓의 變遷考, 박석근, 목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2.
≪천자문≫을 이용한 한자학습 CAI프로그램의 구현, 이회광,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2.
≪천자문≫ㆍ≪훈몽자회≫ㆍ≪新增類合≫ 字釋 연구, 오완규,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2.
≪천자문≫의 철학적 사유형태에 관한 연구, 이규희,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2.
≪천자문≫을 활용한 한자교육 방법 연구, 하문규,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2.
조선시대 ≪천자문≫의 역할, 남영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8.
한일한자음에 대한 대조연구:≪천자문≫ㆍ≪훈몽자회≫의 한자음을 중심으로, 곽성은, 성신여대 석사학위논문, 2006.2.
한국 ≪천자문≫에 관한 고찰:4종≪천자문≫을 중심으로, 박혜순, 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2.
[一般論考類]
≪千字文考≫, P.Pelliot 撰, 馮承鈞 譯, 圖書館學季刊 第六卷 第一期, 1932.
≪석봉천자문≫색인, 김성, 한글143, 한글학회, 1969.5.
石峯 ≪千字文≫에 대하여, 李基文, 국어국문학55-57호, 1972.
≪千字文解題≫, 李基文, 단국대 동양학총서3, 1973.
≪千字文≫에 나타난 書體 考察, 金鎬然, 書藝4, 월간서예사, 1974.
內閣本所藏 石峯 ≪千字文≫에 대하여, 安秉禧, 書誌學6호, 1974.
≪千字文≫의 來歷과 內容, 서예사, 오인섭7, 월간서예사, 1974.4.
≪千字文≫은 필요한 책인가, 권정석, 교육춘추1,9, 한국능력개발연구원, 1977.11.
≪千字文≫ 類選, 안춘근, 도서관234, 국립중앙도서관, 1978.12.
大東急記念文庫所藏 ≪千字文≫, 藤本幸夫, 朝鮮學報93, 1979.
朝鮮版 ≪千字文≫の系統, 藤本幸夫, 朝鮮學報94, 1980.
≪平北方言千字文≫, 金履浹, 方言3, 1980.
≪千字文≫에 대하여, 崔學根, 국어국문학83, 1980.
原本 石峯 ≪千字文≫에 대하여, 趙炳舜, 書誌學7호, 1981.
≪천자문≫ 연구1, 이기문, 한국문화2,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1981.
≪천자문≫의 계통, 안병희, 정신문화연구12, 한국학중앙연구원, 1982.4.
≪註解千字文≫의 複數字釋에 대하여, 최범훈, 국어국문학논문집12,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83.9.
≪천자문≫ 字音考, 도효근, 한국언어문학1229-1730, 한국언어문학회, 1984.
對馬歷史民俗資料館 所藏本의 ≪訓蒙字會≫와 ≪千字文≫, 崔世和, 佛敎美術8, 1985.
對馬歷史民俗資料館 所藏本의 ≪千字文≫ 字釋에 대하여, 崔世和, 日本學5, 東國大學校, 1986.
≪천자문≫의 釋에 대하여, 정성희, 국어과교육6, 부산교육대학 국어교육연구회, 1986.
≪千字文≫ 字釋 연구2, 손희아, 어문논총9,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회 1986.6.
對馬歷史民俗資料館藏本 ≪千字文≫의 字釋에 대하여, 최세화, 일본학5,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1986.3.
≪千字文≫ 訓의 語彙 變遷 硏究:名詞類 語를 中心으로, 박병철, 국어교육55,56合, 한국어교육학회, 1986.7.
≪千字文≫의 再檢討, 이우영ㆍ정진권, 어문연구53, 일조각, 1987.4.
七長寺本 ≪千字文≫ 硏究, 申景澈, 語文硏究 第18輯, 語文硏究會, 1988.
蒙學敎材로서의 ≪千字文≫, 김현규, 한문교육연구 제3권 제5호, 박이정, 1991.
≪千字文≫(杏谷本)의 새김 연구, 손희하,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회, 어문논총12,13, 1991.2.
≪千字文≫(杏谷本) 연구, 손희하, 한국언어문학30, 한국언어문학회, 1992.6.
영남대본 ≪千字文≫ 연구, 손희하, 국어국문학108, 국어국문학회, 1992.12.
송광사판 ≪千字文≫ 연구, 손희하, 한국언어문학31, 한국언어문학회, 1993.6.
朝鮮時代 ≪千字文≫ 現傳本에 관한 연구, 安美璟, 書誌學硏究17, 1994.
조선시대 아동교육 도서에 나타난 경제교육:≪천자문≫ㆍ≪동몽선습≫ㆍ≪격몽요결≫ㆍ≪명심보감≫ㆍ≪소학≫을 중심으로, 김상규, 초등교육연구논총7,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1995.4.
자석(字釋)과 문석(文釋)이 일치하는 ≪백련초해(百聯抄解)≫의 석(釋)에 관한 연구 -≪천자문≫ㆍ≪훈몽자회≫ 자석과의 비교를 통한 중세훈 설정을 중심으로-, 박병철, 구결연구1226-6019, 구결학회, 1997.
韓國本 ≪千字文≫의 異體字 比較 硏究, 신동희, 서지학연구13, 서지학회, 1997.6.
安平大君의 ≪眞草千字文≫:새로 發見된 石刻 拓本에 對하여, 한상봉, 고서연구16, 한국고서연구회, 1998.12.
≪千字文≫의 構成과 價値에 대한 硏究, 정후수, 동양고전연구11, 동양고전학회, 1998.12.
문화서당(文化書堂)(1):≪석봉천자문(石峰千字文)≫에 대하여, 이기문,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1999.
백제의 王仁이 일본에 論語와 ≪千字文≫을 전달한 것은 405년, 김순철, 제지계317, 한국제지공업연합회, 1999.2.
北岳 李海龍의 ≪千字文≫, 남권희, 문헌과해석 통권6호, 문헌과해석사, 1999봄.
韓日兩國の≪千字文≫に現れる異體字の類型と性格, 이건상, 진주산업대학교 논문집24, 인천대학교, 1999.12.
≪千字文≫과 그 用韻現象, 박만규, 중국학연구17, 중국학연구회, 1999.12.
冊板目錄을 통해 본 朝鮮時代 ≪千字文≫ 刊印 狀況, 안미경, 서지학보23, 한국서지학회, 1999.12.
朝鮮時代 漢字敎材 考察:≪千字文≫과 類合을 中心으로, 김종운, 한국어문교육9, 한국교원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00.2.
초등교재로서의 ≪천자문≫의 교육적 의미 분석, 우남희, 교육학연구 38,1, 한국교육학회, 2000.2.
1650年 木活字本으로 간행된 韓濩書 ≪千字文≫에 대하여, 남권희, 국어사자료연구 제2호, 국어사자료학회, 2001.2.
이무실 ≪千字文≫ 연구:갑오본을 중심으로, 손희하, 한중인문학연구 제5집, 중한인문과학연구회, 2000.12.
1650년 목활자본으로 간행된 한호서 ≪천자문≫에 대하여, 남권희, 국어사연구 제2호, 국어사학회, 2001.
화제의 어린이:한자신동 오주영 어린이 -4살 어린이가 ≪천자문≫을 줄줄 대학생보다 한자를 더 잘 알아-, 연합회 자료,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1.
李茂實 ≪千字文≫의 書誌的인 硏究, 안미경, 고인쇄문화 제8집, 청주고인쇄박물관, 2001.11.
≪천자문≫ 새김 어휘 연구:16세기 간행 ≪천자문≫의 명사류를 중심으로, 최지훈, 한국어의미학 제9호, 한국어의미학회, 2001.12.
일제시대 ≪천자문≫ 연구:판권지 분석을 중심으로, 안미경, 서지학연구 제22집, 서지학회, 2001.12.
장서각 소장 왕실≪千字文≫에 대하여, 박부자, 서지학보 제26호, 한국서지학회, 2002.12.
한자학습과 중국의 문화적 사실들을 알려주는 입문 교양서:≪千字文≫을 통해 본 동양인의 삶과 지혜 - 이돈주 著 書評, 김재승, 용봉논총인문학연구 제31집,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02.12.
명사 초대석:90에야 읽어 보는 ≪천자문≫과 ≪논어≫(1) -수필을 스쳐 교식으로-, 우형규,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3.
명사 초대석:90에야 읽어 보는 ≪천자문≫과 ≪논어≫(2) -수필을 스쳐 교식으로-, 우형규,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3.
한자교육에 앞장선 명사인터뷰:신입사원에게 ≪천자문≫을 10번 쓰게 하는 코리아나화장품 유상옥 회장,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3.
한글, 한자문화 칼럼:하늘천 땅지, 서당개 1년의 행운 -지금도 ≪천자문≫ 암기할 수 있어-, 문태성,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3.
‘李茂實書丁巳本’ ≪千字文≫ 연구, 손희하, 한국언어문학 제51집, 한국언어문학회, 2003.12.
≪春香傳≫과 ≪牡丹亭≫의 ≪千字文≫ 수용양상, 강영매, 중국어문학논집 제22호, 중국어문학연구회, 2003.2.
일제시대 ≪천자문≫의 종류와 특징, 안미경, 서지학연구 제26집, 서지학회, 2003.12.
≪천자문≫ 학습과 필법 49, 여원구,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4.
≪천자문≫을 활용한 어린이의 철학적 사고력 신장, 정보주, 초등교육연구 제14집, 진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04.2.
왕인의 ≪천자문≫ㆍ≪논어≫ 일본전수설 재검토, 이근우, 역사비평 통권69호, 역사비평사, 2004겨울.
21C 한국을 대표하는 신지성의 지식 교양 정보지:전시회 특집:백여종의 ≪천자문≫이 한자리에:하늘천 따지-≪천자문≫과 조선인의 생각,공부, 예술전, 연합회자료,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5.
5천년의 우리 역사가 살아 숨쉬는 우리 ≪천자문≫(51), 조갑여,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5.
≪천자문≫ 학습과 필법, 여원구,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5.
21C 한국을 대표하는 신지성의 지식 교양 정보지:한글+한자문화 칼럼:≪천자문≫을 왜 다시 하는가?, 김세환,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5.
≪註解千字文≫과 複數字釋, 박병철, 어문연구 33권4호 통권128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5겨울.
≪주해천자문(註解千字文≫의 단수자석(單數字釋)과 문맥지석(文脈之釋)의 반영에 관하여, 박병철, 구결연구1226-6019, 구결학회, 2006.
王仁は果たして≪千字文≫を傳來したのか, 이근우, 동북아시아문화학회 국제학술대회,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06.
5천년의 우리 역사가 살아 숨 쉬는 우리 ≪천자문≫63, 조갑여,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6.
한자교육자료:문화일보 2006년 3월 4일:한자어가 더 어울릴 때 / 중앙일보 2006년 3월 9일:“한자왕국” 중국, 인터넷언어 파괴로 “골머리” / 서울신문 2006년 3월 17일:한자 공부(工夫) 좀 해라 / 뉴스와이어 2006년 3월 21일:아직도 ≪천자문≫이야? - 한자 학습문화의 변화 / 연합뉴스 2006년 3월 23일:만화 한자학습서 “지나치게 흥미위주”, 정용환ㆍ박강문,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6.
≪註解千字文≫의 單數字釋과 文脈之釋의 반영에 관하여, 박병철, 구결연구제17집, 태학사, 2006.8.
≪千字文在韓流行及影響≫, 林東錫, 第9屆韓中文化論壇發表論文, 2007. 濟州.
≪천자문(千字文)≫의 “천지(天地)” 환경교육에 대한 한 시론(試論), 최재목, 양명학0916-2496, 한국양명학회. 2007.
(한자ㆍ중국어ㆍ일본어를 함께 배우는)韓中日 ≪千字文≫, 김낙구, 에세이, 2007.1.
≪千字文≫의 由來와 大意 考察, 김세환, 중국학연구 제42집, 중국학연구회, 2007.12.
21C 韓國을 대표하는 新知性의 지식 교양 정보지:기획논단:≪千字文≫의 訓音 中 問題點 - ≪石峰千字文≫을 中心으로, 진태하,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8.
국민으로서의 영어교육과 ≪천자문≫, 김인환, 대산문화재단 제27호, 대산문화재단, 2008년 봄호.
≪千字文≫에 나오는 漢字의 訓에 관한 硏究:文脈의 意味와 달리 나타나는 訓을 중심으로, 박병철, 국어국문학 제150호, 국어국문학회, 2008.12.
已丑新年과 王仁精神의 涵養 -王仁博士와 ≪千字文≫- 卷頭言, 홍윤기,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9.
≪정몽유어≫ㆍ≪아학편≫ㆍ≪천자문≫의 분포적 특성, 이광호, 언어과학연구제48집, 언어과학회, 2009.3.
≪千字文≫의 原流, 內容 및 韓國에서의 發展 상황 考察, 林東錫, ≪中國語文學會論集≫, 第56號. 中國語文學硏究會. 2009.6.
source :
註解千字文●주해천자문
http://db.cyberseodang.or.kr/front/main/main.do
註解千字文●주해천자문
http://www.kostma.net/
(도상주해)천자문 v1[(圖像註解)千字文 v1
http://yoksa.aks.ac.kr/jsp/aa/Directory.jsp?fcs=f&cf=a&gb=1
註解千字文●주해천자문
http://www.yasue.cc/thousand.html
註解千字文●주해천자문
http://jsg.aks.ac.kr/
四體千字文
http://dl.ndl.go.jp/info:ndljp/pid/910125
王羲之: 行千文
http://dl.ndl.go.jp/info:ndljp/pid/853356
楷行草隷四體千字文
http://dl.ndl.go.jp/info:ndljp/pid/1102856
十体千字文 : 鼇頭註解
http://dl.ndl.go.jp/info:ndljp/pid/853562
千字文, 註解千字文 5 ●주해천자문 - 存以甘棠,去而益詠
存以甘棠,去而益詠,樂殊貴賤,禮別尊卑,上和下睦,夫唱婦隨,
外受傅訓,入奉母儀,諸姑伯叔,猶子比兒,孔懷兄弟,同氣連枝,
交友投分,切磨箴規,仁慈隱惻,造次弗離,節義廉退,顛沛匪虧,
性靜情逸,心動神疲,守真誌滿,逐物意移,堅持雅操,好爵自縻,
[單行本類(中國)]
四庫全書, 集部8, ≪梁文紀≫, 권14. 周興嗣 ≪千字文≫.
≪千字文釋義≫, 檀國大學校東洋學圖書室所藏.
≪千字文≫, 編輯部 國學出版社, 1973. 基隆 臺灣.
≪五體千字文≫, 天山出版社, 1981. 臺北.
≪千字文≫(注音詳解), 李炳傑(編註), 劉玉琛(校正), 學生出版社, 1982. 臺北.
≪歷代千字文≫(印本), 國立政治大學, 中文硏究所, 1984. 臺北.
≪千字文≫, 喩岳衡(主編), 傳統蒙學叢書, 岳麓書社, 1987. 長沙 湖南.
≪續千字文≫, 喩岳衡(主編), 傳統蒙學叢書, 岳麓書社, 1987. 長沙 湖南.
≪再續千字文≫, 喩岳衡(主編), 傳統蒙學叢書, 岳麓書社, 1987. 長沙 湖南.
≪別本千字文≫, 喩岳衡(主編), 傳統蒙學叢書, 岳麓書社, 1987. 長沙 湖南.
≪敍古千文≫, 喩岳衡(主編), 傳統蒙學叢書, 岳麓書社, 1987. 長沙 湖南.
≪千字文釋義≫, 淸 汪嘯尹 纂輯, 孫謙益 參注, 上海古籍出版社, 上海, 1989. 2次印刷.(≪三字經≫ㆍ≪百家姓≫ㆍ≪千字文≫의 合本임)
≪白話千字文≫, 天津市古籍書店影印, 新華書店天津發行所發行, 1990.
≪千字文≫, 張兆裕(編), 北京燕山出版社, 1995. 北京.
≪千字文≫, 馬自毅(注譯), 三民書局, 2002. 臺北.
≪千字文≫, 編輯部, 香巷商務印書館, 2003. 홍콩.
≪三字經≫ㆍ≪百家姓≫ㆍ≪千字文≫, 鄭啓銅(註釋), 雲南大學出版社, 2004. 昆明.
≪中國名著≫(≪千字文≫ 부분), 姚麗萍ㆍ顔朝輝, 中國戲劇出版社, 2005. 北京.
≪千字文≫, 錢玄溟(編), ≪國學經典≫, 中國長安出版社, 2006. 北京.
[單行本類(韓國)]
≪千字文≫, 간년 미상(1500년대로 추정), 日本大東急記念文庫 수장, 영인본, 東京, 朝鮮學報93, 1979.
≪千字文≫, 1575, 日本東京大學 수장, 영인본, 서울, 단국대동양학연구소, 동양학총서3, 1973.
≪千字文≫, 韓石峯 筆, 內賜本, 1583, 경북 영주시 朴贊成 氏 수장. 영인본, 서울, 한국서지학회, 서지학7, 1981.
≪千字文≫, 韓石峯 筆, 日本國立公文書館 수장, 영인본, 서울, 단국대동양학연구소, 동양학총서3, 1973.
≪千字文≫, 1696(丙子年), 日本對馬歷史民俗博物館 수장.
≪千字文≫, 順天 曹溪山 松廣寺 開刊, 1730, 延世大學校 수장.
≪註解千字文≫, 洪聖源 筆, 南漢 開元寺 開刊, 1754(壬申), 서울대학교 奎章閣 수장.
≪註解千字文≫ 新增本, 洪泰運 筆, 京城 廣通坊 新刊, 1804(甲子), 국립중앙도서관 수장. 영인본, 서울, 단국대동양학연구소, 동양학총서3, 1973.
≪千字文≫, 松溪 筆, 日本 宮內廳 書陵部 수장. 영인본, 東京, 朝鮮學報98, 1981.
≪千字文≫, 李茂實 筆, 1894(甲午), 서울대학교 奎章閣 수장.
≪千字文≫, 李百沙 筆, 國立中央圖書館 수장.
≪智永草千字≫, 智永 筆, 서울대학교 奎章閣 수장.
≪眞草千文≫, 趙孟頫 筆, 完府, 南山房, 서울대학교 奎章閣 수장.
≪千字文≫, 朴彭年 筆, 서울대학교 奎章閣 수장.
≪千字文≫, 河西子 筆, 서울대학교 奎章閣 수장.
≪千字文≫, 河西子 筆, 계명대학교 수장.
≪草千字文≫, 韓石峯 筆, 國立中央圖書館 수장.
≪唐懷素草書千字文≫, 이현사, 1970.1.
≪註解千字文≫, 李敦柱, 博英文庫, 1971.
≪千字文≫, 李民樹(譯註), 을유문화사, 1972.1.
(新釋)≪千字文≫, 차상원, 선문출판사, 1972.1.
(原本)≪石峰千字文≫, 낙산서원, 1972.1.
(毛筆楷行草)≪三體千字文≫, 박효균, 강경문화사, 1976.1.
≪五體千字文≫, 우재영, 우일출판사, 1983.1.
≪石峰千字文≫ㆍ≪光州千字文≫ㆍ≪註解千字文≫, 東洋學硏究所, 檀國大出版部, 1984. 재판.
≪丙子本千字文≫, 崔世和, 古城本訓蒙字會考, 太學士, 1987.
(書隸)≪千字文≫, 이원영, 세익인쇄지기, 1989.1.
≪千字文字典≫, 경인문화사편집부, 경인문화사, 1990.1.
≪千字文≫(松廣寺板), 孫熙河, 太學士, 1993.
≪주흥사천자문≫, 안춘근, 범우사, 1994.
≪千字文資料集≫(地方千字文篇), 金履弘(외), 박이정, 1995.
≪천자문고전산책≫, 박광민, 넥서스, 1995.
≪千字文資料集≫, 李基文ㆍ孫熙河, 박이정, 1995.
≪다산千字文≫, 김대현, 다섯수레, 1999.
≪어린이천자문≫, 김한룡, 대일출판사, 1999.1.
≪註解千字文≫, 成百曉(譯註), 傳統文化硏究會, 2000. 初版11刷.
≪千字文을 통해 본 동양인의 삶과 지혜≫, 이돈주, 태학사, 2002.1.
≪천자문 학습과 필법≫(37), 여원구,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3.
≪욕망하는 천자문≫, 김근(저), 삼인, 2003.
≪草孫過庭千字文≫ 素菴先生 書, 현중화, 조범산방, 2003.1.
≪천자문≫, 정후수(주해), 장락, 2004. 3판.
≪김성동千字文≫, 김성동, 청년사, 2004.
(재미있는)≪천자문여행≫:동양학의 기반, 심현섭ㆍ심규하, 동인서원, 2004.1.
≪천자문≫, 안춘근, 범우사, 2005.1.
≪영어로 배우는 천자문≫, 최성호, 문창사, 2005.1.
≪行書千字文≫, 선주선, 서예문인화, 2006.1.
≪천자문뎐≫:신화ㆍ역사ㆍ문명으로 보는 125가지 이야기, 한정주, 포럼, 2006.1.
≪三體 千字文≫, 우병환 書, 서예문인화, 2007.1.
≪松隱隸書千字文≫, 백인선, 서예문인화, 2007.1.
≪隸書千字文≫, 정도준 씀, 서예문인화, 2007.1.
(산성 할아버지의)이야기 ≪천자문≫, 천명일, 지혜의 나무, 2007.1.
≪마음으로 보는 여행≫:250어구 속에 담긴 ≪천자문≫의 의미, 김홍선, 한솜미디어, 2007.1.
≪千字文釋義≫, 權卿相(編著), 형민사, 2008. 초판2쇄.
(鍾繇의 大敍事詩)≪千字文 易解≫, 이윤숙ㆍ이달원, 경연학당, 2008.1.
≪(한눈에 익히는) 천자문≫, 장개충, 나무의꿈, 2008.1.
≪千字文:바람보다 먼저 울세는 풀의 노래 -즈믄 글≫, 강상규, 어문학사, 2008.1.
≪(천개의 글씨 이야기가 있는) 千字文≫, 박종택, 서예문인화, 2008.1.
≪(천개의 글씨 이야기가 있는) 圖文千字文≫, 박종택, 서예문인화, 2008.1.
≪集字 秋史體 千字文≫, 이규환, 서예문인화, 2008.1.
≪(조기형의 새천년형) 千字文:두뇌를 깊고 넓게 해주는 우리나라 최초≫, 조기형, 화남, 2008.1.
≪참되고 바른 千字文과 그 글자들의 쓰임새≫, 유종택, 활도미디어, 2008.1.
≪(한자 원리로 배우는) 천자문≫, 박진구, 세손출판사 발행일 2008.1.
≪(알 듯 모를 듯한) 천자문의 비밀≫, 박진구, 세손출판사, 2008.1.
≪천자문≫, 권성희(지음), 행복한박물관, 2009.
≪張猛龍千字文≫, 윤신행, 서예문인화, 2009.1.
≪천자문 쉽게 알기:천자문 속 숨은 이야기≫, 원주용, 이담books, 2009.1.
[單行本類(日本)]
≪千字文≫, 小川環樹ㆍ木田章義(注解), 株式會社岩波書店, 東京. 2009. 16刷.
≪千字文≫, 小田準ㆍ安本健吉(注釋), 岩波書店, 東京. 昭和15年(1940). 第3刷.
≪唐歐陽詢史事帖≫ㆍ≪千字文≫ 이현사, 1981.1.
≪隋智永關中本千字文≫, 이현사, 1983.1.
[學位論文]
朝鮮時代 ≪千字文≫ 刊印本 硏究, 안미경,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2.
≪천자문≫의 訓에 관한 연구, 정대환,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1.2.
≪訓蒙字會≫ㆍ≪新增類合≫ㆍ≪千字文≫의 比較 考察, 민충환,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1.2.
漢字의 音ㆍ訓 硏究:≪千字文≫을 中心으로, 이대주,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2.
≪千字文≫ 字釋硏究:難解語의 語義究明을 中心으로, 손희하,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5.2.
≪千字文≫에 대한 國語學的 硏究, 윤흥섭,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7.2.
蒙學敎材로서의 ≪千字文≫, 김현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0.8.
≪千字文≫의 六書論的 연구, 오세호, 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1.2.
≪천자문≫ 새김[釋]의 연구, 이금녀,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2.
≪訓蒙字會≫와 ≪千字文≫의 字釋 비교 연구, 이정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8.
≪千字文≫의 異體字 硏究, 신동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2.
≪訓蒙字會≫와 ≪千字文≫의 漢字音과 訓의 變遷考, 박석근, 목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2.
≪천자문≫을 이용한 한자학습 CAI프로그램의 구현, 이회광,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2.
≪천자문≫ㆍ≪훈몽자회≫ㆍ≪新增類合≫ 字釋 연구, 오완규,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2.
≪천자문≫의 철학적 사유형태에 관한 연구, 이규희,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2.
≪천자문≫을 활용한 한자교육 방법 연구, 하문규,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2.
조선시대 ≪천자문≫의 역할, 남영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8.
한일한자음에 대한 대조연구:≪천자문≫ㆍ≪훈몽자회≫의 한자음을 중심으로, 곽성은, 성신여대 석사학위논문, 2006.2.
한국 ≪천자문≫에 관한 고찰:4종≪천자문≫을 중심으로, 박혜순, 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2.
[一般論考類]
≪千字文考≫, P.Pelliot 撰, 馮承鈞 譯, 圖書館學季刊 第六卷 第一期, 1932.
≪석봉천자문≫색인, 김성, 한글143, 한글학회, 1969.5.
石峯 ≪千字文≫에 대하여, 李基文, 국어국문학55-57호, 1972.
≪千字文解題≫, 李基文, 단국대 동양학총서3, 1973.
≪千字文≫에 나타난 書體 考察, 金鎬然, 書藝4, 월간서예사, 1974.
內閣本所藏 石峯 ≪千字文≫에 대하여, 安秉禧, 書誌學6호, 1974.
≪千字文≫의 來歷과 內容, 서예사, 오인섭7, 월간서예사, 1974.4.
≪千字文≫은 필요한 책인가, 권정석, 교육춘추1,9, 한국능력개발연구원, 1977.11.
≪千字文≫ 類選, 안춘근, 도서관234, 국립중앙도서관, 1978.12.
大東急記念文庫所藏 ≪千字文≫, 藤本幸夫, 朝鮮學報93, 1979.
朝鮮版 ≪千字文≫の系統, 藤本幸夫, 朝鮮學報94, 1980.
≪平北方言千字文≫, 金履浹, 方言3, 1980.
≪千字文≫에 대하여, 崔學根, 국어국문학83, 1980.
原本 石峯 ≪千字文≫에 대하여, 趙炳舜, 書誌學7호, 1981.
≪천자문≫ 연구1, 이기문, 한국문화2,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1981.
≪천자문≫의 계통, 안병희, 정신문화연구12, 한국학중앙연구원, 1982.4.
≪註解千字文≫의 複數字釋에 대하여, 최범훈, 국어국문학논문집12,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83.9.
≪천자문≫ 字音考, 도효근, 한국언어문학1229-1730, 한국언어문학회, 1984.
對馬歷史民俗資料館 所藏本의 ≪訓蒙字會≫와 ≪千字文≫, 崔世和, 佛敎美術8, 1985.
對馬歷史民俗資料館 所藏本의 ≪千字文≫ 字釋에 대하여, 崔世和, 日本學5, 東國大學校, 1986.
≪천자문≫의 釋에 대하여, 정성희, 국어과교육6, 부산교육대학 국어교육연구회, 1986.
≪千字文≫ 字釋 연구2, 손희아, 어문논총9,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회 1986.6.
對馬歷史民俗資料館藏本 ≪千字文≫의 字釋에 대하여, 최세화, 일본학5,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1986.3.
≪千字文≫ 訓의 語彙 變遷 硏究:名詞類 語를 中心으로, 박병철, 국어교육55,56合, 한국어교육학회, 1986.7.
≪千字文≫의 再檢討, 이우영ㆍ정진권, 어문연구53, 일조각, 1987.4.
七長寺本 ≪千字文≫ 硏究, 申景澈, 語文硏究 第18輯, 語文硏究會, 1988.
蒙學敎材로서의 ≪千字文≫, 김현규, 한문교육연구 제3권 제5호, 박이정, 1991.
≪千字文≫(杏谷本)의 새김 연구, 손희하,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회, 어문논총12,13, 1991.2.
≪千字文≫(杏谷本) 연구, 손희하, 한국언어문학30, 한국언어문학회, 1992.6.
영남대본 ≪千字文≫ 연구, 손희하, 국어국문학108, 국어국문학회, 1992.12.
송광사판 ≪千字文≫ 연구, 손희하, 한국언어문학31, 한국언어문학회, 1993.6.
朝鮮時代 ≪千字文≫ 現傳本에 관한 연구, 安美璟, 書誌學硏究17, 1994.
조선시대 아동교육 도서에 나타난 경제교육:≪천자문≫ㆍ≪동몽선습≫ㆍ≪격몽요결≫ㆍ≪명심보감≫ㆍ≪소학≫을 중심으로, 김상규, 초등교육연구논총7,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1995.4.
자석(字釋)과 문석(文釋)이 일치하는 ≪백련초해(百聯抄解)≫의 석(釋)에 관한 연구 -≪천자문≫ㆍ≪훈몽자회≫ 자석과의 비교를 통한 중세훈 설정을 중심으로-, 박병철, 구결연구1226-6019, 구결학회, 1997.
韓國本 ≪千字文≫의 異體字 比較 硏究, 신동희, 서지학연구13, 서지학회, 1997.6.
安平大君의 ≪眞草千字文≫:새로 發見된 石刻 拓本에 對하여, 한상봉, 고서연구16, 한국고서연구회, 1998.12.
≪千字文≫의 構成과 價値에 대한 硏究, 정후수, 동양고전연구11, 동양고전학회, 1998.12.
문화서당(文化書堂)(1):≪석봉천자문(石峰千字文)≫에 대하여, 이기문,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1999.
백제의 王仁이 일본에 論語와 ≪千字文≫을 전달한 것은 405년, 김순철, 제지계317, 한국제지공업연합회, 1999.2.
北岳 李海龍의 ≪千字文≫, 남권희, 문헌과해석 통권6호, 문헌과해석사, 1999봄.
韓日兩國の≪千字文≫に現れる異體字の類型と性格, 이건상, 진주산업대학교 논문집24, 인천대학교, 1999.12.
≪千字文≫과 그 用韻現象, 박만규, 중국학연구17, 중국학연구회, 1999.12.
冊板目錄을 통해 본 朝鮮時代 ≪千字文≫ 刊印 狀況, 안미경, 서지학보23, 한국서지학회, 1999.12.
朝鮮時代 漢字敎材 考察:≪千字文≫과 類合을 中心으로, 김종운, 한국어문교육9, 한국교원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00.2.
초등교재로서의 ≪천자문≫의 교육적 의미 분석, 우남희, 교육학연구 38,1, 한국교육학회, 2000.2.
1650年 木活字本으로 간행된 韓濩書 ≪千字文≫에 대하여, 남권희, 국어사자료연구 제2호, 국어사자료학회, 2001.2.
이무실 ≪千字文≫ 연구:갑오본을 중심으로, 손희하, 한중인문학연구 제5집, 중한인문과학연구회, 2000.12.
1650년 목활자본으로 간행된 한호서 ≪천자문≫에 대하여, 남권희, 국어사연구 제2호, 국어사학회, 2001.
화제의 어린이:한자신동 오주영 어린이 -4살 어린이가 ≪천자문≫을 줄줄 대학생보다 한자를 더 잘 알아-, 연합회 자료,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1.
李茂實 ≪千字文≫의 書誌的인 硏究, 안미경, 고인쇄문화 제8집, 청주고인쇄박물관, 2001.11.
≪천자문≫ 새김 어휘 연구:16세기 간행 ≪천자문≫의 명사류를 중심으로, 최지훈, 한국어의미학 제9호, 한국어의미학회, 2001.12.
일제시대 ≪천자문≫ 연구:판권지 분석을 중심으로, 안미경, 서지학연구 제22집, 서지학회, 2001.12.
장서각 소장 왕실≪千字文≫에 대하여, 박부자, 서지학보 제26호, 한국서지학회, 2002.12.
한자학습과 중국의 문화적 사실들을 알려주는 입문 교양서:≪千字文≫을 통해 본 동양인의 삶과 지혜 - 이돈주 著 書評, 김재승, 용봉논총인문학연구 제31집,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02.12.
명사 초대석:90에야 읽어 보는 ≪천자문≫과 ≪논어≫(1) -수필을 스쳐 교식으로-, 우형규,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3.
명사 초대석:90에야 읽어 보는 ≪천자문≫과 ≪논어≫(2) -수필을 스쳐 교식으로-, 우형규,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3.
한자교육에 앞장선 명사인터뷰:신입사원에게 ≪천자문≫을 10번 쓰게 하는 코리아나화장품 유상옥 회장,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3.
한글, 한자문화 칼럼:하늘천 땅지, 서당개 1년의 행운 -지금도 ≪천자문≫ 암기할 수 있어-, 문태성,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3.
‘李茂實書丁巳本’ ≪千字文≫ 연구, 손희하, 한국언어문학 제51집, 한국언어문학회, 2003.12.
≪春香傳≫과 ≪牡丹亭≫의 ≪千字文≫ 수용양상, 강영매, 중국어문학논집 제22호, 중국어문학연구회, 2003.2.
일제시대 ≪천자문≫의 종류와 특징, 안미경, 서지학연구 제26집, 서지학회, 2003.12.
≪천자문≫ 학습과 필법 49, 여원구,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4.
≪천자문≫을 활용한 어린이의 철학적 사고력 신장, 정보주, 초등교육연구 제14집, 진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04.2.
왕인의 ≪천자문≫ㆍ≪논어≫ 일본전수설 재검토, 이근우, 역사비평 통권69호, 역사비평사, 2004겨울.
21C 한국을 대표하는 신지성의 지식 교양 정보지:전시회 특집:백여종의 ≪천자문≫이 한자리에:하늘천 따지-≪천자문≫과 조선인의 생각,공부, 예술전, 연합회자료,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5.
5천년의 우리 역사가 살아 숨쉬는 우리 ≪천자문≫(51), 조갑여,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5.
≪천자문≫ 학습과 필법, 여원구,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5.
21C 한국을 대표하는 신지성의 지식 교양 정보지:한글+한자문화 칼럼:≪천자문≫을 왜 다시 하는가?, 김세환,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5.
≪註解千字文≫과 複數字釋, 박병철, 어문연구 33권4호 통권128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5겨울.
≪주해천자문(註解千字文≫의 단수자석(單數字釋)과 문맥지석(文脈之釋)의 반영에 관하여, 박병철, 구결연구1226-6019, 구결학회, 2006.
王仁は果たして≪千字文≫を傳來したのか, 이근우, 동북아시아문화학회 국제학술대회,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06.
5천년의 우리 역사가 살아 숨 쉬는 우리 ≪천자문≫63, 조갑여,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6.
한자교육자료:문화일보 2006년 3월 4일:한자어가 더 어울릴 때 / 중앙일보 2006년 3월 9일:“한자왕국” 중국, 인터넷언어 파괴로 “골머리” / 서울신문 2006년 3월 17일:한자 공부(工夫) 좀 해라 / 뉴스와이어 2006년 3월 21일:아직도 ≪천자문≫이야? - 한자 학습문화의 변화 / 연합뉴스 2006년 3월 23일:만화 한자학습서 “지나치게 흥미위주”, 정용환ㆍ박강문,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6.
≪註解千字文≫의 單數字釋과 文脈之釋의 반영에 관하여, 박병철, 구결연구제17집, 태학사, 2006.8.
≪千字文在韓流行及影響≫, 林東錫, 第9屆韓中文化論壇發表論文, 2007. 濟州.
≪천자문(千字文)≫의 “천지(天地)” 환경교육에 대한 한 시론(試論), 최재목, 양명학0916-2496, 한국양명학회. 2007.
(한자ㆍ중국어ㆍ일본어를 함께 배우는)韓中日 ≪千字文≫, 김낙구, 에세이, 2007.1.
≪千字文≫의 由來와 大意 考察, 김세환, 중국학연구 제42집, 중국학연구회, 2007.12.
21C 韓國을 대표하는 新知性의 지식 교양 정보지:기획논단:≪千字文≫의 訓音 中 問題點 - ≪石峰千字文≫을 中心으로, 진태하,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8.
국민으로서의 영어교육과 ≪천자문≫, 김인환, 대산문화재단 제27호, 대산문화재단, 2008년 봄호.
≪千字文≫에 나오는 漢字의 訓에 관한 硏究:文脈의 意味와 달리 나타나는 訓을 중심으로, 박병철, 국어국문학 제150호, 국어국문학회, 2008.12.
已丑新年과 王仁精神의 涵養 -王仁博士와 ≪千字文≫- 卷頭言, 홍윤기,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9.
≪정몽유어≫ㆍ≪아학편≫ㆍ≪천자문≫의 분포적 특성, 이광호, 언어과학연구제48집, 언어과학회, 2009.3.
≪千字文≫의 原流, 內容 및 韓國에서의 發展 상황 考察, 林東錫, ≪中國語文學會論集≫, 第56號. 中國語文學硏究會. 2009.6.
source :
註解千字文●주해천자문
http://db.cyberseodang.or.kr/front/main/main.do
註解千字文●주해천자문
http://www.kostma.net/
(도상주해)천자문 v1[(圖像註解)千字文 v1
http://yoksa.aks.ac.kr/jsp/aa/Directory.jsp?fcs=f&cf=a&gb=1
註解千字文●주해천자문
http://www.yasue.cc/thousand.html
註解千字文●주해천자문
http://jsg.aks.ac.kr/
四體千字文
http://dl.ndl.go.jp/info:ndljp/pid/910125
王羲之: 行千文
http://dl.ndl.go.jp/info:ndljp/pid/853356
楷行草隷四體千字文
http://dl.ndl.go.jp/info:ndljp/pid/1102856
十体千字文 : 鼇頭註解
http://dl.ndl.go.jp/info:ndljp/pid/853562
Mittwoch, 19. April 2017
陳雲:中共的最佳戰略,是自己佔領北韓,危中取利,將軍事緩衝區推前到南韓邊界,大賺一場。
陳雲:中共的最佳戰略,是自己佔領北韓,危中取利,將軍事緩衝區推前到南韓邊界,大賺一場。
陳雲:專家的分析同陳雲早前提出的一樣,中共的最佳戰略,是自己佔領北韓,危中取利,將軍事緩衝區推前到南韓邊界,大賺一場。
至於美國,會用空投糧食援助的方式將平民引開,之後轟炸城市及軍事據點。
The experts' analyses coincide with what was proposed earlier by Wan Chin. The most preferable strategy for the Chinese commies is to occupy North Korea themselves,
which would enable them to make the most of the crisis, moving the military buffer zone forward to the border of South Korea, a huge gain for them.
As for the United States, her strategy is to lure the civilians away by dropping food aid, and afterwards, bomb the cities and other military strongholds.
當然,forget it. 毛澤東不在北京,毛澤東在香港。
Of course, forget it. Mao Zedong is not in Beijing. Mao Zedong is in Hong Kong.
https://zh-hk.facebook.com/HKTruthWanchin/posts/1439104989473334
--
陳雲:中國可以做的,是在此刻用威逼的方式取得北韓同意,佔領北韓,說是要拆除核武,之後在北韓建立軍事監護區。這樣美國無法攻擊北韓。
不過,當然要陳雲做中國總統才可以這樣做。
https://www.facebook.com/wan.chin.75/posts/10155116063507225
--
陳雲:青年新政是香港人的頭號大敵,是本土派的叛徒與仇人,他們混入我們陣營,與親泛民媒體互相呼應,竊據本土之名來污衊我們五年來的努力,
並且在宣誓就職期間惡意搗亂辱華,中共威脅人大釋法,他們不自行辭職,在法庭也不抗辯,達致破壞香港憲政、成立判例,
令到更多議員被DQ(惡果在波及四名其他泛民議員之後,極可能波及鄭松泰)。不明白箇中道理,沒所謂,各行其是。
永續基本法、奠定香港主權的行動是被港獨派聯合泛民毀滅的,行動失敗的後果,是香港陷入徹底的黑暗,今日大家都見到。
我們潔身自愛,但嫉惡如仇。我們只能失敗一次,不能失敗第二次。我不會參與補選,但我呼籲大家出盡全力,打擊及杯葛青年新政及其他所謂自決派參與補選。
(按:任何港獨派都是偽冒的,因為在香港的特殊憲政環境下,港獨的途徑只有武裝革命一條路,但任何港獨派都不敢提那條路。
然而,武裝革命的條件,陳雲在選舉之前是提過的:修憲自治不成功,香港只能武裝革命。)
https://www.facebook.com/wan.chin.75/posts/10155121684667225
復活節 特備節目 170417 p1 of 3 朝鮮半島危機: 古巴飛彈危機慢鏡重播
https://www.youtube.com/watch?v=Gn2SfRWeEcY&feature=youtu.be
尺璧非寶,寸陰是競, 資父事君,曰嚴與敬,
孝當竭力,忠則盡命,臨深履薄,夙興溫清,
似蘭斯馨,如松之盛,川流不息,淵澄取映,
容止若思,言辭安定,
陳雲:專家的分析同陳雲早前提出的一樣,中共的最佳戰略,是自己佔領北韓,危中取利,將軍事緩衝區推前到南韓邊界,大賺一場。
至於美國,會用空投糧食援助的方式將平民引開,之後轟炸城市及軍事據點。
The experts' analyses coincide with what was proposed earlier by Wan Chin. The most preferable strategy for the Chinese commies is to occupy North Korea themselves,
which would enable them to make the most of the crisis, moving the military buffer zone forward to the border of South Korea, a huge gain for them.
As for the United States, her strategy is to lure the civilians away by dropping food aid, and afterwards, bomb the cities and other military strongholds.
當然,forget it. 毛澤東不在北京,毛澤東在香港。
Of course, forget it. Mao Zedong is not in Beijing. Mao Zedong is in Hong Kong.
https://zh-hk.facebook.com/HKTruthWanchin/posts/1439104989473334
--
陳雲:中國可以做的,是在此刻用威逼的方式取得北韓同意,佔領北韓,說是要拆除核武,之後在北韓建立軍事監護區。這樣美國無法攻擊北韓。
不過,當然要陳雲做中國總統才可以這樣做。
https://www.facebook.com/wan.chin.75/posts/10155116063507225
--
陳雲:青年新政是香港人的頭號大敵,是本土派的叛徒與仇人,他們混入我們陣營,與親泛民媒體互相呼應,竊據本土之名來污衊我們五年來的努力,
並且在宣誓就職期間惡意搗亂辱華,中共威脅人大釋法,他們不自行辭職,在法庭也不抗辯,達致破壞香港憲政、成立判例,
令到更多議員被DQ(惡果在波及四名其他泛民議員之後,極可能波及鄭松泰)。不明白箇中道理,沒所謂,各行其是。
永續基本法、奠定香港主權的行動是被港獨派聯合泛民毀滅的,行動失敗的後果,是香港陷入徹底的黑暗,今日大家都見到。
我們潔身自愛,但嫉惡如仇。我們只能失敗一次,不能失敗第二次。我不會參與補選,但我呼籲大家出盡全力,打擊及杯葛青年新政及其他所謂自決派參與補選。
(按:任何港獨派都是偽冒的,因為在香港的特殊憲政環境下,港獨的途徑只有武裝革命一條路,但任何港獨派都不敢提那條路。
然而,武裝革命的條件,陳雲在選舉之前是提過的:修憲自治不成功,香港只能武裝革命。)
https://www.facebook.com/wan.chin.75/posts/10155121684667225
復活節 特備節目 170417 p1 of 3 朝鮮半島危機: 古巴飛彈危機慢鏡重播
https://www.youtube.com/watch?v=Gn2SfRWeEcY&feature=youtu.be
尺璧非寶,寸陰是競, 資父事君,曰嚴與敬,
孝當竭力,忠則盡命,臨深履薄,夙興溫清,
似蘭斯馨,如松之盛,川流不息,淵澄取映,
容止若思,言辭安定,
千字文, 註解千字文 4 ●주해천자문 -天地玄黃하고 宇宙洪荒
千字文, 註解千字文 4 ●주해천자문 -天地玄黃하고 宇宙洪荒
尺璧非寶,寸陰是競, 資父事君,曰嚴與敬,
孝當竭力,忠則盡命,臨深履薄,夙興溫清,
似蘭斯馨,如松之盛,川流不息,淵澄取映,
容止若思,言辭安定,
--
[單行本類(中國)]
四庫全書, 集部8, ≪梁文紀≫, 권14. 周興嗣 ≪千字文≫.
≪千字文釋義≫, 檀國大學校東洋學圖書室所藏.
≪千字文≫, 編輯部 國學出版社, 1973. 基隆 臺灣.
≪五體千字文≫, 天山出版社, 1981. 臺北.
≪千字文≫(注音詳解), 李炳傑(編註), 劉玉琛(校正), 學生出版社, 1982. 臺北.
≪歷代千字文≫(印本), 國立政治大學, 中文硏究所, 1984. 臺北.
≪千字文≫, 喩岳衡(主編), 傳統蒙學叢書, 岳麓書社, 1987. 長沙 湖南.
≪續千字文≫, 喩岳衡(主編), 傳統蒙學叢書, 岳麓書社, 1987. 長沙 湖南.
≪再續千字文≫, 喩岳衡(主編), 傳統蒙學叢書, 岳麓書社, 1987. 長沙 湖南.
≪別本千字文≫, 喩岳衡(主編), 傳統蒙學叢書, 岳麓書社, 1987. 長沙 湖南.
≪敍古千文≫, 喩岳衡(主編), 傳統蒙學叢書, 岳麓書社, 1987. 長沙 湖南.
≪千字文釋義≫, 淸 汪嘯尹 纂輯, 孫謙益 參注, 上海古籍出版社, 上海, 1989. 2次印刷.(≪三字經≫ㆍ≪百家姓≫ㆍ≪千字文≫의 合本임)
≪白話千字文≫, 天津市古籍書店影印, 新華書店天津發行所發行, 1990.
≪千字文≫, 張兆裕(編), 北京燕山出版社, 1995. 北京.
≪千字文≫, 馬自毅(注譯), 三民書局, 2002. 臺北.
≪千字文≫, 編輯部, 香巷商務印書館, 2003. 홍콩.
≪三字經≫ㆍ≪百家姓≫ㆍ≪千字文≫, 鄭啓銅(註釋), 雲南大學出版社, 2004. 昆明.
≪中國名著≫(≪千字文≫ 부분), 姚麗萍ㆍ顔朝輝, 中國戲劇出版社, 2005. 北京.
≪千字文≫, 錢玄溟(編), ≪國學經典≫, 中國長安出版社, 2006. 北京.
[單行本類(韓國)]
≪千字文≫, 간년 미상(1500년대로 추정), 日本大東急記念文庫 수장, 영인본, 東京, 朝鮮學報93, 1979.
≪千字文≫, 1575, 日本東京大學 수장, 영인본, 서울, 단국대동양학연구소, 동양학총서3, 1973.
≪千字文≫, 韓石峯 筆, 內賜本, 1583, 경북 영주시 朴贊成 氏 수장. 영인본, 서울, 한국서지학회, 서지학7, 1981.
≪千字文≫, 韓石峯 筆, 日本國立公文書館 수장, 영인본, 서울, 단국대동양학연구소, 동양학총서3, 1973.
≪千字文≫, 1696(丙子年), 日本對馬歷史民俗博物館 수장.
≪千字文≫, 順天 曹溪山 松廣寺 開刊, 1730, 延世大學校 수장.
≪註解千字文≫, 洪聖源 筆, 南漢 開元寺 開刊, 1754(壬申), 서울대학교 奎章閣 수장.
≪註解千字文≫ 新增本, 洪泰運 筆, 京城 廣通坊 新刊, 1804(甲子), 국립중앙도서관 수장. 영인본, 서울, 단국대동양학연구소, 동양학총서3, 1973.
≪千字文≫, 松溪 筆, 日本 宮內廳 書陵部 수장. 영인본, 東京, 朝鮮學報98, 1981.
≪千字文≫, 李茂實 筆, 1894(甲午), 서울대학교 奎章閣 수장.
≪千字文≫, 李百沙 筆, 國立中央圖書館 수장.
≪智永草千字≫, 智永 筆, 서울대학교 奎章閣 수장.
≪眞草千文≫, 趙孟頫 筆, 完府, 南山房, 서울대학교 奎章閣 수장.
≪千字文≫, 朴彭年 筆, 서울대학교 奎章閣 수장.
≪千字文≫, 河西子 筆, 서울대학교 奎章閣 수장.
≪千字文≫, 河西子 筆, 계명대학교 수장.
≪草千字文≫, 韓石峯 筆, 國立中央圖書館 수장.
≪唐懷素草書千字文≫, 이현사, 1970.1.
≪註解千字文≫, 李敦柱, 博英文庫, 1971.
≪千字文≫, 李民樹(譯註), 을유문화사, 1972.1.
(新釋)≪千字文≫, 차상원, 선문출판사, 1972.1.
(原本)≪石峰千字文≫, 낙산서원, 1972.1.
(毛筆楷行草)≪三體千字文≫, 박효균, 강경문화사, 1976.1.
≪五體千字文≫, 우재영, 우일출판사, 1983.1.
≪石峰千字文≫ㆍ≪光州千字文≫ㆍ≪註解千字文≫, 東洋學硏究所, 檀國大出版部, 1984. 재판.
≪丙子本千字文≫, 崔世和, 古城本訓蒙字會考, 太學士, 1987.
(書隸)≪千字文≫, 이원영, 세익인쇄지기, 1989.1.
≪千字文字典≫, 경인문화사편집부, 경인문화사, 1990.1.
≪千字文≫(松廣寺板), 孫熙河, 太學士, 1993.
≪주흥사천자문≫, 안춘근, 범우사, 1994.
≪千字文資料集≫(地方千字文篇), 金履弘(외), 박이정, 1995.
≪천자문고전산책≫, 박광민, 넥서스, 1995.
≪千字文資料集≫, 李基文ㆍ孫熙河, 박이정, 1995.
≪다산千字文≫, 김대현, 다섯수레, 1999.
≪어린이천자문≫, 김한룡, 대일출판사, 1999.1.
≪註解千字文≫, 成百曉(譯註), 傳統文化硏究會, 2000. 初版11刷.
≪千字文을 통해 본 동양인의 삶과 지혜≫, 이돈주, 태학사, 2002.1.
≪천자문 학습과 필법≫(37), 여원구,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3.
≪욕망하는 천자문≫, 김근(저), 삼인, 2003.
≪草孫過庭千字文≫ 素菴先生 書, 현중화, 조범산방, 2003.1.
≪천자문≫, 정후수(주해), 장락, 2004. 3판.
≪김성동千字文≫, 김성동, 청년사, 2004.
(재미있는)≪천자문여행≫:동양학의 기반, 심현섭ㆍ심규하, 동인서원, 2004.1.
≪천자문≫, 안춘근, 범우사, 2005.1.
≪영어로 배우는 천자문≫, 최성호, 문창사, 2005.1.
≪行書千字文≫, 선주선, 서예문인화, 2006.1.
≪천자문뎐≫:신화ㆍ역사ㆍ문명으로 보는 125가지 이야기, 한정주, 포럼, 2006.1.
≪三體 千字文≫, 우병환 書, 서예문인화, 2007.1.
≪松隱隸書千字文≫, 백인선, 서예문인화, 2007.1.
≪隸書千字文≫, 정도준 씀, 서예문인화, 2007.1.
(산성 할아버지의)이야기 ≪천자문≫, 천명일, 지혜의 나무, 2007.1.
≪마음으로 보는 여행≫:250어구 속에 담긴 ≪천자문≫의 의미, 김홍선, 한솜미디어, 2007.1.
≪千字文釋義≫, 權卿相(編著), 형민사, 2008. 초판2쇄.
(鍾繇의 大敍事詩)≪千字文 易解≫, 이윤숙ㆍ이달원, 경연학당, 2008.1.
≪(한눈에 익히는) 천자문≫, 장개충, 나무의꿈, 2008.1.
≪千字文:바람보다 먼저 울세는 풀의 노래 -즈믄 글≫, 강상규, 어문학사, 2008.1.
≪(천개의 글씨 이야기가 있는) 千字文≫, 박종택, 서예문인화, 2008.1.
≪(천개의 글씨 이야기가 있는) 圖文千字文≫, 박종택, 서예문인화, 2008.1.
≪集字 秋史體 千字文≫, 이규환, 서예문인화, 2008.1.
≪(조기형의 새천년형) 千字文:두뇌를 깊고 넓게 해주는 우리나라 최초≫, 조기형, 화남, 2008.1.
≪참되고 바른 千字文과 그 글자들의 쓰임새≫, 유종택, 활도미디어, 2008.1.
≪(한자 원리로 배우는) 천자문≫, 박진구, 세손출판사 발행일 2008.1.
≪(알 듯 모를 듯한) 천자문의 비밀≫, 박진구, 세손출판사, 2008.1.
≪천자문≫, 권성희(지음), 행복한박물관, 2009.
≪張猛龍千字文≫, 윤신행, 서예문인화, 2009.1.
≪천자문 쉽게 알기:천자문 속 숨은 이야기≫, 원주용, 이담books, 2009.1.
[單行本類(日本)]
≪千字文≫, 小川環樹ㆍ木田章義(注解), 株式會社岩波書店, 東京. 2009. 16刷.
≪千字文≫, 小田準ㆍ安本健吉(注釋), 岩波書店, 東京. 昭和15年(1940). 第3刷.
≪唐歐陽詢史事帖≫ㆍ≪千字文≫ 이현사, 1981.1.
≪隋智永關中本千字文≫, 이현사, 1983.1.
[學位論文]
朝鮮時代 ≪千字文≫ 刊印本 硏究, 안미경,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2.
≪천자문≫의 訓에 관한 연구, 정대환,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1.2.
≪訓蒙字會≫ㆍ≪新增類合≫ㆍ≪千字文≫의 比較 考察, 민충환,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1.2.
漢字의 音ㆍ訓 硏究:≪千字文≫을 中心으로, 이대주,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2.
≪千字文≫ 字釋硏究:難解語의 語義究明을 中心으로, 손희하,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5.2.
≪千字文≫에 대한 國語學的 硏究, 윤흥섭,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7.2.
蒙學敎材로서의 ≪千字文≫, 김현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0.8.
≪千字文≫의 六書論的 연구, 오세호, 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1.2.
≪천자문≫ 새김[釋]의 연구, 이금녀,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2.
≪訓蒙字會≫와 ≪千字文≫의 字釋 비교 연구, 이정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8.
≪千字文≫의 異體字 硏究, 신동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2.
≪訓蒙字會≫와 ≪千字文≫의 漢字音과 訓의 變遷考, 박석근, 목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2.
≪천자문≫을 이용한 한자학습 CAI프로그램의 구현, 이회광,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2.
≪천자문≫ㆍ≪훈몽자회≫ㆍ≪新增類合≫ 字釋 연구, 오완규,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2.
≪천자문≫의 철학적 사유형태에 관한 연구, 이규희,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2.
≪천자문≫을 활용한 한자교육 방법 연구, 하문규,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2.
조선시대 ≪천자문≫의 역할, 남영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8.
한일한자음에 대한 대조연구:≪천자문≫ㆍ≪훈몽자회≫의 한자음을 중심으로, 곽성은, 성신여대 석사학위논문, 2006.2.
한국 ≪천자문≫에 관한 고찰:4종≪천자문≫을 중심으로, 박혜순, 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2.
[一般論考類]
≪千字文考≫, P.Pelliot 撰, 馮承鈞 譯, 圖書館學季刊 第六卷 第一期, 1932.
≪석봉천자문≫색인, 김성, 한글143, 한글학회, 1969.5.
石峯 ≪千字文≫에 대하여, 李基文, 국어국문학55-57호, 1972.
≪千字文解題≫, 李基文, 단국대 동양학총서3, 1973.
≪千字文≫에 나타난 書體 考察, 金鎬然, 書藝4, 월간서예사, 1974.
內閣本所藏 石峯 ≪千字文≫에 대하여, 安秉禧, 書誌學6호, 1974.
≪千字文≫의 來歷과 內容, 서예사, 오인섭7, 월간서예사, 1974.4.
≪千字文≫은 필요한 책인가, 권정석, 교육춘추1,9, 한국능력개발연구원, 1977.11.
≪千字文≫ 類選, 안춘근, 도서관234, 국립중앙도서관, 1978.12.
大東急記念文庫所藏 ≪千字文≫, 藤本幸夫, 朝鮮學報93, 1979.
朝鮮版 ≪千字文≫の系統, 藤本幸夫, 朝鮮學報94, 1980.
≪平北方言千字文≫, 金履浹, 方言3, 1980.
≪千字文≫에 대하여, 崔學根, 국어국문학83, 1980.
原本 石峯 ≪千字文≫에 대하여, 趙炳舜, 書誌學7호, 1981.
≪천자문≫ 연구1, 이기문, 한국문화2,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1981.
≪천자문≫의 계통, 안병희, 정신문화연구12, 한국학중앙연구원, 1982.4.
≪註解千字文≫의 複數字釋에 대하여, 최범훈, 국어국문학논문집12,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83.9.
≪천자문≫ 字音考, 도효근, 한국언어문학1229-1730, 한국언어문학회, 1984.
對馬歷史民俗資料館 所藏本의 ≪訓蒙字會≫와 ≪千字文≫, 崔世和, 佛敎美術8, 1985.
對馬歷史民俗資料館 所藏本의 ≪千字文≫ 字釋에 대하여, 崔世和, 日本學5, 東國大學校, 1986.
≪천자문≫의 釋에 대하여, 정성희, 국어과교육6, 부산교육대학 국어교육연구회, 1986.
≪千字文≫ 字釋 연구2, 손희아, 어문논총9,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회 1986.6.
對馬歷史民俗資料館藏本 ≪千字文≫의 字釋에 대하여, 최세화, 일본학5,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1986.3.
≪千字文≫ 訓의 語彙 變遷 硏究:名詞類 語를 中心으로, 박병철, 국어교육55,56合, 한국어교육학회, 1986.7.
≪千字文≫의 再檢討, 이우영ㆍ정진권, 어문연구53, 일조각, 1987.4.
七長寺本 ≪千字文≫ 硏究, 申景澈, 語文硏究 第18輯, 語文硏究會, 1988.
蒙學敎材로서의 ≪千字文≫, 김현규, 한문교육연구 제3권 제5호, 박이정, 1991.
≪千字文≫(杏谷本)의 새김 연구, 손희하,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회, 어문논총12,13, 1991.2.
≪千字文≫(杏谷本) 연구, 손희하, 한국언어문학30, 한국언어문학회, 1992.6.
영남대본 ≪千字文≫ 연구, 손희하, 국어국문학108, 국어국문학회, 1992.12.
송광사판 ≪千字文≫ 연구, 손희하, 한국언어문학31, 한국언어문학회, 1993.6.
朝鮮時代 ≪千字文≫ 現傳本에 관한 연구, 安美璟, 書誌學硏究17, 1994.
조선시대 아동교육 도서에 나타난 경제교육:≪천자문≫ㆍ≪동몽선습≫ㆍ≪격몽요결≫ㆍ≪명심보감≫ㆍ≪소학≫을 중심으로, 김상규, 초등교육연구논총7,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1995.4.
자석(字釋)과 문석(文釋)이 일치하는 ≪백련초해(百聯抄解)≫의 석(釋)에 관한 연구 -≪천자문≫ㆍ≪훈몽자회≫ 자석과의 비교를 통한 중세훈 설정을 중심으로-, 박병철, 구결연구1226-6019, 구결학회, 1997.
韓國本 ≪千字文≫의 異體字 比較 硏究, 신동희, 서지학연구13, 서지학회, 1997.6.
安平大君의 ≪眞草千字文≫:새로 發見된 石刻 拓本에 對하여, 한상봉, 고서연구16, 한국고서연구회, 1998.12.
≪千字文≫의 構成과 價値에 대한 硏究, 정후수, 동양고전연구11, 동양고전학회, 1998.12.
문화서당(文化書堂)(1):≪석봉천자문(石峰千字文)≫에 대하여, 이기문,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1999.
백제의 王仁이 일본에 論語와 ≪千字文≫을 전달한 것은 405년, 김순철, 제지계317, 한국제지공업연합회, 1999.2.
北岳 李海龍의 ≪千字文≫, 남권희, 문헌과해석 통권6호, 문헌과해석사, 1999봄.
韓日兩國の≪千字文≫に現れる異體字の類型と性格, 이건상, 진주산업대학교 논문집24, 인천대학교, 1999.12.
≪千字文≫과 그 用韻現象, 박만규, 중국학연구17, 중국학연구회, 1999.12.
冊板目錄을 통해 본 朝鮮時代 ≪千字文≫ 刊印 狀況, 안미경, 서지학보23, 한국서지학회, 1999.12.
朝鮮時代 漢字敎材 考察:≪千字文≫과 類合을 中心으로, 김종운, 한국어문교육9, 한국교원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00.2.
초등교재로서의 ≪천자문≫의 교육적 의미 분석, 우남희, 교육학연구 38,1, 한국교육학회, 2000.2.
1650年 木活字本으로 간행된 韓濩書 ≪千字文≫에 대하여, 남권희, 국어사자료연구 제2호, 국어사자료학회, 2001.2.
이무실 ≪千字文≫ 연구:갑오본을 중심으로, 손희하, 한중인문학연구 제5집, 중한인문과학연구회, 2000.12.
1650년 목활자본으로 간행된 한호서 ≪천자문≫에 대하여, 남권희, 국어사연구 제2호, 국어사학회, 2001.
화제의 어린이:한자신동 오주영 어린이 -4살 어린이가 ≪천자문≫을 줄줄 대학생보다 한자를 더 잘 알아-, 연합회 자료,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1.
李茂實 ≪千字文≫의 書誌的인 硏究, 안미경, 고인쇄문화 제8집, 청주고인쇄박물관, 2001.11.
≪천자문≫ 새김 어휘 연구:16세기 간행 ≪천자문≫의 명사류를 중심으로, 최지훈, 한국어의미학 제9호, 한국어의미학회, 2001.12.
일제시대 ≪천자문≫ 연구:판권지 분석을 중심으로, 안미경, 서지학연구 제22집, 서지학회, 2001.12.
장서각 소장 왕실≪千字文≫에 대하여, 박부자, 서지학보 제26호, 한국서지학회, 2002.12.
한자학습과 중국의 문화적 사실들을 알려주는 입문 교양서:≪千字文≫을 통해 본 동양인의 삶과 지혜 - 이돈주 著 書評, 김재승, 용봉논총인문학연구 제31집,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02.12.
명사 초대석:90에야 읽어 보는 ≪천자문≫과 ≪논어≫(1) -수필을 스쳐 교식으로-, 우형규,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3.
명사 초대석:90에야 읽어 보는 ≪천자문≫과 ≪논어≫(2) -수필을 스쳐 교식으로-, 우형규,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3.
한자교육에 앞장선 명사인터뷰:신입사원에게 ≪천자문≫을 10번 쓰게 하는 코리아나화장품 유상옥 회장,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3.
한글, 한자문화 칼럼:하늘천 땅지, 서당개 1년의 행운 -지금도 ≪천자문≫ 암기할 수 있어-, 문태성,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3.
‘李茂實書丁巳本’ ≪千字文≫ 연구, 손희하, 한국언어문학 제51집, 한국언어문학회, 2003.12.
≪春香傳≫과 ≪牡丹亭≫의 ≪千字文≫ 수용양상, 강영매, 중국어문학논집 제22호, 중국어문학연구회, 2003.2.
일제시대 ≪천자문≫의 종류와 특징, 안미경, 서지학연구 제26집, 서지학회, 2003.12.
≪천자문≫ 학습과 필법 49, 여원구,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4.
≪천자문≫을 활용한 어린이의 철학적 사고력 신장, 정보주, 초등교육연구 제14집, 진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04.2.
왕인의 ≪천자문≫ㆍ≪논어≫ 일본전수설 재검토, 이근우, 역사비평 통권69호, 역사비평사, 2004겨울.
21C 한국을 대표하는 신지성의 지식 교양 정보지:전시회 특집:백여종의 ≪천자문≫이 한자리에:하늘천 따지-≪천자문≫과 조선인의 생각,공부, 예술전, 연합회자료,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5.
5천년의 우리 역사가 살아 숨쉬는 우리 ≪천자문≫(51), 조갑여,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5.
≪천자문≫ 학습과 필법, 여원구,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5.
21C 한국을 대표하는 신지성의 지식 교양 정보지:한글+한자문화 칼럼:≪천자문≫을 왜 다시 하는가?, 김세환,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5.
≪註解千字文≫과 複數字釋, 박병철, 어문연구 33권4호 통권128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5겨울.
≪주해천자문(註解千字文≫의 단수자석(單數字釋)과 문맥지석(文脈之釋)의 반영에 관하여, 박병철, 구결연구1226-6019, 구결학회, 2006.
王仁は果たして≪千字文≫を傳來したのか, 이근우, 동북아시아문화학회 국제학술대회,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06.
5천년의 우리 역사가 살아 숨 쉬는 우리 ≪천자문≫63, 조갑여,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6.
한자교육자료:문화일보 2006년 3월 4일:한자어가 더 어울릴 때 / 중앙일보 2006년 3월 9일:“한자왕국” 중국, 인터넷언어 파괴로 “골머리” / 서울신문 2006년 3월 17일:한자 공부(工夫) 좀 해라 / 뉴스와이어 2006년 3월 21일:아직도 ≪천자문≫이야? - 한자 학습문화의 변화 / 연합뉴스 2006년 3월 23일:만화 한자학습서 “지나치게 흥미위주”, 정용환ㆍ박강문,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6.
≪註解千字文≫의 單數字釋과 文脈之釋의 반영에 관하여, 박병철, 구결연구제17집, 태학사, 2006.8.
≪千字文在韓流行及影響≫, 林東錫, 第9屆韓中文化論壇發表論文, 2007. 濟州.
≪천자문(千字文)≫의 “천지(天地)” 환경교육에 대한 한 시론(試論), 최재목, 양명학0916-2496, 한국양명학회. 2007.
(한자ㆍ중국어ㆍ일본어를 함께 배우는)韓中日 ≪千字文≫, 김낙구, 에세이, 2007.1.
≪千字文≫의 由來와 大意 考察, 김세환, 중국학연구 제42집, 중국학연구회, 2007.12.
21C 韓國을 대표하는 新知性의 지식 교양 정보지:기획논단:≪千字文≫의 訓音 中 問題點 - ≪石峰千字文≫을 中心으로, 진태하,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8.
국민으로서의 영어교육과 ≪천자문≫, 김인환, 대산문화재단 제27호, 대산문화재단, 2008년 봄호.
≪千字文≫에 나오는 漢字의 訓에 관한 硏究:文脈의 意味와 달리 나타나는 訓을 중심으로, 박병철, 국어국문학 제150호, 국어국문학회, 2008.12.
已丑新年과 王仁精神의 涵養 -王仁博士와 ≪千字文≫- 卷頭言, 홍윤기,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9.
≪정몽유어≫ㆍ≪아학편≫ㆍ≪천자문≫의 분포적 특성, 이광호, 언어과학연구제48집, 언어과학회, 2009.3.
≪千字文≫의 原流, 內容 및 韓國에서의 發展 상황 考察, 林東錫, ≪中國語文學會論集≫, 第56號. 中國語文學硏究會. 2009.6.
source :
註解千字文●주해천자문
http://db.cyberseodang.or.kr/front/main/main.do
註解千字文●주해천자문
http://www.kostma.net/
(도상주해)천자문 v1[(圖像註解)千字文 v1
http://yoksa.aks.ac.kr/jsp/aa/Directory.jsp?fcs=f&cf=a&gb=1
註解千字文●주해천자문
http://www.yasue.cc/thousand.html
註解千字文●주해천자문
http://jsg.aks.ac.kr/
四體千字文
http://dl.ndl.go.jp/info:ndljp/pid/910125
王羲之: 行千文
http://dl.ndl.go.jp/info:ndljp/pid/853356
楷行草隷四體千字文
http://dl.ndl.go.jp/info:ndljp/pid/1102856
十体千字文 : 鼇頭註解
http://dl.ndl.go.jp/info:ndljp/pid/853562
尺璧非寶,寸陰是競, 資父事君,曰嚴與敬,
孝當竭力,忠則盡命,臨深履薄,夙興溫清,
似蘭斯馨,如松之盛,川流不息,淵澄取映,
容止若思,言辭安定,
--
[單行本類(中國)]
四庫全書, 集部8, ≪梁文紀≫, 권14. 周興嗣 ≪千字文≫.
≪千字文釋義≫, 檀國大學校東洋學圖書室所藏.
≪千字文≫, 編輯部 國學出版社, 1973. 基隆 臺灣.
≪五體千字文≫, 天山出版社, 1981. 臺北.
≪千字文≫(注音詳解), 李炳傑(編註), 劉玉琛(校正), 學生出版社, 1982. 臺北.
≪歷代千字文≫(印本), 國立政治大學, 中文硏究所, 1984. 臺北.
≪千字文≫, 喩岳衡(主編), 傳統蒙學叢書, 岳麓書社, 1987. 長沙 湖南.
≪續千字文≫, 喩岳衡(主編), 傳統蒙學叢書, 岳麓書社, 1987. 長沙 湖南.
≪再續千字文≫, 喩岳衡(主編), 傳統蒙學叢書, 岳麓書社, 1987. 長沙 湖南.
≪別本千字文≫, 喩岳衡(主編), 傳統蒙學叢書, 岳麓書社, 1987. 長沙 湖南.
≪敍古千文≫, 喩岳衡(主編), 傳統蒙學叢書, 岳麓書社, 1987. 長沙 湖南.
≪千字文釋義≫, 淸 汪嘯尹 纂輯, 孫謙益 參注, 上海古籍出版社, 上海, 1989. 2次印刷.(≪三字經≫ㆍ≪百家姓≫ㆍ≪千字文≫의 合本임)
≪白話千字文≫, 天津市古籍書店影印, 新華書店天津發行所發行, 1990.
≪千字文≫, 張兆裕(編), 北京燕山出版社, 1995. 北京.
≪千字文≫, 馬自毅(注譯), 三民書局, 2002. 臺北.
≪千字文≫, 編輯部, 香巷商務印書館, 2003. 홍콩.
≪三字經≫ㆍ≪百家姓≫ㆍ≪千字文≫, 鄭啓銅(註釋), 雲南大學出版社, 2004. 昆明.
≪中國名著≫(≪千字文≫ 부분), 姚麗萍ㆍ顔朝輝, 中國戲劇出版社, 2005. 北京.
≪千字文≫, 錢玄溟(編), ≪國學經典≫, 中國長安出版社, 2006. 北京.
[單行本類(韓國)]
≪千字文≫, 간년 미상(1500년대로 추정), 日本大東急記念文庫 수장, 영인본, 東京, 朝鮮學報93, 1979.
≪千字文≫, 1575, 日本東京大學 수장, 영인본, 서울, 단국대동양학연구소, 동양학총서3, 1973.
≪千字文≫, 韓石峯 筆, 內賜本, 1583, 경북 영주시 朴贊成 氏 수장. 영인본, 서울, 한국서지학회, 서지학7, 1981.
≪千字文≫, 韓石峯 筆, 日本國立公文書館 수장, 영인본, 서울, 단국대동양학연구소, 동양학총서3, 1973.
≪千字文≫, 1696(丙子年), 日本對馬歷史民俗博物館 수장.
≪千字文≫, 順天 曹溪山 松廣寺 開刊, 1730, 延世大學校 수장.
≪註解千字文≫, 洪聖源 筆, 南漢 開元寺 開刊, 1754(壬申), 서울대학교 奎章閣 수장.
≪註解千字文≫ 新增本, 洪泰運 筆, 京城 廣通坊 新刊, 1804(甲子), 국립중앙도서관 수장. 영인본, 서울, 단국대동양학연구소, 동양학총서3, 1973.
≪千字文≫, 松溪 筆, 日本 宮內廳 書陵部 수장. 영인본, 東京, 朝鮮學報98, 1981.
≪千字文≫, 李茂實 筆, 1894(甲午), 서울대학교 奎章閣 수장.
≪千字文≫, 李百沙 筆, 國立中央圖書館 수장.
≪智永草千字≫, 智永 筆, 서울대학교 奎章閣 수장.
≪眞草千文≫, 趙孟頫 筆, 完府, 南山房, 서울대학교 奎章閣 수장.
≪千字文≫, 朴彭年 筆, 서울대학교 奎章閣 수장.
≪千字文≫, 河西子 筆, 서울대학교 奎章閣 수장.
≪千字文≫, 河西子 筆, 계명대학교 수장.
≪草千字文≫, 韓石峯 筆, 國立中央圖書館 수장.
≪唐懷素草書千字文≫, 이현사, 1970.1.
≪註解千字文≫, 李敦柱, 博英文庫, 1971.
≪千字文≫, 李民樹(譯註), 을유문화사, 1972.1.
(新釋)≪千字文≫, 차상원, 선문출판사, 1972.1.
(原本)≪石峰千字文≫, 낙산서원, 1972.1.
(毛筆楷行草)≪三體千字文≫, 박효균, 강경문화사, 1976.1.
≪五體千字文≫, 우재영, 우일출판사, 1983.1.
≪石峰千字文≫ㆍ≪光州千字文≫ㆍ≪註解千字文≫, 東洋學硏究所, 檀國大出版部, 1984. 재판.
≪丙子本千字文≫, 崔世和, 古城本訓蒙字會考, 太學士, 1987.
(書隸)≪千字文≫, 이원영, 세익인쇄지기, 1989.1.
≪千字文字典≫, 경인문화사편집부, 경인문화사, 1990.1.
≪千字文≫(松廣寺板), 孫熙河, 太學士, 1993.
≪주흥사천자문≫, 안춘근, 범우사, 1994.
≪千字文資料集≫(地方千字文篇), 金履弘(외), 박이정, 1995.
≪천자문고전산책≫, 박광민, 넥서스, 1995.
≪千字文資料集≫, 李基文ㆍ孫熙河, 박이정, 1995.
≪다산千字文≫, 김대현, 다섯수레, 1999.
≪어린이천자문≫, 김한룡, 대일출판사, 1999.1.
≪註解千字文≫, 成百曉(譯註), 傳統文化硏究會, 2000. 初版11刷.
≪千字文을 통해 본 동양인의 삶과 지혜≫, 이돈주, 태학사, 2002.1.
≪천자문 학습과 필법≫(37), 여원구,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3.
≪욕망하는 천자문≫, 김근(저), 삼인, 2003.
≪草孫過庭千字文≫ 素菴先生 書, 현중화, 조범산방, 2003.1.
≪천자문≫, 정후수(주해), 장락, 2004. 3판.
≪김성동千字文≫, 김성동, 청년사, 2004.
(재미있는)≪천자문여행≫:동양학의 기반, 심현섭ㆍ심규하, 동인서원, 2004.1.
≪천자문≫, 안춘근, 범우사, 2005.1.
≪영어로 배우는 천자문≫, 최성호, 문창사, 2005.1.
≪行書千字文≫, 선주선, 서예문인화, 2006.1.
≪천자문뎐≫:신화ㆍ역사ㆍ문명으로 보는 125가지 이야기, 한정주, 포럼, 2006.1.
≪三體 千字文≫, 우병환 書, 서예문인화, 2007.1.
≪松隱隸書千字文≫, 백인선, 서예문인화, 2007.1.
≪隸書千字文≫, 정도준 씀, 서예문인화, 2007.1.
(산성 할아버지의)이야기 ≪천자문≫, 천명일, 지혜의 나무, 2007.1.
≪마음으로 보는 여행≫:250어구 속에 담긴 ≪천자문≫의 의미, 김홍선, 한솜미디어, 2007.1.
≪千字文釋義≫, 權卿相(編著), 형민사, 2008. 초판2쇄.
(鍾繇의 大敍事詩)≪千字文 易解≫, 이윤숙ㆍ이달원, 경연학당, 2008.1.
≪(한눈에 익히는) 천자문≫, 장개충, 나무의꿈, 2008.1.
≪千字文:바람보다 먼저 울세는 풀의 노래 -즈믄 글≫, 강상규, 어문학사, 2008.1.
≪(천개의 글씨 이야기가 있는) 千字文≫, 박종택, 서예문인화, 2008.1.
≪(천개의 글씨 이야기가 있는) 圖文千字文≫, 박종택, 서예문인화, 2008.1.
≪集字 秋史體 千字文≫, 이규환, 서예문인화, 2008.1.
≪(조기형의 새천년형) 千字文:두뇌를 깊고 넓게 해주는 우리나라 최초≫, 조기형, 화남, 2008.1.
≪참되고 바른 千字文과 그 글자들의 쓰임새≫, 유종택, 활도미디어, 2008.1.
≪(한자 원리로 배우는) 천자문≫, 박진구, 세손출판사 발행일 2008.1.
≪(알 듯 모를 듯한) 천자문의 비밀≫, 박진구, 세손출판사, 2008.1.
≪천자문≫, 권성희(지음), 행복한박물관, 2009.
≪張猛龍千字文≫, 윤신행, 서예문인화, 2009.1.
≪천자문 쉽게 알기:천자문 속 숨은 이야기≫, 원주용, 이담books, 2009.1.
[單行本類(日本)]
≪千字文≫, 小川環樹ㆍ木田章義(注解), 株式會社岩波書店, 東京. 2009. 16刷.
≪千字文≫, 小田準ㆍ安本健吉(注釋), 岩波書店, 東京. 昭和15年(1940). 第3刷.
≪唐歐陽詢史事帖≫ㆍ≪千字文≫ 이현사, 1981.1.
≪隋智永關中本千字文≫, 이현사, 1983.1.
[學位論文]
朝鮮時代 ≪千字文≫ 刊印本 硏究, 안미경,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2.
≪천자문≫의 訓에 관한 연구, 정대환,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1.2.
≪訓蒙字會≫ㆍ≪新增類合≫ㆍ≪千字文≫의 比較 考察, 민충환,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1.2.
漢字의 音ㆍ訓 硏究:≪千字文≫을 中心으로, 이대주,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2.
≪千字文≫ 字釋硏究:難解語의 語義究明을 中心으로, 손희하,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5.2.
≪千字文≫에 대한 國語學的 硏究, 윤흥섭,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7.2.
蒙學敎材로서의 ≪千字文≫, 김현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0.8.
≪千字文≫의 六書論的 연구, 오세호, 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1.2.
≪천자문≫ 새김[釋]의 연구, 이금녀,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2.
≪訓蒙字會≫와 ≪千字文≫의 字釋 비교 연구, 이정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8.
≪千字文≫의 異體字 硏究, 신동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2.
≪訓蒙字會≫와 ≪千字文≫의 漢字音과 訓의 變遷考, 박석근, 목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2.
≪천자문≫을 이용한 한자학습 CAI프로그램의 구현, 이회광,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2.
≪천자문≫ㆍ≪훈몽자회≫ㆍ≪新增類合≫ 字釋 연구, 오완규,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2.
≪천자문≫의 철학적 사유형태에 관한 연구, 이규희,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2.
≪천자문≫을 활용한 한자교육 방법 연구, 하문규,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2.
조선시대 ≪천자문≫의 역할, 남영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8.
한일한자음에 대한 대조연구:≪천자문≫ㆍ≪훈몽자회≫의 한자음을 중심으로, 곽성은, 성신여대 석사학위논문, 2006.2.
한국 ≪천자문≫에 관한 고찰:4종≪천자문≫을 중심으로, 박혜순, 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2.
[一般論考類]
≪千字文考≫, P.Pelliot 撰, 馮承鈞 譯, 圖書館學季刊 第六卷 第一期, 1932.
≪석봉천자문≫색인, 김성, 한글143, 한글학회, 1969.5.
石峯 ≪千字文≫에 대하여, 李基文, 국어국문학55-57호, 1972.
≪千字文解題≫, 李基文, 단국대 동양학총서3, 1973.
≪千字文≫에 나타난 書體 考察, 金鎬然, 書藝4, 월간서예사, 1974.
內閣本所藏 石峯 ≪千字文≫에 대하여, 安秉禧, 書誌學6호, 1974.
≪千字文≫의 來歷과 內容, 서예사, 오인섭7, 월간서예사, 1974.4.
≪千字文≫은 필요한 책인가, 권정석, 교육춘추1,9, 한국능력개발연구원, 1977.11.
≪千字文≫ 類選, 안춘근, 도서관234, 국립중앙도서관, 1978.12.
大東急記念文庫所藏 ≪千字文≫, 藤本幸夫, 朝鮮學報93, 1979.
朝鮮版 ≪千字文≫の系統, 藤本幸夫, 朝鮮學報94, 1980.
≪平北方言千字文≫, 金履浹, 方言3, 1980.
≪千字文≫에 대하여, 崔學根, 국어국문학83, 1980.
原本 石峯 ≪千字文≫에 대하여, 趙炳舜, 書誌學7호, 1981.
≪천자문≫ 연구1, 이기문, 한국문화2,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1981.
≪천자문≫의 계통, 안병희, 정신문화연구12, 한국학중앙연구원, 1982.4.
≪註解千字文≫의 複數字釋에 대하여, 최범훈, 국어국문학논문집12,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83.9.
≪천자문≫ 字音考, 도효근, 한국언어문학1229-1730, 한국언어문학회, 1984.
對馬歷史民俗資料館 所藏本의 ≪訓蒙字會≫와 ≪千字文≫, 崔世和, 佛敎美術8, 1985.
對馬歷史民俗資料館 所藏本의 ≪千字文≫ 字釋에 대하여, 崔世和, 日本學5, 東國大學校, 1986.
≪천자문≫의 釋에 대하여, 정성희, 국어과교육6, 부산교육대학 국어교육연구회, 1986.
≪千字文≫ 字釋 연구2, 손희아, 어문논총9,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회 1986.6.
對馬歷史民俗資料館藏本 ≪千字文≫의 字釋에 대하여, 최세화, 일본학5,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1986.3.
≪千字文≫ 訓의 語彙 變遷 硏究:名詞類 語를 中心으로, 박병철, 국어교육55,56合, 한국어교육학회, 1986.7.
≪千字文≫의 再檢討, 이우영ㆍ정진권, 어문연구53, 일조각, 1987.4.
七長寺本 ≪千字文≫ 硏究, 申景澈, 語文硏究 第18輯, 語文硏究會, 1988.
蒙學敎材로서의 ≪千字文≫, 김현규, 한문교육연구 제3권 제5호, 박이정, 1991.
≪千字文≫(杏谷本)의 새김 연구, 손희하,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회, 어문논총12,13, 1991.2.
≪千字文≫(杏谷本) 연구, 손희하, 한국언어문학30, 한국언어문학회, 1992.6.
영남대본 ≪千字文≫ 연구, 손희하, 국어국문학108, 국어국문학회, 1992.12.
송광사판 ≪千字文≫ 연구, 손희하, 한국언어문학31, 한국언어문학회, 1993.6.
朝鮮時代 ≪千字文≫ 現傳本에 관한 연구, 安美璟, 書誌學硏究17, 1994.
조선시대 아동교육 도서에 나타난 경제교육:≪천자문≫ㆍ≪동몽선습≫ㆍ≪격몽요결≫ㆍ≪명심보감≫ㆍ≪소학≫을 중심으로, 김상규, 초등교육연구논총7,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1995.4.
자석(字釋)과 문석(文釋)이 일치하는 ≪백련초해(百聯抄解)≫의 석(釋)에 관한 연구 -≪천자문≫ㆍ≪훈몽자회≫ 자석과의 비교를 통한 중세훈 설정을 중심으로-, 박병철, 구결연구1226-6019, 구결학회, 1997.
韓國本 ≪千字文≫의 異體字 比較 硏究, 신동희, 서지학연구13, 서지학회, 1997.6.
安平大君의 ≪眞草千字文≫:새로 發見된 石刻 拓本에 對하여, 한상봉, 고서연구16, 한국고서연구회, 1998.12.
≪千字文≫의 構成과 價値에 대한 硏究, 정후수, 동양고전연구11, 동양고전학회, 1998.12.
문화서당(文化書堂)(1):≪석봉천자문(石峰千字文)≫에 대하여, 이기문,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1999.
백제의 王仁이 일본에 論語와 ≪千字文≫을 전달한 것은 405년, 김순철, 제지계317, 한국제지공업연합회, 1999.2.
北岳 李海龍의 ≪千字文≫, 남권희, 문헌과해석 통권6호, 문헌과해석사, 1999봄.
韓日兩國の≪千字文≫に現れる異體字の類型と性格, 이건상, 진주산업대학교 논문집24, 인천대학교, 1999.12.
≪千字文≫과 그 用韻現象, 박만규, 중국학연구17, 중국학연구회, 1999.12.
冊板目錄을 통해 본 朝鮮時代 ≪千字文≫ 刊印 狀況, 안미경, 서지학보23, 한국서지학회, 1999.12.
朝鮮時代 漢字敎材 考察:≪千字文≫과 類合을 中心으로, 김종운, 한국어문교육9, 한국교원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00.2.
초등교재로서의 ≪천자문≫의 교육적 의미 분석, 우남희, 교육학연구 38,1, 한국교육학회, 2000.2.
1650年 木活字本으로 간행된 韓濩書 ≪千字文≫에 대하여, 남권희, 국어사자료연구 제2호, 국어사자료학회, 2001.2.
이무실 ≪千字文≫ 연구:갑오본을 중심으로, 손희하, 한중인문학연구 제5집, 중한인문과학연구회, 2000.12.
1650년 목활자본으로 간행된 한호서 ≪천자문≫에 대하여, 남권희, 국어사연구 제2호, 국어사학회, 2001.
화제의 어린이:한자신동 오주영 어린이 -4살 어린이가 ≪천자문≫을 줄줄 대학생보다 한자를 더 잘 알아-, 연합회 자료,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1.
李茂實 ≪千字文≫의 書誌的인 硏究, 안미경, 고인쇄문화 제8집, 청주고인쇄박물관, 2001.11.
≪천자문≫ 새김 어휘 연구:16세기 간행 ≪천자문≫의 명사류를 중심으로, 최지훈, 한국어의미학 제9호, 한국어의미학회, 2001.12.
일제시대 ≪천자문≫ 연구:판권지 분석을 중심으로, 안미경, 서지학연구 제22집, 서지학회, 2001.12.
장서각 소장 왕실≪千字文≫에 대하여, 박부자, 서지학보 제26호, 한국서지학회, 2002.12.
한자학습과 중국의 문화적 사실들을 알려주는 입문 교양서:≪千字文≫을 통해 본 동양인의 삶과 지혜 - 이돈주 著 書評, 김재승, 용봉논총인문학연구 제31집,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02.12.
명사 초대석:90에야 읽어 보는 ≪천자문≫과 ≪논어≫(1) -수필을 스쳐 교식으로-, 우형규,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3.
명사 초대석:90에야 읽어 보는 ≪천자문≫과 ≪논어≫(2) -수필을 스쳐 교식으로-, 우형규,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3.
한자교육에 앞장선 명사인터뷰:신입사원에게 ≪천자문≫을 10번 쓰게 하는 코리아나화장품 유상옥 회장,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3.
한글, 한자문화 칼럼:하늘천 땅지, 서당개 1년의 행운 -지금도 ≪천자문≫ 암기할 수 있어-, 문태성,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3.
‘李茂實書丁巳本’ ≪千字文≫ 연구, 손희하, 한국언어문학 제51집, 한국언어문학회, 2003.12.
≪春香傳≫과 ≪牡丹亭≫의 ≪千字文≫ 수용양상, 강영매, 중국어문학논집 제22호, 중국어문학연구회, 2003.2.
일제시대 ≪천자문≫의 종류와 특징, 안미경, 서지학연구 제26집, 서지학회, 2003.12.
≪천자문≫ 학습과 필법 49, 여원구,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4.
≪천자문≫을 활용한 어린이의 철학적 사고력 신장, 정보주, 초등교육연구 제14집, 진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04.2.
왕인의 ≪천자문≫ㆍ≪논어≫ 일본전수설 재검토, 이근우, 역사비평 통권69호, 역사비평사, 2004겨울.
21C 한국을 대표하는 신지성의 지식 교양 정보지:전시회 특집:백여종의 ≪천자문≫이 한자리에:하늘천 따지-≪천자문≫과 조선인의 생각,공부, 예술전, 연합회자료,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5.
5천년의 우리 역사가 살아 숨쉬는 우리 ≪천자문≫(51), 조갑여,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5.
≪천자문≫ 학습과 필법, 여원구,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5.
21C 한국을 대표하는 신지성의 지식 교양 정보지:한글+한자문화 칼럼:≪천자문≫을 왜 다시 하는가?, 김세환,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5.
≪註解千字文≫과 複數字釋, 박병철, 어문연구 33권4호 통권128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5겨울.
≪주해천자문(註解千字文≫의 단수자석(單數字釋)과 문맥지석(文脈之釋)의 반영에 관하여, 박병철, 구결연구1226-6019, 구결학회, 2006.
王仁は果たして≪千字文≫を傳來したのか, 이근우, 동북아시아문화학회 국제학술대회,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06.
5천년의 우리 역사가 살아 숨 쉬는 우리 ≪천자문≫63, 조갑여,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6.
한자교육자료:문화일보 2006년 3월 4일:한자어가 더 어울릴 때 / 중앙일보 2006년 3월 9일:“한자왕국” 중국, 인터넷언어 파괴로 “골머리” / 서울신문 2006년 3월 17일:한자 공부(工夫) 좀 해라 / 뉴스와이어 2006년 3월 21일:아직도 ≪천자문≫이야? - 한자 학습문화의 변화 / 연합뉴스 2006년 3월 23일:만화 한자학습서 “지나치게 흥미위주”, 정용환ㆍ박강문,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6.
≪註解千字文≫의 單數字釋과 文脈之釋의 반영에 관하여, 박병철, 구결연구제17집, 태학사, 2006.8.
≪千字文在韓流行及影響≫, 林東錫, 第9屆韓中文化論壇發表論文, 2007. 濟州.
≪천자문(千字文)≫의 “천지(天地)” 환경교육에 대한 한 시론(試論), 최재목, 양명학0916-2496, 한국양명학회. 2007.
(한자ㆍ중국어ㆍ일본어를 함께 배우는)韓中日 ≪千字文≫, 김낙구, 에세이, 2007.1.
≪千字文≫의 由來와 大意 考察, 김세환, 중국학연구 제42집, 중국학연구회, 2007.12.
21C 韓國을 대표하는 新知性의 지식 교양 정보지:기획논단:≪千字文≫의 訓音 中 問題點 - ≪石峰千字文≫을 中心으로, 진태하,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8.
국민으로서의 영어교육과 ≪천자문≫, 김인환, 대산문화재단 제27호, 대산문화재단, 2008년 봄호.
≪千字文≫에 나오는 漢字의 訓에 관한 硏究:文脈의 意味와 달리 나타나는 訓을 중심으로, 박병철, 국어국문학 제150호, 국어국문학회, 2008.12.
已丑新年과 王仁精神의 涵養 -王仁博士와 ≪千字文≫- 卷頭言, 홍윤기,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9.
≪정몽유어≫ㆍ≪아학편≫ㆍ≪천자문≫의 분포적 특성, 이광호, 언어과학연구제48집, 언어과학회, 2009.3.
≪千字文≫의 原流, 內容 및 韓國에서의 發展 상황 考察, 林東錫, ≪中國語文學會論集≫, 第56號. 中國語文學硏究會. 2009.6.
source :
註解千字文●주해천자문
http://db.cyberseodang.or.kr/front/main/main.do
註解千字文●주해천자문
http://www.kostma.net/
(도상주해)천자문 v1[(圖像註解)千字文 v1
http://yoksa.aks.ac.kr/jsp/aa/Directory.jsp?fcs=f&cf=a&gb=1
註解千字文●주해천자문
http://www.yasue.cc/thousand.html
註解千字文●주해천자문
http://jsg.aks.ac.kr/
四體千字文
http://dl.ndl.go.jp/info:ndljp/pid/910125
王羲之: 行千文
http://dl.ndl.go.jp/info:ndljp/pid/853356
楷行草隷四體千字文
http://dl.ndl.go.jp/info:ndljp/pid/1102856
十体千字文 : 鼇頭註解
http://dl.ndl.go.jp/info:ndljp/pid/853562
六朝文絜 55.召王貞書:楊暕
六朝文絜 55.召王貞書:楊暕
《卷七 召王貞書》 : 楊暕
夫山藏美玉,光照廊廡之間;地蘊神劍,氣浮星漢之際。是知毛遂穎脫,義 感平原;孫惠文詞,來遷東海。
顧循寡薄,有懷髦彥。籍甚清風,為日久矣。未 獲披覿,良深佇遲。
比高天流火,早應涼飆;淩雲仙掌,方承清露。想攝衛攸宜,與時休適。前 園後圃,從容丘壑之情;左琴右書,蕭散煙霞之外。
茂陵謝病,非無封禪之文; 彭澤遺榮,先有《歸來》之作。優遊儒雅,何樂如之? 餘屬當藩屏,宣條揚越。坐棠聽訟,事絕詠歌;攀桂摛詞,眷言高遁。
至於揚旌北渚,飛蓋西園,托乘乏應劉,置醴闕申穆。背淮之賓,徒聞其語;趨燕之客,罕值其人。
卿道冠鷹揚,聲高鳳舉。儒墨泉海,詞章苑囿。棲遲衡泌,懷寶迷邦。徇茲獨善,良以於邑。今遣行人,具宣往意。側望起予,甚於饑渴。
想便輕舉,副此虛心。無信投石之談,空慕鑿壞之逸。書不盡言,更慚詞費。
- -
六朝文絜 56. 北山移文:孔稚珪
《卷八 北山移文》:孔稚珪
鐘山之英,草堂之靈,馳煙驛路,勒移山庭: 夫以耿介拔俗之標,蕭灑出塵之想。度白雪以方潔,干青雲而直上,吾方知之矣。
若其亭亭物表,皎皎霞外,芥千金而不盼,屣萬乘其如脫。聞鳳吹於洛浦, 值薪歌於延瀨。固亦有焉。豈其終始參差,蒼黃翻覆,淚翟子之悲,慟朱公之哭。
乍回跡以心染,或先貞而後黷,何其謬哉!嗚呼,尚生不存,仲氏既往,山阿寂寥,千載誰賞? 世有周子,俊俗之士,既文既博,亦玄亦史。然而學遁東魯,習隱南郭。
偶吹草堂,濫巾北嶽。誘我松桂,欺我雲壑。雖假容于江皋,乃攖情於好爵。其 始至也,將欲排巢父,拉許由,傲百氏,蔑王侯。風情張日,霜氣橫秋。
或歎幽人長往,或怨王孫不游。談空空於釋部,核元元於道流。務光何足比,涓子不能儔。
及其鳴騶入穀,鶴書赴隴,形馳魄散,志變神動。爾乃眉軒席次,袂聳筵上。
焚芰制而裂荷衣,抗塵容而走俗狀。風雲悽其帶憤,石泉咽而下愴。望林巒而 有失,顧草木而如喪。
至其鈕金章,綰墨綬,跨屬城之雄,冠百里之首。張英風於海甸,馳妙譽於浙右。道帙長擯,法筵久埋。敲撲喧器犯其慮,牒訴倥傯裝其懷。琴歌既斷, 酒賦無續。
常綢繆於結課,每紛紜於折獄。籠張趙於往圖,架卓魯於前籙。希蹤 三輔豪,馳聲九州牧。使我高霞孤映,明月獨舉,青松落陰,白雲誰侶?澗戶摧絕無與歸,石徑荒涼徒延佇。
至於還飆入幕,寫霧出楹,蕙帳空兮夜鶴怨,山人去兮曉猿驚。昔聞投簪逸海岸,今見解蘭縛塵纓。於是南嶽獻嘲,北龍騰笑,列壑爭譏,攢峰竦誚。
慨遊子之我欺,悲無人以赴吊。故其林慚無盡,澗愧不歇,秋桂遣風,春蘿罷月。騁 西山之逸議,馳東皋之素謁。
今又促裝下邑,浪栧上京。雖情殷于魏闕,或假步於山扃。豈可使芳杜厚 顏,薜荔蒙恥,碧嶺再辱,丹崖重滓,塵游躅于蕙路,汙淥池以洗耳!
宜扃岫幌, 掩雲關,斂輕霧,藏鳴湍,截來轅于谷口,杜妄轡於郊端。
於是叢條瞋膽,迭穎怒魄,或飛柯以折輪,乍低枝而掃跡:請回俗士駕,為君謝逋客。
六朝文絜
http://www.saohua.com/shuku/gudian/liuchaowenxie/4.html
六朝文絜
http://wenxian.fanren8.com/08/02/4/1.htm
六朝文絜
http://www.daizhige.org/集藏/文总集/
六朝文絜
http://wenxian.fanren8.com/08/02/
文選(南朝梁)蕭統 (唐)李善注
http://www.guoxue123.com/jijijibu/0201/00zmwx/index.htm
1-全上古三代秦漢三國六朝文-清-嚴可均
2-全唐文-清-董誥
3-全遼文--陳述
4-六朝文絜-清-許梿
5-古文觀止-清-吳楚材
6-古文辭類纂-清-姚鼐
7-唐代墓誌彙編續集--
8-唐宋文醇-清-愛新覺羅弘曆
9-唐文拾遺續拾-清-陸心源
10-唐文續拾-清-陸心源
11-序跋集萃--
12-文章辨體匯選-明-賀複徴
13-文選-南朝梁-蕭統
14-文選昭明文選-南朝梁-蕭統
15-文選注-唐-李善
16-文選詳注-南朝梁-蕭統
17-新安文獻志-明-程敏政
18-明文衡-明-程敏政
19-明文霱-明-劉士鏻
20-晚明二十家小品--施蟄存
21-晚清文選--鄭振鐸
22-漢魏南北朝墓誌彙編--
23-清文精選--劉文武
24-皇明文征-明-何喬遠
25-經義模範-明-佚名
26-續碑傳選集--
27-遼文萃-清-王仁俊
28-香豔叢書-清-張廷華
29-駢體文鈔-清-李兆洛
復莊駢儷文榷(清)姚燮撰
駢雅訓籑(明)朱謀● 撰
理瀹駢文(清)吳師機撰, 棕亭駢體文鈔(清)金兆燕撰
有正味齋駢體文(清)吳錫麒撰
師伏堂駢文二種(清)皮錫瑞撰, 駢體文鈔(清)李兆洛輯
崇雅堂駢體文鈔 (清)胡敬撰, 國朝常州駢體文錄 屠寄輯
國朝駢體正宗 (清)曾燠輯, 國朝駢體正宗續編(清)張鳴珂輯
御定駢字類編(清)聖祖仁皇帝
御定駢字類編(清)吳士玉,(清)沈宗敬, 駢儷文(清)孔廣森撰
駢字分箋(清)程際盛撰
展碧山房駢體文選, 張文襄公駢文(清)張之洞撰
佩弦齋文存佩弦齋駢文存佩弦齋詩存(清)朱一新撰
駢文類苑「皇朝」(清)姚燮、張壽榮, 邃懷堂駢文牋註 袁翼、朱舲,文莫室駢文(清)王樹枬, 越縵堂駢體文(清)李慈銘、曽之撰
酌雅堂駢體文集 徐壽基
六官駢萃 張蔚春, 訓蒙駢句
六朝麗指 -孫徳謙
連珠-鈕琇 : 竹連珠 - 昭代叢書, 鈕琇 : 臨野堂詩文集29卷, 連珠-陳濟生 : 廣連珠- 昭代叢書, 連珠-王夫之 - 連珠二十八首- 姜齋文集
連珠-艷體連珠 清 吳江閨秀 葉小鸞瓊章 著,連珠-續艷體連珠 明-沈宜修 撰
時古對類
http://ctext.org/wiki.pl?if=gb&chapter=62350
《卷七 召王貞書》 : 楊暕
夫山藏美玉,光照廊廡之間;地蘊神劍,氣浮星漢之際。是知毛遂穎脫,義 感平原;孫惠文詞,來遷東海。
顧循寡薄,有懷髦彥。籍甚清風,為日久矣。未 獲披覿,良深佇遲。
比高天流火,早應涼飆;淩雲仙掌,方承清露。想攝衛攸宜,與時休適。前 園後圃,從容丘壑之情;左琴右書,蕭散煙霞之外。
茂陵謝病,非無封禪之文; 彭澤遺榮,先有《歸來》之作。優遊儒雅,何樂如之? 餘屬當藩屏,宣條揚越。坐棠聽訟,事絕詠歌;攀桂摛詞,眷言高遁。
至於揚旌北渚,飛蓋西園,托乘乏應劉,置醴闕申穆。背淮之賓,徒聞其語;趨燕之客,罕值其人。
卿道冠鷹揚,聲高鳳舉。儒墨泉海,詞章苑囿。棲遲衡泌,懷寶迷邦。徇茲獨善,良以於邑。今遣行人,具宣往意。側望起予,甚於饑渴。
想便輕舉,副此虛心。無信投石之談,空慕鑿壞之逸。書不盡言,更慚詞費。
- -
六朝文絜 56. 北山移文:孔稚珪
《卷八 北山移文》:孔稚珪
鐘山之英,草堂之靈,馳煙驛路,勒移山庭: 夫以耿介拔俗之標,蕭灑出塵之想。度白雪以方潔,干青雲而直上,吾方知之矣。
若其亭亭物表,皎皎霞外,芥千金而不盼,屣萬乘其如脫。聞鳳吹於洛浦, 值薪歌於延瀨。固亦有焉。豈其終始參差,蒼黃翻覆,淚翟子之悲,慟朱公之哭。
乍回跡以心染,或先貞而後黷,何其謬哉!嗚呼,尚生不存,仲氏既往,山阿寂寥,千載誰賞? 世有周子,俊俗之士,既文既博,亦玄亦史。然而學遁東魯,習隱南郭。
偶吹草堂,濫巾北嶽。誘我松桂,欺我雲壑。雖假容于江皋,乃攖情於好爵。其 始至也,將欲排巢父,拉許由,傲百氏,蔑王侯。風情張日,霜氣橫秋。
或歎幽人長往,或怨王孫不游。談空空於釋部,核元元於道流。務光何足比,涓子不能儔。
及其鳴騶入穀,鶴書赴隴,形馳魄散,志變神動。爾乃眉軒席次,袂聳筵上。
焚芰制而裂荷衣,抗塵容而走俗狀。風雲悽其帶憤,石泉咽而下愴。望林巒而 有失,顧草木而如喪。
至其鈕金章,綰墨綬,跨屬城之雄,冠百里之首。張英風於海甸,馳妙譽於浙右。道帙長擯,法筵久埋。敲撲喧器犯其慮,牒訴倥傯裝其懷。琴歌既斷, 酒賦無續。
常綢繆於結課,每紛紜於折獄。籠張趙於往圖,架卓魯於前籙。希蹤 三輔豪,馳聲九州牧。使我高霞孤映,明月獨舉,青松落陰,白雲誰侶?澗戶摧絕無與歸,石徑荒涼徒延佇。
至於還飆入幕,寫霧出楹,蕙帳空兮夜鶴怨,山人去兮曉猿驚。昔聞投簪逸海岸,今見解蘭縛塵纓。於是南嶽獻嘲,北龍騰笑,列壑爭譏,攢峰竦誚。
慨遊子之我欺,悲無人以赴吊。故其林慚無盡,澗愧不歇,秋桂遣風,春蘿罷月。騁 西山之逸議,馳東皋之素謁。
今又促裝下邑,浪栧上京。雖情殷于魏闕,或假步於山扃。豈可使芳杜厚 顏,薜荔蒙恥,碧嶺再辱,丹崖重滓,塵游躅于蕙路,汙淥池以洗耳!
宜扃岫幌, 掩雲關,斂輕霧,藏鳴湍,截來轅于谷口,杜妄轡於郊端。
於是叢條瞋膽,迭穎怒魄,或飛柯以折輪,乍低枝而掃跡:請回俗士駕,為君謝逋客。
六朝文絜
http://www.saohua.com/shuku/gudian/liuchaowenxie/4.html
六朝文絜
http://wenxian.fanren8.com/08/02/4/1.htm
六朝文絜
http://www.daizhige.org/集藏/文总集/
六朝文絜
http://wenxian.fanren8.com/08/02/
文選(南朝梁)蕭統 (唐)李善注
http://www.guoxue123.com/jijijibu/0201/00zmwx/index.htm
1-全上古三代秦漢三國六朝文-清-嚴可均
2-全唐文-清-董誥
3-全遼文--陳述
4-六朝文絜-清-許梿
5-古文觀止-清-吳楚材
6-古文辭類纂-清-姚鼐
7-唐代墓誌彙編續集--
8-唐宋文醇-清-愛新覺羅弘曆
9-唐文拾遺續拾-清-陸心源
10-唐文續拾-清-陸心源
11-序跋集萃--
12-文章辨體匯選-明-賀複徴
13-文選-南朝梁-蕭統
14-文選昭明文選-南朝梁-蕭統
15-文選注-唐-李善
16-文選詳注-南朝梁-蕭統
17-新安文獻志-明-程敏政
18-明文衡-明-程敏政
19-明文霱-明-劉士鏻
20-晚明二十家小品--施蟄存
21-晚清文選--鄭振鐸
22-漢魏南北朝墓誌彙編--
23-清文精選--劉文武
24-皇明文征-明-何喬遠
25-經義模範-明-佚名
26-續碑傳選集--
27-遼文萃-清-王仁俊
28-香豔叢書-清-張廷華
29-駢體文鈔-清-李兆洛
復莊駢儷文榷(清)姚燮撰
駢雅訓籑(明)朱謀● 撰
理瀹駢文(清)吳師機撰, 棕亭駢體文鈔(清)金兆燕撰
有正味齋駢體文(清)吳錫麒撰
師伏堂駢文二種(清)皮錫瑞撰, 駢體文鈔(清)李兆洛輯
崇雅堂駢體文鈔 (清)胡敬撰, 國朝常州駢體文錄 屠寄輯
國朝駢體正宗 (清)曾燠輯, 國朝駢體正宗續編(清)張鳴珂輯
御定駢字類編(清)聖祖仁皇帝
御定駢字類編(清)吳士玉,(清)沈宗敬, 駢儷文(清)孔廣森撰
駢字分箋(清)程際盛撰
展碧山房駢體文選, 張文襄公駢文(清)張之洞撰
佩弦齋文存佩弦齋駢文存佩弦齋詩存(清)朱一新撰
駢文類苑「皇朝」(清)姚燮、張壽榮, 邃懷堂駢文牋註 袁翼、朱舲,文莫室駢文(清)王樹枬, 越縵堂駢體文(清)李慈銘、曽之撰
酌雅堂駢體文集 徐壽基
六官駢萃 張蔚春, 訓蒙駢句
六朝麗指 -孫徳謙
連珠-鈕琇 : 竹連珠 - 昭代叢書, 鈕琇 : 臨野堂詩文集29卷, 連珠-陳濟生 : 廣連珠- 昭代叢書, 連珠-王夫之 - 連珠二十八首- 姜齋文集
連珠-艷體連珠 清 吳江閨秀 葉小鸞瓊章 著,連珠-續艷體連珠 明-沈宜修 撰
時古對類
http://ctext.org/wiki.pl?if=gb&chapter=62350
Labels:
CS6223,
Tillich : 田立克--存在主義神學,
Ελληνική γλώσσα,
倫文敘全集--香港陳湘記圖書,
心經,
明治漢學,
曾胡治兵語錄,
陳雲 : 香港城邦自治
Donnerstag, 13. April 2017
陳雲:特朗普總統威逼中共對付北韓,兄弟相殘
陳雲:特朗普總統威逼中共對付北韓,兄弟相殘
陳雲:特朗普總統威逼中共對付北韓,兄弟相殘,否則美國會先下手為強。
中共拆毀北韓核武器之後,美國或許會緩和對中國的貿易談判,但北韓是否依然擁有所謂大殺傷力武器,是美國隨時可以聲稱的,而北韓也會隨時配合做下一輪攻勢,
當年就是用這個神奇的原因攻打伊拉克,將伊拉克佔領,之後發現伊拉克並無核武器或化學武器。
中共遇到了它不能應付的對手——特朗普總統。
至於陳雲,當然是準備撤離香港,也呼籲義民準備撤離。一旦韓國成為戰場而中國不論以任何方式捲入戰爭,
香港由於缺乏當年英國殖民地的身份掩護,將會暴露在各方的攻擊之下,包括正規的軍事襲擊。
如果各位要留在香港,目前要做的,是減少消費,不要出外用餐(香港的餐館根本不值得你在外用餐),除了糧食和藥物之外,不要購買無謂的東西,手上有足夠的美鈔現金,準備應付突如其來的亂世。
由於陳雲的永續基本法行動失敗,香港在戰亂無法自行宣布獨立,故此會由中國宣布戰亂而將中國法律在香港行使,英國也許在美國主導之下啟動《中英聯合聲明》失效之後的託管香港做法。
然而,中國會比英美行動得更快,因為中共擁有法律工具。
本來香港是擁有厲害的法律工具的——永續基本法之後的永久自治地位,不過,香港人是賤骨頭,無福消受。我陳雲無話可說。我也要走了。
在美國那邊的特朗普,就是陳雲的五分之一的力量版本,但他是不會憐惜香港的。各位慢慢嘆。
Wan Chin 大勢已去。各位見到鄭松泰的處境,就是中共準備好戰時狀態。
Wan Chin HiAuntie今天。HiHi泛民、港獨,破壞陳雲的永續基本法。
https://www.facebook.com/wan.chin.75/posts/10155112383697225
--
2. 陳雲:美軍一旦攻打北韓而佔領,設立軍事管轄區,重演佔領伊拉克的情況,
南韓會得到一個新的領地,在當地以臨時憲法設立特區,由南韓託管,美國監護,採用分階段、分地區融合的方法,不會急於統一(即是不應採取當年東西德統一的急進模式)。
--
北韓地廣人稀,投資不足,到時如果香港情況突變(特朗普喜歡玩連橫戰術!),中國一旦丟失北韓的邊區屏障,
就是兵臨城下,中共被逼容許香港忽然建國,由美國提供保護,到時香港以主權國的身份與韓國商談,去北韓設立charter city(特許市),大興工業,香港青年大舉北進,並非夢想。
香港人經過二十年的中共鍛煉,懂得照顧共產國家的人民感受,去北韓做香港特區市是適合的。
我的香港海外城邦計劃,極之有靈活性。如果我主政香港國,必會拍住美國特朗普總統,在世界各地的新興政權建立香港特區市
,帶領香港人前往,富貴險中求(金融套匯、地產開發、工業、農業出口)。
世界大變動,風水輪流轉。目前港共在香港的一切胡作非為,迫害陳雲及城邦派的事,到時只不過是過眼雲煙。
奉勸港共一句:身後有餘忘縮手,眼前無路想回頭。
https://www.facebook.com/wan.chin.75/posts/10155107417232225
詩韻全璧, 詩韻合璧, 詩腋, 詞林典腋 , 虛字韻藪,
恭惟鞠養 豈敢毀傷 女慕貞潔 男效才良
知過必改 得能莫忘 罔談彼短 靡恃己長
信使可複 器欲難量 墨悲絲染 詩贊羔羊
景行維賢 克念作聖 德建名立 形端表正
陳雲:特朗普總統威逼中共對付北韓,兄弟相殘,否則美國會先下手為強。
中共拆毀北韓核武器之後,美國或許會緩和對中國的貿易談判,但北韓是否依然擁有所謂大殺傷力武器,是美國隨時可以聲稱的,而北韓也會隨時配合做下一輪攻勢,
當年就是用這個神奇的原因攻打伊拉克,將伊拉克佔領,之後發現伊拉克並無核武器或化學武器。
中共遇到了它不能應付的對手——特朗普總統。
至於陳雲,當然是準備撤離香港,也呼籲義民準備撤離。一旦韓國成為戰場而中國不論以任何方式捲入戰爭,
香港由於缺乏當年英國殖民地的身份掩護,將會暴露在各方的攻擊之下,包括正規的軍事襲擊。
如果各位要留在香港,目前要做的,是減少消費,不要出外用餐(香港的餐館根本不值得你在外用餐),除了糧食和藥物之外,不要購買無謂的東西,手上有足夠的美鈔現金,準備應付突如其來的亂世。
由於陳雲的永續基本法行動失敗,香港在戰亂無法自行宣布獨立,故此會由中國宣布戰亂而將中國法律在香港行使,英國也許在美國主導之下啟動《中英聯合聲明》失效之後的託管香港做法。
然而,中國會比英美行動得更快,因為中共擁有法律工具。
本來香港是擁有厲害的法律工具的——永續基本法之後的永久自治地位,不過,香港人是賤骨頭,無福消受。我陳雲無話可說。我也要走了。
在美國那邊的特朗普,就是陳雲的五分之一的力量版本,但他是不會憐惜香港的。各位慢慢嘆。
Wan Chin 大勢已去。各位見到鄭松泰的處境,就是中共準備好戰時狀態。
Wan Chin HiAuntie今天。HiHi泛民、港獨,破壞陳雲的永續基本法。
https://www.facebook.com/wan.chin.75/posts/10155112383697225
--
2. 陳雲:美軍一旦攻打北韓而佔領,設立軍事管轄區,重演佔領伊拉克的情況,
南韓會得到一個新的領地,在當地以臨時憲法設立特區,由南韓託管,美國監護,採用分階段、分地區融合的方法,不會急於統一(即是不應採取當年東西德統一的急進模式)。
--
北韓地廣人稀,投資不足,到時如果香港情況突變(特朗普喜歡玩連橫戰術!),中國一旦丟失北韓的邊區屏障,
就是兵臨城下,中共被逼容許香港忽然建國,由美國提供保護,到時香港以主權國的身份與韓國商談,去北韓設立charter city(特許市),大興工業,香港青年大舉北進,並非夢想。
香港人經過二十年的中共鍛煉,懂得照顧共產國家的人民感受,去北韓做香港特區市是適合的。
我的香港海外城邦計劃,極之有靈活性。如果我主政香港國,必會拍住美國特朗普總統,在世界各地的新興政權建立香港特區市
,帶領香港人前往,富貴險中求(金融套匯、地產開發、工業、農業出口)。
世界大變動,風水輪流轉。目前港共在香港的一切胡作非為,迫害陳雲及城邦派的事,到時只不過是過眼雲煙。
奉勸港共一句:身後有餘忘縮手,眼前無路想回頭。
https://www.facebook.com/wan.chin.75/posts/10155107417232225
詩韻全璧, 詩韻合璧, 詩腋, 詞林典腋 , 虛字韻藪,
恭惟鞠養 豈敢毀傷 女慕貞潔 男效才良
知過必改 得能莫忘 罔談彼短 靡恃己長
信使可複 器欲難量 墨悲絲染 詩贊羔羊
景行維賢 克念作聖 德建名立 形端表正
詩韻全璧, 詩韻合璧, 詩腋, 詞林典腋 , 虛字韻藪,
詩韻全璧, 詩韻合璧, 詩腋, 詞林典腋 , 虛字韻藪,
清聖祖敕撰《御定佩文韻府》,賦詩填詞,查考典故,詞章家遵用其書。以卷帙浩繁,流布匪易,余照乃約為《詩韻珠璣》五卷以便攜帶。
後汪慕杜增定其書,益以《詩腋選句》,名曰《詩韻合璧》。
湯文潞就汪氏之書補增 《詩腋補編》、《詞林典腋》,及吳光昭輯《賦彙錄要》二十八卷等三種,仍題《詩韻合璧》。
華錕取湯氏增本加以攷正,又增佚名《詩賦類聯采新》十二卷、秦嘉謨《月令粹編》二十四卷、余丙照原本《賦學指南摘要》,典故詞範略備;
郝在田 《校增金壺字考 》一卷、潘維城《虛字韻藪》一卷、龍啟瑞《字學正譌》一卷、汪承元《分韻文
選題解擇要》十卷,文字聲韻資料略具;
姚文登《初學檢韻袖珍》十二集,以部首列序,便於檢韻。
凡詞章家所必需者,靡不備載。書成,遂取純全、大全之意,改題《攷正增廣詩韻全璧》,以為韻學之助。
--
詩韻合璧序 云:
「旌邑湯君以詩腋補編、歷代賦彙分類增入,薈萃群書,合而成璧,洵為初學之津梁,詩人之寶筏。
無如別風淮雨,訛誤頗多,夏五郭公,缺殘尤夥。爰為之剔其榛蕪,詳加勘挍,凡兩閱寒,始奏厥功,亟為付印,以公同好,非敢自詡精詳,亦聊以備揮亮之一助云爾。」
凡例云:
「一是書倒順韻脚及官韻字數,胥依漁古軒詩韻原本,詳加挍勘,其較松隱閣鉛版詩韻會璧尤為精緻無訛,閱者自能
辨別。」
「一是編三幅,輯書十二種,係:詩韻珠璣、詩韻異同辨、詩韻音義註、漁古軒詩韻、詩韻集成、詞林典腋、詩腋並
詩腋補編、詠史詩腋分韻、文選題解擇要、歷代賦彙錄要、虛字韻藪。
原本卷帙浩繁,難為徧購,兼以一字一典,考覈群書殊為未便,茲並合為一編,物以類聚,美必同臻。雖未免滄海
遺珠之憾,然於芸窗雪案間似覺不無小補,倘有未盡善處,祈博雅君子匡我不逮。」
詞林典腋 詞構句式研究
詩韻合璧,詩韻全璧,增廣詩韻集成, 詩詞曲韻總檢, 1968年, 清江.盧元駿編
詞林典腋-詞構句式研究
http://ir.lib.ncku.edu.tw/bitstream/987654321/140005/1/%E3%80%8A%E8%A9%9E%E6%9E%97%E5%85%B8%E8%85%8B%E3%80%8B%E8%A9%9E%E6%A7%8B%E5%8F%A5%E5%BC%8F%E7%A0%94%E7%A9%B6.pdf
--
《詞林典腋》摘抄
天文門
天文門目錄
天文總 天 日月 日 春日 夏日 秋日 冬日 月 新月 殘月 月桂 中秋月 星 天河
雲 慶雲 雲峰 風雨 風 春風 夏風 秋風 冬風 雨 夜雨 喜雨 春雨 夏雨 秋雨 冬
雨 雷 電 虹 霞 露 霜 雪 喜雪 春雪 霧 霽 煙
正文
天文總
太乙──長庚 五緯──三台 鷹風──鶴露 杏雨──槐煙 蘆風──槿露
頑雨──癡雲 怪雨──頑雲 乾雨──濕煙 膏雨──油雲 電女──星娥
颶母──雲師 風腳──雨拳 風爪──雲鱗 煙魄──月魂 雨練──雲羅
煙鬟──月珥 雲衣──雪帶 雷斧──星弧 雨翦──風梭 風駟──雷鞭
月浪──星波 河鼓──天船 雨力──風威 日嫩──風嬌 月瘦──風尖
列缺──豐隆 雲帳──霓裳 霧鎖──風繅 穀雨──梅風 月姊──風姨
月眼──星眉 日線──雲錦 霜練──霧綃 雲蓋──風輪 煙瘦──月肥
雲怒──風訶 桂月──榆星
花洞雨──石樓霞 蟏蛸月──蛺蝶風 歌扇月──酒旗風 桐葉雨──稻花風
迎梅雨──擘柳風 催詩雨──醒酒風 趙衰日──傅說霖 三竿日──一線天
廉纎雨──料峭風 天開子──月建庚 雲布申──月逢庚 雲作使──雪為媒
封姨翦──織女機 惠風暢──化日舒 芭蕉雨──杜若煙 紅杏雨──綠楊煙
童女電──美人虹 霏微露──匼匝雲 雲擘絮──雪搓毬 半規月──五兩風
三尺雨──一聲雷
天
劍依──管窺 親善──益謙 鰲極──蟻盤 寥廓──鴻濛 大冶──洪鈞
蓋高──不息 補石──戴盆 剛健──高明 轂運──弓張 靈造──神功
披雲覩──坐井觀 黃金闕──白玉京 共工觸──盤古分 張衡論──鄒衍談
屈原問──秦穆觀
日月
素魄──朱羲 素女──黃人 久照──貞明 盈仄──升沈 玉兔──金烏
合璧──重環 炎炎──穆穆 紅鏡──金波
生少海──浴咸池 臨下土──麗中天 光有曜──照無私 晝夜代──往來推
月幾望──日初升 冬可愛──秋最明
日
復旦──再中 五色──重輪 駒過──烏飛 寸晷──分陰 鏡開──輪湧
測影──惜陰 明媚──沖融 可畏──如焚 兩珥──半規 烘窗──煖谷
晦昧──遮蒙 繩繫──綫量 返照──末光 金伏──火流
羲和國──不夜城 黃金鏡──赤玉盤 煖物物──燭生生 夾赤鳥──貫白虹
虞劍指──魯戈揮 珠曜火──鏡磨銅 西谷餞──東門朝 經細柳──拂扶桑
群陰伏──太陽宗 出暘谷──浴咸池 徑千里──行九州
春日
沙暖──泥融 柳陰──簾影 杲杲──遲遲 飾柳──烘花
花心綻──柳眼明 紅杏塢──綠柳提 晴飛燕──暖睡鴛
夏日
爍石──燒空 火熾──金流 驕陽──畏景 盾日──堯羲
槐影密──柳陰濃 炎可畏──景偏長 藿葉轉──葵心傾
行南陸──經中街
秋日
片白──微紅 天高──景短 爽氣──清暉 丹桂──碧梧
桐陰薄──柳影疏 芙蓉徑──菊花籬 寒葉亂──曉霜寒
冬日
過隙──經檐 分陰──寸晷 南至──西沈 嶺雪──江梅
冰初凍──草欲蘇 涵霽色──奪寒威 光搖玉──影落金
月
銀界──玉盤 養魄──飛光 金鏡──玉壺 應潮──離畢
破鏡──上弦 璧彩──珠胎 蓂落──桂殘 透竹──映階
蟾華──桂影 練潔──波寒 丹桂──素娥 學扇──磨鐮
潘室──庾樓
七子鏡──九秋霜 綠煙滅──素暈低 開金餅──爛銀盤
山眼白──海心明 銀河洗──玉斧修 金鏡滿──玉壺清
吳牛喘──魏鵲飛 眉尖巧──指甲新
新月
半桂──一彎 破環──學扇 玉玦──銀鈎 隱隱──纎纎
金波淺──桂影偏 開鏡匣──露簾鈎 如璧缺──似眉彎
殘月
破鏡──墮環 如新──誤拜 蓂薄──桂殘 光暗──影斜
月桂
香滿──根高 不老──長年 皎潔──婆娑 靈種──清香
金粟影──水晶毬 清虛府──廣寒宮 蟠月窟──照山河
中秋月
似鏡──如珪 雲盡──露寒 經年──徹夜 袁渚──庾樓
月華滿
--
二言
太乙,長庚。雨線,風梭。穀雨,花朝。夏五,春三。鴻案,鯉庭。艾虎,花驄。桂嶺,道峰。孝水,廉泉。掌露,眉雲。績女,薪翁。
舌戰,心兵。意樹,心花。易聖,經神。晉豕,魯魚。學海,書城。太守,中書。霜劍,星戈。橘皇,桐君。茶浪,酒花。菜甲,瓜丁。
堯韭,舜梧。椽竹,瓦松。人柳,女蘭。苦竹,甘棠。福草,祥桑。楓骨,桂心。荇帶,苔衣。桐乳,柏脂。松友,芝孫。龍竹,虎蒲。葵足,藿心。
杏雨,槐煙。火棗,冰桃。牛梨,鼠梨。銀杏,玉瓜。菱角,藕絲。夏圃,秋庭。鶴子,鳳雛。雁信,鷗盟。紫乙,蒼庚。燕客,鴻賓。花鴨,竹雞。
反舌,畫眉。內史,少卿。巧婦,勃姑。蜀犬,吳牛。竹馬,木羊。白老,烏圓。狡兔,貪狼。謝豹,商羊。鴨綠,鵝黃。三畏,九思。泰運,乾符。
舜田,禹山。聖域,賢關。飛白,破黃。採綠,題紅。知己,識丁。玉甲,銀丁。蘭若,杜於。
三言
十字水,兩船花。百祿萃,萬福臨。三條燭,半寸灰。子午谷,丁卯橋。雙勾帖,百納琴。長史貼,右軍書。康成碑,款士奴。
禰衡鼓,子晉笙。渙大號,巽重申。皇矣德,大哉言。丹邱子,黃石公。武鄉侯,羊叔子。人何在,事已非,天一握,日三竿。三空室,四大床。
白雲舍,紅雨村。王孫草,帝女花。忘憂草,解語花。人面竹,象蹄花。平安竹,長壽花。神女佩,羽人衣。東山履,北斗冠。金魚袋,銀鼠衣。
烏絲帽,紫玉床。益母草,處士梅。虛心竹,大眼桐。獨角虎,兩頭蛇。君子竹,大夫松。雲夢澤,月波亭。春中筍,雪裏梅。保俶塔,波僧橋。
三尺劍,五弦琴。支機石,照乘珠。忘憂館,獨樂園。雀為蛤,劍化龍。鵲尾渚,虎頭洲。烏衣巷,朱雀橋。三三徑,六六峰。霞散綺,月成鉤。
愚公穀,高士峰。松使者,楮先生。桃葉渡,瓊花台。螢照宇,魚藏書。書帶草,玉簪花。五人墓,九老堂。波底月,水中天。鹿耳草,雞冠花。
珠照乘,玉連城。弱女子,大丈夫。連雲島,明月山。腰邊劍,掌上珠。投金瀨,種玉田。青白眼,異同心。暮山紫,寒潭清。清明雨,重陽風。懷素塔,莫愁村。
時古對類
http://ctext.org/wiki.pl?if=gb&chapter=62350
作詩筆記之九 如何使用詩韻集成
http://blog.udn.com/article/article_print.jsp?uid=bamboo1763&f_ART_ID=9871166
清聖祖敕撰《御定佩文韻府》,賦詩填詞,查考典故,詞章家遵用其書。以卷帙浩繁,流布匪易,余照乃約為《詩韻珠璣》五卷以便攜帶。
後汪慕杜增定其書,益以《詩腋選句》,名曰《詩韻合璧》。
湯文潞就汪氏之書補增 《詩腋補編》、《詞林典腋》,及吳光昭輯《賦彙錄要》二十八卷等三種,仍題《詩韻合璧》。
華錕取湯氏增本加以攷正,又增佚名《詩賦類聯采新》十二卷、秦嘉謨《月令粹編》二十四卷、余丙照原本《賦學指南摘要》,典故詞範略備;
郝在田 《校增金壺字考 》一卷、潘維城《虛字韻藪》一卷、龍啟瑞《字學正譌》一卷、汪承元《分韻文
選題解擇要》十卷,文字聲韻資料略具;
姚文登《初學檢韻袖珍》十二集,以部首列序,便於檢韻。
凡詞章家所必需者,靡不備載。書成,遂取純全、大全之意,改題《攷正增廣詩韻全璧》,以為韻學之助。
--
詩韻合璧序 云:
「旌邑湯君以詩腋補編、歷代賦彙分類增入,薈萃群書,合而成璧,洵為初學之津梁,詩人之寶筏。
無如別風淮雨,訛誤頗多,夏五郭公,缺殘尤夥。爰為之剔其榛蕪,詳加勘挍,凡兩閱寒,始奏厥功,亟為付印,以公同好,非敢自詡精詳,亦聊以備揮亮之一助云爾。」
凡例云:
「一是書倒順韻脚及官韻字數,胥依漁古軒詩韻原本,詳加挍勘,其較松隱閣鉛版詩韻會璧尤為精緻無訛,閱者自能
辨別。」
「一是編三幅,輯書十二種,係:詩韻珠璣、詩韻異同辨、詩韻音義註、漁古軒詩韻、詩韻集成、詞林典腋、詩腋並
詩腋補編、詠史詩腋分韻、文選題解擇要、歷代賦彙錄要、虛字韻藪。
原本卷帙浩繁,難為徧購,兼以一字一典,考覈群書殊為未便,茲並合為一編,物以類聚,美必同臻。雖未免滄海
遺珠之憾,然於芸窗雪案間似覺不無小補,倘有未盡善處,祈博雅君子匡我不逮。」
詞林典腋 詞構句式研究
詩韻合璧,詩韻全璧,增廣詩韻集成, 詩詞曲韻總檢, 1968年, 清江.盧元駿編
詞林典腋-詞構句式研究
http://ir.lib.ncku.edu.tw/bitstream/987654321/140005/1/%E3%80%8A%E8%A9%9E%E6%9E%97%E5%85%B8%E8%85%8B%E3%80%8B%E8%A9%9E%E6%A7%8B%E5%8F%A5%E5%BC%8F%E7%A0%94%E7%A9%B6.pdf
--
《詞林典腋》摘抄
天文門
天文門目錄
天文總 天 日月 日 春日 夏日 秋日 冬日 月 新月 殘月 月桂 中秋月 星 天河
雲 慶雲 雲峰 風雨 風 春風 夏風 秋風 冬風 雨 夜雨 喜雨 春雨 夏雨 秋雨 冬
雨 雷 電 虹 霞 露 霜 雪 喜雪 春雪 霧 霽 煙
正文
天文總
太乙──長庚 五緯──三台 鷹風──鶴露 杏雨──槐煙 蘆風──槿露
頑雨──癡雲 怪雨──頑雲 乾雨──濕煙 膏雨──油雲 電女──星娥
颶母──雲師 風腳──雨拳 風爪──雲鱗 煙魄──月魂 雨練──雲羅
煙鬟──月珥 雲衣──雪帶 雷斧──星弧 雨翦──風梭 風駟──雷鞭
月浪──星波 河鼓──天船 雨力──風威 日嫩──風嬌 月瘦──風尖
列缺──豐隆 雲帳──霓裳 霧鎖──風繅 穀雨──梅風 月姊──風姨
月眼──星眉 日線──雲錦 霜練──霧綃 雲蓋──風輪 煙瘦──月肥
雲怒──風訶 桂月──榆星
花洞雨──石樓霞 蟏蛸月──蛺蝶風 歌扇月──酒旗風 桐葉雨──稻花風
迎梅雨──擘柳風 催詩雨──醒酒風 趙衰日──傅說霖 三竿日──一線天
廉纎雨──料峭風 天開子──月建庚 雲布申──月逢庚 雲作使──雪為媒
封姨翦──織女機 惠風暢──化日舒 芭蕉雨──杜若煙 紅杏雨──綠楊煙
童女電──美人虹 霏微露──匼匝雲 雲擘絮──雪搓毬 半規月──五兩風
三尺雨──一聲雷
天
劍依──管窺 親善──益謙 鰲極──蟻盤 寥廓──鴻濛 大冶──洪鈞
蓋高──不息 補石──戴盆 剛健──高明 轂運──弓張 靈造──神功
披雲覩──坐井觀 黃金闕──白玉京 共工觸──盤古分 張衡論──鄒衍談
屈原問──秦穆觀
日月
素魄──朱羲 素女──黃人 久照──貞明 盈仄──升沈 玉兔──金烏
合璧──重環 炎炎──穆穆 紅鏡──金波
生少海──浴咸池 臨下土──麗中天 光有曜──照無私 晝夜代──往來推
月幾望──日初升 冬可愛──秋最明
日
復旦──再中 五色──重輪 駒過──烏飛 寸晷──分陰 鏡開──輪湧
測影──惜陰 明媚──沖融 可畏──如焚 兩珥──半規 烘窗──煖谷
晦昧──遮蒙 繩繫──綫量 返照──末光 金伏──火流
羲和國──不夜城 黃金鏡──赤玉盤 煖物物──燭生生 夾赤鳥──貫白虹
虞劍指──魯戈揮 珠曜火──鏡磨銅 西谷餞──東門朝 經細柳──拂扶桑
群陰伏──太陽宗 出暘谷──浴咸池 徑千里──行九州
春日
沙暖──泥融 柳陰──簾影 杲杲──遲遲 飾柳──烘花
花心綻──柳眼明 紅杏塢──綠柳提 晴飛燕──暖睡鴛
夏日
爍石──燒空 火熾──金流 驕陽──畏景 盾日──堯羲
槐影密──柳陰濃 炎可畏──景偏長 藿葉轉──葵心傾
行南陸──經中街
秋日
片白──微紅 天高──景短 爽氣──清暉 丹桂──碧梧
桐陰薄──柳影疏 芙蓉徑──菊花籬 寒葉亂──曉霜寒
冬日
過隙──經檐 分陰──寸晷 南至──西沈 嶺雪──江梅
冰初凍──草欲蘇 涵霽色──奪寒威 光搖玉──影落金
月
銀界──玉盤 養魄──飛光 金鏡──玉壺 應潮──離畢
破鏡──上弦 璧彩──珠胎 蓂落──桂殘 透竹──映階
蟾華──桂影 練潔──波寒 丹桂──素娥 學扇──磨鐮
潘室──庾樓
七子鏡──九秋霜 綠煙滅──素暈低 開金餅──爛銀盤
山眼白──海心明 銀河洗──玉斧修 金鏡滿──玉壺清
吳牛喘──魏鵲飛 眉尖巧──指甲新
新月
半桂──一彎 破環──學扇 玉玦──銀鈎 隱隱──纎纎
金波淺──桂影偏 開鏡匣──露簾鈎 如璧缺──似眉彎
殘月
破鏡──墮環 如新──誤拜 蓂薄──桂殘 光暗──影斜
月桂
香滿──根高 不老──長年 皎潔──婆娑 靈種──清香
金粟影──水晶毬 清虛府──廣寒宮 蟠月窟──照山河
中秋月
似鏡──如珪 雲盡──露寒 經年──徹夜 袁渚──庾樓
月華滿
--
二言
太乙,長庚。雨線,風梭。穀雨,花朝。夏五,春三。鴻案,鯉庭。艾虎,花驄。桂嶺,道峰。孝水,廉泉。掌露,眉雲。績女,薪翁。
舌戰,心兵。意樹,心花。易聖,經神。晉豕,魯魚。學海,書城。太守,中書。霜劍,星戈。橘皇,桐君。茶浪,酒花。菜甲,瓜丁。
堯韭,舜梧。椽竹,瓦松。人柳,女蘭。苦竹,甘棠。福草,祥桑。楓骨,桂心。荇帶,苔衣。桐乳,柏脂。松友,芝孫。龍竹,虎蒲。葵足,藿心。
杏雨,槐煙。火棗,冰桃。牛梨,鼠梨。銀杏,玉瓜。菱角,藕絲。夏圃,秋庭。鶴子,鳳雛。雁信,鷗盟。紫乙,蒼庚。燕客,鴻賓。花鴨,竹雞。
反舌,畫眉。內史,少卿。巧婦,勃姑。蜀犬,吳牛。竹馬,木羊。白老,烏圓。狡兔,貪狼。謝豹,商羊。鴨綠,鵝黃。三畏,九思。泰運,乾符。
舜田,禹山。聖域,賢關。飛白,破黃。採綠,題紅。知己,識丁。玉甲,銀丁。蘭若,杜於。
三言
十字水,兩船花。百祿萃,萬福臨。三條燭,半寸灰。子午谷,丁卯橋。雙勾帖,百納琴。長史貼,右軍書。康成碑,款士奴。
禰衡鼓,子晉笙。渙大號,巽重申。皇矣德,大哉言。丹邱子,黃石公。武鄉侯,羊叔子。人何在,事已非,天一握,日三竿。三空室,四大床。
白雲舍,紅雨村。王孫草,帝女花。忘憂草,解語花。人面竹,象蹄花。平安竹,長壽花。神女佩,羽人衣。東山履,北斗冠。金魚袋,銀鼠衣。
烏絲帽,紫玉床。益母草,處士梅。虛心竹,大眼桐。獨角虎,兩頭蛇。君子竹,大夫松。雲夢澤,月波亭。春中筍,雪裏梅。保俶塔,波僧橋。
三尺劍,五弦琴。支機石,照乘珠。忘憂館,獨樂園。雀為蛤,劍化龍。鵲尾渚,虎頭洲。烏衣巷,朱雀橋。三三徑,六六峰。霞散綺,月成鉤。
愚公穀,高士峰。松使者,楮先生。桃葉渡,瓊花台。螢照宇,魚藏書。書帶草,玉簪花。五人墓,九老堂。波底月,水中天。鹿耳草,雞冠花。
珠照乘,玉連城。弱女子,大丈夫。連雲島,明月山。腰邊劍,掌上珠。投金瀨,種玉田。青白眼,異同心。暮山紫,寒潭清。清明雨,重陽風。懷素塔,莫愁村。
時古對類
http://ctext.org/wiki.pl?if=gb&chapter=62350
作詩筆記之九 如何使用詩韻集成
http://blog.udn.com/article/article_print.jsp?uid=bamboo1763&f_ART_ID=9871166
四體千字文-楷行草隷 3 千字文, 註解千字文●주해천자문
四體千字文-楷行草隷 3 千字文, 註解千字文●주해천자문
千字文, 註解千字文●주해천자문 -天地玄黃하고 宇宙洪荒
千字文, 註解千字文●주해천자문 -天地玄黃하고 宇宙洪荒
恭惟鞠養 豈敢毀傷 女慕貞潔 男效才良
知過必改 得能莫忘 罔談彼短 靡恃己長
信使可複 器欲難量 墨悲絲染 詩贊羔羊
景行維賢 克念作聖 德建名立 形端表正
空穀傳聲 虛堂習聽
[單行本類(中國)]
四庫全書, 集部8, ≪梁文紀≫, 권14. 周興嗣 ≪千字文≫.
≪千字文釋義≫, 檀國大學校東洋學圖書室所藏.
≪千字文≫, 編輯部 國學出版社, 1973. 基隆 臺灣.
≪五體千字文≫, 天山出版社, 1981. 臺北.
≪千字文≫(注音詳解), 李炳傑(編註), 劉玉琛(校正), 學生出版社, 1982. 臺北.
≪歷代千字文≫(印本), 國立政治大學, 中文硏究所, 1984. 臺北.
≪千字文≫, 喩岳衡(主編), 傳統蒙學叢書, 岳麓書社, 1987. 長沙 湖南.
≪續千字文≫, 喩岳衡(主編), 傳統蒙學叢書, 岳麓書社, 1987. 長沙 湖南.
≪再續千字文≫, 喩岳衡(主編), 傳統蒙學叢書, 岳麓書社, 1987. 長沙 湖南.
≪別本千字文≫, 喩岳衡(主編), 傳統蒙學叢書, 岳麓書社, 1987. 長沙 湖南.
≪敍古千文≫, 喩岳衡(主編), 傳統蒙學叢書, 岳麓書社, 1987. 長沙 湖南.
≪千字文釋義≫, 淸 汪嘯尹 纂輯, 孫謙益 參注, 上海古籍出版社, 上海, 1989. 2次印刷.(≪三字經≫ㆍ≪百家姓≫ㆍ≪千字文≫의 合本임)
≪白話千字文≫, 天津市古籍書店影印, 新華書店天津發行所發行, 1990.
≪千字文≫, 張兆裕(編), 北京燕山出版社, 1995. 北京.
≪千字文≫, 馬自毅(注譯), 三民書局, 2002. 臺北.
≪千字文≫, 編輯部, 香巷商務印書館, 2003. 홍콩.
≪三字經≫ㆍ≪百家姓≫ㆍ≪千字文≫, 鄭啓銅(註釋), 雲南大學出版社, 2004. 昆明.
≪中國名著≫(≪千字文≫ 부분), 姚麗萍ㆍ顔朝輝, 中國戲劇出版社, 2005. 北京.
≪千字文≫, 錢玄溟(編), ≪國學經典≫, 中國長安出版社, 2006. 北京.
[單行本類(韓國)]
≪千字文≫, 간년 미상(1500년대로 추정), 日本大東急記念文庫 수장, 영인본, 東京, 朝鮮學報93, 1979.
≪千字文≫, 1575, 日本東京大學 수장, 영인본, 서울, 단국대동양학연구소, 동양학총서3, 1973.
≪千字文≫, 韓石峯 筆, 內賜本, 1583, 경북 영주시 朴贊成 氏 수장. 영인본, 서울, 한국서지학회, 서지학7, 1981.
≪千字文≫, 韓石峯 筆, 日本國立公文書館 수장, 영인본, 서울, 단국대동양학연구소, 동양학총서3, 1973.
≪千字文≫, 1696(丙子年), 日本對馬歷史民俗博物館 수장.
≪千字文≫, 順天 曹溪山 松廣寺 開刊, 1730, 延世大學校 수장.
≪註解千字文≫, 洪聖源 筆, 南漢 開元寺 開刊, 1754(壬申), 서울대학교 奎章閣 수장.
≪註解千字文≫ 新增本, 洪泰運 筆, 京城 廣通坊 新刊, 1804(甲子), 국립중앙도서관 수장. 영인본, 서울, 단국대동양학연구소, 동양학총서3, 1973.
≪千字文≫, 松溪 筆, 日本 宮內廳 書陵部 수장. 영인본, 東京, 朝鮮學報98, 1981.
≪千字文≫, 李茂實 筆, 1894(甲午), 서울대학교 奎章閣 수장.
≪千字文≫, 李百沙 筆, 國立中央圖書館 수장.
≪智永草千字≫, 智永 筆, 서울대학교 奎章閣 수장.
≪眞草千文≫, 趙孟頫 筆, 完府, 南山房, 서울대학교 奎章閣 수장.
≪千字文≫, 朴彭年 筆, 서울대학교 奎章閣 수장.
≪千字文≫, 河西子 筆, 서울대학교 奎章閣 수장.
≪千字文≫, 河西子 筆, 계명대학교 수장.
≪草千字文≫, 韓石峯 筆, 國立中央圖書館 수장.
≪唐懷素草書千字文≫, 이현사, 1970.1.
≪註解千字文≫, 李敦柱, 博英文庫, 1971.
≪千字文≫, 李民樹(譯註), 을유문화사, 1972.1.
(新釋)≪千字文≫, 차상원, 선문출판사, 1972.1.
(原本)≪石峰千字文≫, 낙산서원, 1972.1.
(毛筆楷行草)≪三體千字文≫, 박효균, 강경문화사, 1976.1.
≪五體千字文≫, 우재영, 우일출판사, 1983.1.
≪石峰千字文≫ㆍ≪光州千字文≫ㆍ≪註解千字文≫, 東洋學硏究所, 檀國大出版部, 1984. 재판.
≪丙子本千字文≫, 崔世和, 古城本訓蒙字會考, 太學士, 1987.
(書隸)≪千字文≫, 이원영, 세익인쇄지기, 1989.1.
≪千字文字典≫, 경인문화사편집부, 경인문화사, 1990.1.
≪千字文≫(松廣寺板), 孫熙河, 太學士, 1993.
≪주흥사천자문≫, 안춘근, 범우사, 1994.
≪千字文資料集≫(地方千字文篇), 金履弘(외), 박이정, 1995.
≪천자문고전산책≫, 박광민, 넥서스, 1995.
≪千字文資料集≫, 李基文ㆍ孫熙河, 박이정, 1995.
≪다산千字文≫, 김대현, 다섯수레, 1999.
≪어린이천자문≫, 김한룡, 대일출판사, 1999.1.
≪註解千字文≫, 成百曉(譯註), 傳統文化硏究會, 2000. 初版11刷.
≪千字文을 통해 본 동양인의 삶과 지혜≫, 이돈주, 태학사, 2002.1.
≪천자문 학습과 필법≫(37), 여원구,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3.
≪욕망하는 천자문≫, 김근(저), 삼인, 2003.
≪草孫過庭千字文≫ 素菴先生 書, 현중화, 조범산방, 2003.1.
≪천자문≫, 정후수(주해), 장락, 2004. 3판.
≪김성동千字文≫, 김성동, 청년사, 2004.
(재미있는)≪천자문여행≫:동양학의 기반, 심현섭ㆍ심규하, 동인서원, 2004.1.
≪천자문≫, 안춘근, 범우사, 2005.1.
≪영어로 배우는 천자문≫, 최성호, 문창사, 2005.1.
≪行書千字文≫, 선주선, 서예문인화, 2006.1.
≪천자문뎐≫:신화ㆍ역사ㆍ문명으로 보는 125가지 이야기, 한정주, 포럼, 2006.1.
≪三體 千字文≫, 우병환 書, 서예문인화, 2007.1.
≪松隱隸書千字文≫, 백인선, 서예문인화, 2007.1.
≪隸書千字文≫, 정도준 씀, 서예문인화, 2007.1.
(산성 할아버지의)이야기 ≪천자문≫, 천명일, 지혜의 나무, 2007.1.
≪마음으로 보는 여행≫:250어구 속에 담긴 ≪천자문≫의 의미, 김홍선, 한솜미디어, 2007.1.
≪千字文釋義≫, 權卿相(編著), 형민사, 2008. 초판2쇄.
(鍾繇의 大敍事詩)≪千字文 易解≫, 이윤숙ㆍ이달원, 경연학당, 2008.1.
≪(한눈에 익히는) 천자문≫, 장개충, 나무의꿈, 2008.1.
≪千字文:바람보다 먼저 울세는 풀의 노래 -즈믄 글≫, 강상규, 어문학사, 2008.1.
≪(천개의 글씨 이야기가 있는) 千字文≫, 박종택, 서예문인화, 2008.1.
≪(천개의 글씨 이야기가 있는) 圖文千字文≫, 박종택, 서예문인화, 2008.1.
≪集字 秋史體 千字文≫, 이규환, 서예문인화, 2008.1.
≪(조기형의 새천년형) 千字文:두뇌를 깊고 넓게 해주는 우리나라 최초≫, 조기형, 화남, 2008.1.
≪참되고 바른 千字文과 그 글자들의 쓰임새≫, 유종택, 활도미디어, 2008.1.
≪(한자 원리로 배우는) 천자문≫, 박진구, 세손출판사 발행일 2008.1.
≪(알 듯 모를 듯한) 천자문의 비밀≫, 박진구, 세손출판사, 2008.1.
≪천자문≫, 권성희(지음), 행복한박물관, 2009.
≪張猛龍千字文≫, 윤신행, 서예문인화, 2009.1.
≪천자문 쉽게 알기:천자문 속 숨은 이야기≫, 원주용, 이담books, 2009.1.
[單行本類(日本)]
≪千字文≫, 小川環樹ㆍ木田章義(注解), 株式會社岩波書店, 東京. 2009. 16刷.
≪千字文≫, 小田準ㆍ安本健吉(注釋), 岩波書店, 東京. 昭和15年(1940). 第3刷.
≪唐歐陽詢史事帖≫ㆍ≪千字文≫ 이현사, 1981.1.
≪隋智永關中本千字文≫, 이현사, 1983.1.
[學位論文]
朝鮮時代 ≪千字文≫ 刊印本 硏究, 안미경,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2.
≪천자문≫의 訓에 관한 연구, 정대환,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1.2.
≪訓蒙字會≫ㆍ≪新增類合≫ㆍ≪千字文≫의 比較 考察, 민충환,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1.2.
漢字의 音ㆍ訓 硏究:≪千字文≫을 中心으로, 이대주,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2.
≪千字文≫ 字釋硏究:難解語의 語義究明을 中心으로, 손희하,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5.2.
≪千字文≫에 대한 國語學的 硏究, 윤흥섭,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7.2.
蒙學敎材로서의 ≪千字文≫, 김현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0.8.
≪千字文≫의 六書論的 연구, 오세호, 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1.2.
≪천자문≫ 새김[釋]의 연구, 이금녀,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2.
≪訓蒙字會≫와 ≪千字文≫의 字釋 비교 연구, 이정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8.
≪千字文≫의 異體字 硏究, 신동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2.
≪訓蒙字會≫와 ≪千字文≫의 漢字音과 訓의 變遷考, 박석근, 목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2.
≪천자문≫을 이용한 한자학습 CAI프로그램의 구현, 이회광,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2.
≪천자문≫ㆍ≪훈몽자회≫ㆍ≪新增類合≫ 字釋 연구, 오완규,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2.
≪천자문≫의 철학적 사유형태에 관한 연구, 이규희,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2.
≪천자문≫을 활용한 한자교육 방법 연구, 하문규,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2.
조선시대 ≪천자문≫의 역할, 남영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8.
한일한자음에 대한 대조연구:≪천자문≫ㆍ≪훈몽자회≫의 한자음을 중심으로, 곽성은, 성신여대 석사학위논문, 2006.2.
한국 ≪천자문≫에 관한 고찰:4종≪천자문≫을 중심으로, 박혜순, 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2.
[一般論考類]
≪千字文考≫, P.Pelliot 撰, 馮承鈞 譯, 圖書館學季刊 第六卷 第一期, 1932.
≪석봉천자문≫색인, 김성, 한글143, 한글학회, 1969.5.
石峯 ≪千字文≫에 대하여, 李基文, 국어국문학55-57호, 1972.
≪千字文解題≫, 李基文, 단국대 동양학총서3, 1973.
≪千字文≫에 나타난 書體 考察, 金鎬然, 書藝4, 월간서예사, 1974.
內閣本所藏 石峯 ≪千字文≫에 대하여, 安秉禧, 書誌學6호, 1974.
≪千字文≫의 來歷과 內容, 서예사, 오인섭7, 월간서예사, 1974.4.
≪千字文≫은 필요한 책인가, 권정석, 교육춘추1,9, 한국능력개발연구원, 1977.11.
≪千字文≫ 類選, 안춘근, 도서관234, 국립중앙도서관, 1978.12.
大東急記念文庫所藏 ≪千字文≫, 藤本幸夫, 朝鮮學報93, 1979.
朝鮮版 ≪千字文≫の系統, 藤本幸夫, 朝鮮學報94, 1980.
≪平北方言千字文≫, 金履浹, 方言3, 1980.
≪千字文≫에 대하여, 崔學根, 국어국문학83, 1980.
原本 石峯 ≪千字文≫에 대하여, 趙炳舜, 書誌學7호, 1981.
≪천자문≫ 연구1, 이기문, 한국문화2,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1981.
≪천자문≫의 계통, 안병희, 정신문화연구12, 한국학중앙연구원, 1982.4.
≪註解千字文≫의 複數字釋에 대하여, 최범훈, 국어국문학논문집12,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83.9.
≪천자문≫ 字音考, 도효근, 한국언어문학1229-1730, 한국언어문학회, 1984.
對馬歷史民俗資料館 所藏本의 ≪訓蒙字會≫와 ≪千字文≫, 崔世和, 佛敎美術8, 1985.
對馬歷史民俗資料館 所藏本의 ≪千字文≫ 字釋에 대하여, 崔世和, 日本學5, 東國大學校, 1986.
≪천자문≫의 釋에 대하여, 정성희, 국어과교육6, 부산교육대학 국어교육연구회, 1986.
≪千字文≫ 字釋 연구2, 손희아, 어문논총9,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회 1986.6.
對馬歷史民俗資料館藏本 ≪千字文≫의 字釋에 대하여, 최세화, 일본학5,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1986.3.
≪千字文≫ 訓의 語彙 變遷 硏究:名詞類 語를 中心으로, 박병철, 국어교육55,56合, 한국어교육학회, 1986.7.
≪千字文≫의 再檢討, 이우영ㆍ정진권, 어문연구53, 일조각, 1987.4.
七長寺本 ≪千字文≫ 硏究, 申景澈, 語文硏究 第18輯, 語文硏究會, 1988.
蒙學敎材로서의 ≪千字文≫, 김현규, 한문교육연구 제3권 제5호, 박이정, 1991.
≪千字文≫(杏谷本)의 새김 연구, 손희하,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회, 어문논총12,13, 1991.2.
≪千字文≫(杏谷本) 연구, 손희하, 한국언어문학30, 한국언어문학회, 1992.6.
영남대본 ≪千字文≫ 연구, 손희하, 국어국문학108, 국어국문학회, 1992.12.
송광사판 ≪千字文≫ 연구, 손희하, 한국언어문학31, 한국언어문학회, 1993.6.
朝鮮時代 ≪千字文≫ 現傳本에 관한 연구, 安美璟, 書誌學硏究17, 1994.
조선시대 아동교육 도서에 나타난 경제교육:≪천자문≫ㆍ≪동몽선습≫ㆍ≪격몽요결≫ㆍ≪명심보감≫ㆍ≪소학≫을 중심으로, 김상규, 초등교육연구논총7,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1995.4.
자석(字釋)과 문석(文釋)이 일치하는 ≪백련초해(百聯抄解)≫의 석(釋)에 관한 연구 -≪천자문≫ㆍ≪훈몽자회≫ 자석과의 비교를 통한 중세훈 설정을 중심으로-, 박병철, 구결연구1226-6019, 구결학회, 1997.
韓國本 ≪千字文≫의 異體字 比較 硏究, 신동희, 서지학연구13, 서지학회, 1997.6.
安平大君의 ≪眞草千字文≫:새로 發見된 石刻 拓本에 對하여, 한상봉, 고서연구16, 한국고서연구회, 1998.12.
≪千字文≫의 構成과 價値에 대한 硏究, 정후수, 동양고전연구11, 동양고전학회, 1998.12.
문화서당(文化書堂)(1):≪석봉천자문(石峰千字文)≫에 대하여, 이기문,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1999.
백제의 王仁이 일본에 論語와 ≪千字文≫을 전달한 것은 405년, 김순철, 제지계317, 한국제지공업연합회, 1999.2.
北岳 李海龍의 ≪千字文≫, 남권희, 문헌과해석 통권6호, 문헌과해석사, 1999봄.
韓日兩國の≪千字文≫に現れる異體字の類型と性格, 이건상, 진주산업대학교 논문집24, 인천대학교, 1999.12.
≪千字文≫과 그 用韻現象, 박만규, 중국학연구17, 중국학연구회, 1999.12.
冊板目錄을 통해 본 朝鮮時代 ≪千字文≫ 刊印 狀況, 안미경, 서지학보23, 한국서지학회, 1999.12.
朝鮮時代 漢字敎材 考察:≪千字文≫과 類合을 中心으로, 김종운, 한국어문교육9, 한국교원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00.2.
초등교재로서의 ≪천자문≫의 교육적 의미 분석, 우남희, 교육학연구 38,1, 한국교육학회, 2000.2.
1650年 木活字本으로 간행된 韓濩書 ≪千字文≫에 대하여, 남권희, 국어사자료연구 제2호, 국어사자료학회, 2001.2.
이무실 ≪千字文≫ 연구:갑오본을 중심으로, 손희하, 한중인문학연구 제5집, 중한인문과학연구회, 2000.12.
1650년 목활자본으로 간행된 한호서 ≪천자문≫에 대하여, 남권희, 국어사연구 제2호, 국어사학회, 2001.
화제의 어린이:한자신동 오주영 어린이 -4살 어린이가 ≪천자문≫을 줄줄 대학생보다 한자를 더 잘 알아-, 연합회 자료,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1.
李茂實 ≪千字文≫의 書誌的인 硏究, 안미경, 고인쇄문화 제8집, 청주고인쇄박물관, 2001.11.
≪천자문≫ 새김 어휘 연구:16세기 간행 ≪천자문≫의 명사류를 중심으로, 최지훈, 한국어의미학 제9호, 한국어의미학회, 2001.12.
일제시대 ≪천자문≫ 연구:판권지 분석을 중심으로, 안미경, 서지학연구 제22집, 서지학회, 2001.12.
장서각 소장 왕실≪千字文≫에 대하여, 박부자, 서지학보 제26호, 한국서지학회, 2002.12.
한자학습과 중국의 문화적 사실들을 알려주는 입문 교양서:≪千字文≫을 통해 본 동양인의 삶과 지혜 - 이돈주 著 書評, 김재승, 용봉논총인문학연구 제31집,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02.12.
명사 초대석:90에야 읽어 보는 ≪천자문≫과 ≪논어≫(1) -수필을 스쳐 교식으로-, 우형규,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3.
명사 초대석:90에야 읽어 보는 ≪천자문≫과 ≪논어≫(2) -수필을 스쳐 교식으로-, 우형규,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3.
한자교육에 앞장선 명사인터뷰:신입사원에게 ≪천자문≫을 10번 쓰게 하는 코리아나화장품 유상옥 회장,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3.
한글, 한자문화 칼럼:하늘천 땅지, 서당개 1년의 행운 -지금도 ≪천자문≫ 암기할 수 있어-, 문태성,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3.
‘李茂實書丁巳本’ ≪千字文≫ 연구, 손희하, 한국언어문학 제51집, 한국언어문학회, 2003.12.
≪春香傳≫과 ≪牡丹亭≫의 ≪千字文≫ 수용양상, 강영매, 중국어문학논집 제22호, 중국어문학연구회, 2003.2.
일제시대 ≪천자문≫의 종류와 특징, 안미경, 서지학연구 제26집, 서지학회, 2003.12.
≪천자문≫ 학습과 필법 49, 여원구,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4.
≪천자문≫을 활용한 어린이의 철학적 사고력 신장, 정보주, 초등교육연구 제14집, 진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04.2.
왕인의 ≪천자문≫ㆍ≪논어≫ 일본전수설 재검토, 이근우, 역사비평 통권69호, 역사비평사, 2004겨울.
21C 한국을 대표하는 신지성의 지식 교양 정보지:전시회 특집:백여종의 ≪천자문≫이 한자리에:하늘천 따지-≪천자문≫과 조선인의 생각,공부, 예술전, 연합회자료,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5.
5천년의 우리 역사가 살아 숨쉬는 우리 ≪천자문≫(51), 조갑여,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5.
≪천자문≫ 학습과 필법, 여원구,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5.
21C 한국을 대표하는 신지성의 지식 교양 정보지:한글+한자문화 칼럼:≪천자문≫을 왜 다시 하는가?, 김세환,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5.
≪註解千字文≫과 複數字釋, 박병철, 어문연구 33권4호 통권128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5겨울.
≪주해천자문(註解千字文≫의 단수자석(單數字釋)과 문맥지석(文脈之釋)의 반영에 관하여, 박병철, 구결연구1226-6019, 구결학회, 2006.
王仁は果たして≪千字文≫を傳來したのか, 이근우, 동북아시아문화학회 국제학술대회,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06.
5천년의 우리 역사가 살아 숨 쉬는 우리 ≪천자문≫63, 조갑여,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6.
한자교육자료:문화일보 2006년 3월 4일:한자어가 더 어울릴 때 / 중앙일보 2006년 3월 9일:“한자왕국” 중국, 인터넷언어 파괴로 “골머리” / 서울신문 2006년 3월 17일:한자 공부(工夫) 좀 해라 / 뉴스와이어 2006년 3월 21일:아직도 ≪천자문≫이야? - 한자 학습문화의 변화 / 연합뉴스 2006년 3월 23일:만화 한자학습서 “지나치게 흥미위주”, 정용환ㆍ박강문,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6.
≪註解千字文≫의 單數字釋과 文脈之釋의 반영에 관하여, 박병철, 구결연구제17집, 태학사, 2006.8.
≪千字文在韓流行及影響≫, 林東錫, 第9屆韓中文化論壇發表論文, 2007. 濟州.
≪천자문(千字文)≫의 “천지(天地)” 환경교육에 대한 한 시론(試論), 최재목, 양명학0916-2496, 한국양명학회. 2007.
(한자ㆍ중국어ㆍ일본어를 함께 배우는)韓中日 ≪千字文≫, 김낙구, 에세이, 2007.1.
≪千字文≫의 由來와 大意 考察, 김세환, 중국학연구 제42집, 중국학연구회, 2007.12.
21C 韓國을 대표하는 新知性의 지식 교양 정보지:기획논단:≪千字文≫의 訓音 中 問題點 - ≪石峰千字文≫을 中心으로, 진태하,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8.
국민으로서의 영어교육과 ≪천자문≫, 김인환, 대산문화재단 제27호, 대산문화재단, 2008년 봄호.
≪千字文≫에 나오는 漢字의 訓에 관한 硏究:文脈의 意味와 달리 나타나는 訓을 중심으로, 박병철, 국어국문학 제150호, 국어국문학회, 2008.12.
已丑新年과 王仁精神의 涵養 -王仁博士와 ≪千字文≫- 卷頭言, 홍윤기,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9.
≪정몽유어≫ㆍ≪아학편≫ㆍ≪천자문≫의 분포적 특성, 이광호, 언어과학연구제48집, 언어과학회, 2009.3.
≪千字文≫의 原流, 內容 및 韓國에서의 發展 상황 考察, 林東錫, ≪中國語文學會論集≫, 第56號. 中國語文學硏究會. 2009.6.
source :
註解千字文●주해천자문
http://db.cyberseodang.or.kr/front/main/main.do
註解千字文●주해천자문
http://www.kostma.net/
(도상주해)천자문 v1[(圖像註解)千字文 v1
http://yoksa.aks.ac.kr/jsp/aa/Directory.jsp?fcs=f&cf=a&gb=1
註解千字文●주해천자문
http://www.yasue.cc/thousand.html
註解千字文●주해천자문
http://jsg.aks.ac.kr/
四體千字文
http://dl.ndl.go.jp/info:ndljp/pid/910125
王羲之: 行千文
http://dl.ndl.go.jp/info:ndljp/pid/853356
楷行草隷四體千字文
http://dl.ndl.go.jp/info:ndljp/pid/1102856
十体千字文 : 鼇頭註解
http://dl.ndl.go.jp/info:ndljp/pid/853562
璇璣懸斡,晦魄環照
千字文, 註解千字文●주해천자문 -天地玄黃하고 宇宙洪荒
千字文, 註解千字文●주해천자문 -天地玄黃하고 宇宙洪荒
恭惟鞠養 豈敢毀傷 女慕貞潔 男效才良
知過必改 得能莫忘 罔談彼短 靡恃己長
信使可複 器欲難量 墨悲絲染 詩贊羔羊
景行維賢 克念作聖 德建名立 形端表正
空穀傳聲 虛堂習聽
[單行本類(中國)]
四庫全書, 集部8, ≪梁文紀≫, 권14. 周興嗣 ≪千字文≫.
≪千字文釋義≫, 檀國大學校東洋學圖書室所藏.
≪千字文≫, 編輯部 國學出版社, 1973. 基隆 臺灣.
≪五體千字文≫, 天山出版社, 1981. 臺北.
≪千字文≫(注音詳解), 李炳傑(編註), 劉玉琛(校正), 學生出版社, 1982. 臺北.
≪歷代千字文≫(印本), 國立政治大學, 中文硏究所, 1984. 臺北.
≪千字文≫, 喩岳衡(主編), 傳統蒙學叢書, 岳麓書社, 1987. 長沙 湖南.
≪續千字文≫, 喩岳衡(主編), 傳統蒙學叢書, 岳麓書社, 1987. 長沙 湖南.
≪再續千字文≫, 喩岳衡(主編), 傳統蒙學叢書, 岳麓書社, 1987. 長沙 湖南.
≪別本千字文≫, 喩岳衡(主編), 傳統蒙學叢書, 岳麓書社, 1987. 長沙 湖南.
≪敍古千文≫, 喩岳衡(主編), 傳統蒙學叢書, 岳麓書社, 1987. 長沙 湖南.
≪千字文釋義≫, 淸 汪嘯尹 纂輯, 孫謙益 參注, 上海古籍出版社, 上海, 1989. 2次印刷.(≪三字經≫ㆍ≪百家姓≫ㆍ≪千字文≫의 合本임)
≪白話千字文≫, 天津市古籍書店影印, 新華書店天津發行所發行, 1990.
≪千字文≫, 張兆裕(編), 北京燕山出版社, 1995. 北京.
≪千字文≫, 馬自毅(注譯), 三民書局, 2002. 臺北.
≪千字文≫, 編輯部, 香巷商務印書館, 2003. 홍콩.
≪三字經≫ㆍ≪百家姓≫ㆍ≪千字文≫, 鄭啓銅(註釋), 雲南大學出版社, 2004. 昆明.
≪中國名著≫(≪千字文≫ 부분), 姚麗萍ㆍ顔朝輝, 中國戲劇出版社, 2005. 北京.
≪千字文≫, 錢玄溟(編), ≪國學經典≫, 中國長安出版社, 2006. 北京.
[單行本類(韓國)]
≪千字文≫, 간년 미상(1500년대로 추정), 日本大東急記念文庫 수장, 영인본, 東京, 朝鮮學報93, 1979.
≪千字文≫, 1575, 日本東京大學 수장, 영인본, 서울, 단국대동양학연구소, 동양학총서3, 1973.
≪千字文≫, 韓石峯 筆, 內賜本, 1583, 경북 영주시 朴贊成 氏 수장. 영인본, 서울, 한국서지학회, 서지학7, 1981.
≪千字文≫, 韓石峯 筆, 日本國立公文書館 수장, 영인본, 서울, 단국대동양학연구소, 동양학총서3, 1973.
≪千字文≫, 1696(丙子年), 日本對馬歷史民俗博物館 수장.
≪千字文≫, 順天 曹溪山 松廣寺 開刊, 1730, 延世大學校 수장.
≪註解千字文≫, 洪聖源 筆, 南漢 開元寺 開刊, 1754(壬申), 서울대학교 奎章閣 수장.
≪註解千字文≫ 新增本, 洪泰運 筆, 京城 廣通坊 新刊, 1804(甲子), 국립중앙도서관 수장. 영인본, 서울, 단국대동양학연구소, 동양학총서3, 1973.
≪千字文≫, 松溪 筆, 日本 宮內廳 書陵部 수장. 영인본, 東京, 朝鮮學報98, 1981.
≪千字文≫, 李茂實 筆, 1894(甲午), 서울대학교 奎章閣 수장.
≪千字文≫, 李百沙 筆, 國立中央圖書館 수장.
≪智永草千字≫, 智永 筆, 서울대학교 奎章閣 수장.
≪眞草千文≫, 趙孟頫 筆, 完府, 南山房, 서울대학교 奎章閣 수장.
≪千字文≫, 朴彭年 筆, 서울대학교 奎章閣 수장.
≪千字文≫, 河西子 筆, 서울대학교 奎章閣 수장.
≪千字文≫, 河西子 筆, 계명대학교 수장.
≪草千字文≫, 韓石峯 筆, 國立中央圖書館 수장.
≪唐懷素草書千字文≫, 이현사, 1970.1.
≪註解千字文≫, 李敦柱, 博英文庫, 1971.
≪千字文≫, 李民樹(譯註), 을유문화사, 1972.1.
(新釋)≪千字文≫, 차상원, 선문출판사, 1972.1.
(原本)≪石峰千字文≫, 낙산서원, 1972.1.
(毛筆楷行草)≪三體千字文≫, 박효균, 강경문화사, 1976.1.
≪五體千字文≫, 우재영, 우일출판사, 1983.1.
≪石峰千字文≫ㆍ≪光州千字文≫ㆍ≪註解千字文≫, 東洋學硏究所, 檀國大出版部, 1984. 재판.
≪丙子本千字文≫, 崔世和, 古城本訓蒙字會考, 太學士, 1987.
(書隸)≪千字文≫, 이원영, 세익인쇄지기, 1989.1.
≪千字文字典≫, 경인문화사편집부, 경인문화사, 1990.1.
≪千字文≫(松廣寺板), 孫熙河, 太學士, 1993.
≪주흥사천자문≫, 안춘근, 범우사, 1994.
≪千字文資料集≫(地方千字文篇), 金履弘(외), 박이정, 1995.
≪천자문고전산책≫, 박광민, 넥서스, 1995.
≪千字文資料集≫, 李基文ㆍ孫熙河, 박이정, 1995.
≪다산千字文≫, 김대현, 다섯수레, 1999.
≪어린이천자문≫, 김한룡, 대일출판사, 1999.1.
≪註解千字文≫, 成百曉(譯註), 傳統文化硏究會, 2000. 初版11刷.
≪千字文을 통해 본 동양인의 삶과 지혜≫, 이돈주, 태학사, 2002.1.
≪천자문 학습과 필법≫(37), 여원구,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3.
≪욕망하는 천자문≫, 김근(저), 삼인, 2003.
≪草孫過庭千字文≫ 素菴先生 書, 현중화, 조범산방, 2003.1.
≪천자문≫, 정후수(주해), 장락, 2004. 3판.
≪김성동千字文≫, 김성동, 청년사, 2004.
(재미있는)≪천자문여행≫:동양학의 기반, 심현섭ㆍ심규하, 동인서원, 2004.1.
≪천자문≫, 안춘근, 범우사, 2005.1.
≪영어로 배우는 천자문≫, 최성호, 문창사, 2005.1.
≪行書千字文≫, 선주선, 서예문인화, 2006.1.
≪천자문뎐≫:신화ㆍ역사ㆍ문명으로 보는 125가지 이야기, 한정주, 포럼, 2006.1.
≪三體 千字文≫, 우병환 書, 서예문인화, 2007.1.
≪松隱隸書千字文≫, 백인선, 서예문인화, 2007.1.
≪隸書千字文≫, 정도준 씀, 서예문인화, 2007.1.
(산성 할아버지의)이야기 ≪천자문≫, 천명일, 지혜의 나무, 2007.1.
≪마음으로 보는 여행≫:250어구 속에 담긴 ≪천자문≫의 의미, 김홍선, 한솜미디어, 2007.1.
≪千字文釋義≫, 權卿相(編著), 형민사, 2008. 초판2쇄.
(鍾繇의 大敍事詩)≪千字文 易解≫, 이윤숙ㆍ이달원, 경연학당, 2008.1.
≪(한눈에 익히는) 천자문≫, 장개충, 나무의꿈, 2008.1.
≪千字文:바람보다 먼저 울세는 풀의 노래 -즈믄 글≫, 강상규, 어문학사, 2008.1.
≪(천개의 글씨 이야기가 있는) 千字文≫, 박종택, 서예문인화, 2008.1.
≪(천개의 글씨 이야기가 있는) 圖文千字文≫, 박종택, 서예문인화, 2008.1.
≪集字 秋史體 千字文≫, 이규환, 서예문인화, 2008.1.
≪(조기형의 새천년형) 千字文:두뇌를 깊고 넓게 해주는 우리나라 최초≫, 조기형, 화남, 2008.1.
≪참되고 바른 千字文과 그 글자들의 쓰임새≫, 유종택, 활도미디어, 2008.1.
≪(한자 원리로 배우는) 천자문≫, 박진구, 세손출판사 발행일 2008.1.
≪(알 듯 모를 듯한) 천자문의 비밀≫, 박진구, 세손출판사, 2008.1.
≪천자문≫, 권성희(지음), 행복한박물관, 2009.
≪張猛龍千字文≫, 윤신행, 서예문인화, 2009.1.
≪천자문 쉽게 알기:천자문 속 숨은 이야기≫, 원주용, 이담books, 2009.1.
[單行本類(日本)]
≪千字文≫, 小川環樹ㆍ木田章義(注解), 株式會社岩波書店, 東京. 2009. 16刷.
≪千字文≫, 小田準ㆍ安本健吉(注釋), 岩波書店, 東京. 昭和15年(1940). 第3刷.
≪唐歐陽詢史事帖≫ㆍ≪千字文≫ 이현사, 1981.1.
≪隋智永關中本千字文≫, 이현사, 1983.1.
[學位論文]
朝鮮時代 ≪千字文≫ 刊印本 硏究, 안미경,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2.
≪천자문≫의 訓에 관한 연구, 정대환,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1.2.
≪訓蒙字會≫ㆍ≪新增類合≫ㆍ≪千字文≫의 比較 考察, 민충환,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1.2.
漢字의 音ㆍ訓 硏究:≪千字文≫을 中心으로, 이대주,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2.
≪千字文≫ 字釋硏究:難解語의 語義究明을 中心으로, 손희하,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5.2.
≪千字文≫에 대한 國語學的 硏究, 윤흥섭,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7.2.
蒙學敎材로서의 ≪千字文≫, 김현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0.8.
≪千字文≫의 六書論的 연구, 오세호, 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1.2.
≪천자문≫ 새김[釋]의 연구, 이금녀,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2.
≪訓蒙字會≫와 ≪千字文≫의 字釋 비교 연구, 이정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8.
≪千字文≫의 異體字 硏究, 신동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2.
≪訓蒙字會≫와 ≪千字文≫의 漢字音과 訓의 變遷考, 박석근, 목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2.
≪천자문≫을 이용한 한자학습 CAI프로그램의 구현, 이회광,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2.
≪천자문≫ㆍ≪훈몽자회≫ㆍ≪新增類合≫ 字釋 연구, 오완규,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2.
≪천자문≫의 철학적 사유형태에 관한 연구, 이규희,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2.
≪천자문≫을 활용한 한자교육 방법 연구, 하문규,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2.
조선시대 ≪천자문≫의 역할, 남영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8.
한일한자음에 대한 대조연구:≪천자문≫ㆍ≪훈몽자회≫의 한자음을 중심으로, 곽성은, 성신여대 석사학위논문, 2006.2.
한국 ≪천자문≫에 관한 고찰:4종≪천자문≫을 중심으로, 박혜순, 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2.
[一般論考類]
≪千字文考≫, P.Pelliot 撰, 馮承鈞 譯, 圖書館學季刊 第六卷 第一期, 1932.
≪석봉천자문≫색인, 김성, 한글143, 한글학회, 1969.5.
石峯 ≪千字文≫에 대하여, 李基文, 국어국문학55-57호, 1972.
≪千字文解題≫, 李基文, 단국대 동양학총서3, 1973.
≪千字文≫에 나타난 書體 考察, 金鎬然, 書藝4, 월간서예사, 1974.
內閣本所藏 石峯 ≪千字文≫에 대하여, 安秉禧, 書誌學6호, 1974.
≪千字文≫의 來歷과 內容, 서예사, 오인섭7, 월간서예사, 1974.4.
≪千字文≫은 필요한 책인가, 권정석, 교육춘추1,9, 한국능력개발연구원, 1977.11.
≪千字文≫ 類選, 안춘근, 도서관234, 국립중앙도서관, 1978.12.
大東急記念文庫所藏 ≪千字文≫, 藤本幸夫, 朝鮮學報93, 1979.
朝鮮版 ≪千字文≫の系統, 藤本幸夫, 朝鮮學報94, 1980.
≪平北方言千字文≫, 金履浹, 方言3, 1980.
≪千字文≫에 대하여, 崔學根, 국어국문학83, 1980.
原本 石峯 ≪千字文≫에 대하여, 趙炳舜, 書誌學7호, 1981.
≪천자문≫ 연구1, 이기문, 한국문화2,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1981.
≪천자문≫의 계통, 안병희, 정신문화연구12, 한국학중앙연구원, 1982.4.
≪註解千字文≫의 複數字釋에 대하여, 최범훈, 국어국문학논문집12,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83.9.
≪천자문≫ 字音考, 도효근, 한국언어문학1229-1730, 한국언어문학회, 1984.
對馬歷史民俗資料館 所藏本의 ≪訓蒙字會≫와 ≪千字文≫, 崔世和, 佛敎美術8, 1985.
對馬歷史民俗資料館 所藏本의 ≪千字文≫ 字釋에 대하여, 崔世和, 日本學5, 東國大學校, 1986.
≪천자문≫의 釋에 대하여, 정성희, 국어과교육6, 부산교육대학 국어교육연구회, 1986.
≪千字文≫ 字釋 연구2, 손희아, 어문논총9,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회 1986.6.
對馬歷史民俗資料館藏本 ≪千字文≫의 字釋에 대하여, 최세화, 일본학5,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1986.3.
≪千字文≫ 訓의 語彙 變遷 硏究:名詞類 語를 中心으로, 박병철, 국어교육55,56合, 한국어교육학회, 1986.7.
≪千字文≫의 再檢討, 이우영ㆍ정진권, 어문연구53, 일조각, 1987.4.
七長寺本 ≪千字文≫ 硏究, 申景澈, 語文硏究 第18輯, 語文硏究會, 1988.
蒙學敎材로서의 ≪千字文≫, 김현규, 한문교육연구 제3권 제5호, 박이정, 1991.
≪千字文≫(杏谷本)의 새김 연구, 손희하,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회, 어문논총12,13, 1991.2.
≪千字文≫(杏谷本) 연구, 손희하, 한국언어문학30, 한국언어문학회, 1992.6.
영남대본 ≪千字文≫ 연구, 손희하, 국어국문학108, 국어국문학회, 1992.12.
송광사판 ≪千字文≫ 연구, 손희하, 한국언어문학31, 한국언어문학회, 1993.6.
朝鮮時代 ≪千字文≫ 現傳本에 관한 연구, 安美璟, 書誌學硏究17, 1994.
조선시대 아동교육 도서에 나타난 경제교육:≪천자문≫ㆍ≪동몽선습≫ㆍ≪격몽요결≫ㆍ≪명심보감≫ㆍ≪소학≫을 중심으로, 김상규, 초등교육연구논총7,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1995.4.
자석(字釋)과 문석(文釋)이 일치하는 ≪백련초해(百聯抄解)≫의 석(釋)에 관한 연구 -≪천자문≫ㆍ≪훈몽자회≫ 자석과의 비교를 통한 중세훈 설정을 중심으로-, 박병철, 구결연구1226-6019, 구결학회, 1997.
韓國本 ≪千字文≫의 異體字 比較 硏究, 신동희, 서지학연구13, 서지학회, 1997.6.
安平大君의 ≪眞草千字文≫:새로 發見된 石刻 拓本에 對하여, 한상봉, 고서연구16, 한국고서연구회, 1998.12.
≪千字文≫의 構成과 價値에 대한 硏究, 정후수, 동양고전연구11, 동양고전학회, 1998.12.
문화서당(文化書堂)(1):≪석봉천자문(石峰千字文)≫에 대하여, 이기문,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1999.
백제의 王仁이 일본에 論語와 ≪千字文≫을 전달한 것은 405년, 김순철, 제지계317, 한국제지공업연합회, 1999.2.
北岳 李海龍의 ≪千字文≫, 남권희, 문헌과해석 통권6호, 문헌과해석사, 1999봄.
韓日兩國の≪千字文≫に現れる異體字の類型と性格, 이건상, 진주산업대학교 논문집24, 인천대학교, 1999.12.
≪千字文≫과 그 用韻現象, 박만규, 중국학연구17, 중국학연구회, 1999.12.
冊板目錄을 통해 본 朝鮮時代 ≪千字文≫ 刊印 狀況, 안미경, 서지학보23, 한국서지학회, 1999.12.
朝鮮時代 漢字敎材 考察:≪千字文≫과 類合을 中心으로, 김종운, 한국어문교육9, 한국교원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00.2.
초등교재로서의 ≪천자문≫의 교육적 의미 분석, 우남희, 교육학연구 38,1, 한국교육학회, 2000.2.
1650年 木活字本으로 간행된 韓濩書 ≪千字文≫에 대하여, 남권희, 국어사자료연구 제2호, 국어사자료학회, 2001.2.
이무실 ≪千字文≫ 연구:갑오본을 중심으로, 손희하, 한중인문학연구 제5집, 중한인문과학연구회, 2000.12.
1650년 목활자본으로 간행된 한호서 ≪천자문≫에 대하여, 남권희, 국어사연구 제2호, 국어사학회, 2001.
화제의 어린이:한자신동 오주영 어린이 -4살 어린이가 ≪천자문≫을 줄줄 대학생보다 한자를 더 잘 알아-, 연합회 자료,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1.
李茂實 ≪千字文≫의 書誌的인 硏究, 안미경, 고인쇄문화 제8집, 청주고인쇄박물관, 2001.11.
≪천자문≫ 새김 어휘 연구:16세기 간행 ≪천자문≫의 명사류를 중심으로, 최지훈, 한국어의미학 제9호, 한국어의미학회, 2001.12.
일제시대 ≪천자문≫ 연구:판권지 분석을 중심으로, 안미경, 서지학연구 제22집, 서지학회, 2001.12.
장서각 소장 왕실≪千字文≫에 대하여, 박부자, 서지학보 제26호, 한국서지학회, 2002.12.
한자학습과 중국의 문화적 사실들을 알려주는 입문 교양서:≪千字文≫을 통해 본 동양인의 삶과 지혜 - 이돈주 著 書評, 김재승, 용봉논총인문학연구 제31집,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02.12.
명사 초대석:90에야 읽어 보는 ≪천자문≫과 ≪논어≫(1) -수필을 스쳐 교식으로-, 우형규,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3.
명사 초대석:90에야 읽어 보는 ≪천자문≫과 ≪논어≫(2) -수필을 스쳐 교식으로-, 우형규,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3.
한자교육에 앞장선 명사인터뷰:신입사원에게 ≪천자문≫을 10번 쓰게 하는 코리아나화장품 유상옥 회장,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3.
한글, 한자문화 칼럼:하늘천 땅지, 서당개 1년의 행운 -지금도 ≪천자문≫ 암기할 수 있어-, 문태성,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3.
‘李茂實書丁巳本’ ≪千字文≫ 연구, 손희하, 한국언어문학 제51집, 한국언어문학회, 2003.12.
≪春香傳≫과 ≪牡丹亭≫의 ≪千字文≫ 수용양상, 강영매, 중국어문학논집 제22호, 중국어문학연구회, 2003.2.
일제시대 ≪천자문≫의 종류와 특징, 안미경, 서지학연구 제26집, 서지학회, 2003.12.
≪천자문≫ 학습과 필법 49, 여원구,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4.
≪천자문≫을 활용한 어린이의 철학적 사고력 신장, 정보주, 초등교육연구 제14집, 진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04.2.
왕인의 ≪천자문≫ㆍ≪논어≫ 일본전수설 재검토, 이근우, 역사비평 통권69호, 역사비평사, 2004겨울.
21C 한국을 대표하는 신지성의 지식 교양 정보지:전시회 특집:백여종의 ≪천자문≫이 한자리에:하늘천 따지-≪천자문≫과 조선인의 생각,공부, 예술전, 연합회자료,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5.
5천년의 우리 역사가 살아 숨쉬는 우리 ≪천자문≫(51), 조갑여,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5.
≪천자문≫ 학습과 필법, 여원구,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5.
21C 한국을 대표하는 신지성의 지식 교양 정보지:한글+한자문화 칼럼:≪천자문≫을 왜 다시 하는가?, 김세환,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5.
≪註解千字文≫과 複數字釋, 박병철, 어문연구 33권4호 통권128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5겨울.
≪주해천자문(註解千字文≫의 단수자석(單數字釋)과 문맥지석(文脈之釋)의 반영에 관하여, 박병철, 구결연구1226-6019, 구결학회, 2006.
王仁は果たして≪千字文≫を傳來したのか, 이근우, 동북아시아문화학회 국제학술대회,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06.
5천년의 우리 역사가 살아 숨 쉬는 우리 ≪천자문≫63, 조갑여,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6.
한자교육자료:문화일보 2006년 3월 4일:한자어가 더 어울릴 때 / 중앙일보 2006년 3월 9일:“한자왕국” 중국, 인터넷언어 파괴로 “골머리” / 서울신문 2006년 3월 17일:한자 공부(工夫) 좀 해라 / 뉴스와이어 2006년 3월 21일:아직도 ≪천자문≫이야? - 한자 학습문화의 변화 / 연합뉴스 2006년 3월 23일:만화 한자학습서 “지나치게 흥미위주”, 정용환ㆍ박강문,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6.
≪註解千字文≫의 單數字釋과 文脈之釋의 반영에 관하여, 박병철, 구결연구제17집, 태학사, 2006.8.
≪千字文在韓流行及影響≫, 林東錫, 第9屆韓中文化論壇發表論文, 2007. 濟州.
≪천자문(千字文)≫의 “천지(天地)” 환경교육에 대한 한 시론(試論), 최재목, 양명학0916-2496, 한국양명학회. 2007.
(한자ㆍ중국어ㆍ일본어를 함께 배우는)韓中日 ≪千字文≫, 김낙구, 에세이, 2007.1.
≪千字文≫의 由來와 大意 考察, 김세환, 중국학연구 제42집, 중국학연구회, 2007.12.
21C 韓國을 대표하는 新知性의 지식 교양 정보지:기획논단:≪千字文≫의 訓音 中 問題點 - ≪石峰千字文≫을 中心으로, 진태하,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8.
국민으로서의 영어교육과 ≪천자문≫, 김인환, 대산문화재단 제27호, 대산문화재단, 2008년 봄호.
≪千字文≫에 나오는 漢字의 訓에 관한 硏究:文脈의 意味와 달리 나타나는 訓을 중심으로, 박병철, 국어국문학 제150호, 국어국문학회, 2008.12.
已丑新年과 王仁精神의 涵養 -王仁博士와 ≪千字文≫- 卷頭言, 홍윤기, 한글한자문화1228-6915, 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 2009.
≪정몽유어≫ㆍ≪아학편≫ㆍ≪천자문≫의 분포적 특성, 이광호, 언어과학연구제48집, 언어과학회, 2009.3.
≪千字文≫의 原流, 內容 및 韓國에서의 發展 상황 考察, 林東錫, ≪中國語文學會論集≫, 第56號. 中國語文學硏究會. 2009.6.
source :
註解千字文●주해천자문
http://db.cyberseodang.or.kr/front/main/main.do
註解千字文●주해천자문
http://www.kostma.net/
(도상주해)천자문 v1[(圖像註解)千字文 v1
http://yoksa.aks.ac.kr/jsp/aa/Directory.jsp?fcs=f&cf=a&gb=1
註解千字文●주해천자문
http://www.yasue.cc/thousand.html
註解千字文●주해천자문
http://jsg.aks.ac.kr/
四體千字文
http://dl.ndl.go.jp/info:ndljp/pid/910125
王羲之: 行千文
http://dl.ndl.go.jp/info:ndljp/pid/853356
楷行草隷四體千字文
http://dl.ndl.go.jp/info:ndljp/pid/1102856
十体千字文 : 鼇頭註解
http://dl.ndl.go.jp/info:ndljp/pid/853562
璇璣懸斡,晦魄環照
Labels:
CS4282/CS6282,
EE3206/EE5805,
EE4209/EE5809,
MS5220,
倫文敘全集--香港陳湘記圖書,
心經,
曾胡治兵語錄
Abonnieren
Posts (Atom)